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Large-scale Commercial Facilities on Local Commercial District - Focused on the Suwon's Retail Stores and Restaurants -

대형상업시설 입지가 지역 상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수원시 소매업 및 음식업 점포를 중심으로 -

  • 이경민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하승현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정경훈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정창무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Received : 2014.01.20
  • Accepted : 2014.04.09
  • Published : 2014.04.2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nges in local market caused by large commercial facilities, especially for retail and restaurant business in Suwon city. Time series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retail store and restaurant caused by the entrance of large-scale commercial facilities.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oning of large-scale commercial facilities and the locational changes of retail store and restaurant were examined by using cross-sectional analysis. The result of time series analysis showed that the entrance of the large commercial facilities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number of retail store and restaurant. However, the outcome of cross-section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retail store and restaurant increases when the site is located within 500m from large-scale commercial facilities. With these results, we can analogize that the entrance of the large-scale commercial facilities reduce local retail store and restaurant, and closedown stores are far from large-scale commercial facilities or remaining stores gather near to large-scale commercial facilities. Also we can analogize that the distance-limited regulations like the restrictions on the entrance of large-scale commercial facilities within specific radius may not working properly.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1. 권용걸, 강양석, 대형할인점 입지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학회지, 37(1), 2002
  2. 김도현, 백화점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요인,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2007
  3. 박재욱, 백화점 매출액에 미치는 입지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부동산학과, 2002
  4. 수원시, 수원기본통계, 2011 (제 51회), 수원시, 2011
  5. 신우진, 이상경, 정창무, GIS를 이용한 소매업종 상권 반경과 중심지 이동 분석, 부동산학연구, 8(1), 2002
  6. 신우진, 문소연,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상권 잠식 강도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학회지, 45(7), 2010
  7. 신지혜, 대형할인점의 입지가 도시 공간구조 및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1999
  8. 이영민, 대형할인점 입지 전.후 소규모 상점 분포의 공간적 변화에 대한 실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2006
  9. 이희연, 김지영, 대형할인점의 입지적 특성과 상권 분석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학회지, 35(6), 2000
  10. 조이빈, 백화점과 대형마트의 입지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과 지리전공, 2008
  11. 최대식, 대형할인점의 입지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1998
  12. 천혜정, 대형마트 및 기업형 슈퍼마켓(SSM) 영업규제와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 조사, 사회과학 연구논총, 29(1), 2013
  13. 한국체인스토어협회 편집부, 유통업체연감, 한국체인스토어협회, 2012
  14. Applebaum, William, Methods for Determining Store Trade Areas, Market Penetration, and Potential Sal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2), 1966
  15. Huff, D.L., Defining and estimating a trading area, The Journal of Marketing, 28(3), 1964
  16. Nelson,L,R. The selection of Retail Locations, New York:F.W.Dodge corporation, 1958
  17. Reilly, W,J. The law of retail gravitation, New York: The Knickler Locker Press, 1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