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roving Residential Environment of Quasi-Housing through the Residents Satisfaction Survey on Indoor Public Spaces - Focused on the Go-shi-wons at Seoul -

실내공용공간의 이용만족도 조사를 통한 준주택의 주거환경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고시원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3.01.31
  • Accepted : 2014.03.25
  • Published : 2014.04.25

Abstract

Though Goshiwon, representative quasi-housing in Korea have already become one of the usual housing alternatives for 1-person household, especially the poor, its environmental quality for residence is even inferior to the minimum housing standards recommended by the government.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interior public spaces in Goshiwon. They are not additional facilities such as those of multi-unit apartment housing but essential ones now because they practically perform basic residential functions that private units don't support. By means of satisfaction survey, it was asked people living in Goshiwon at Seoul, that aspects of using frequency, size, accessbility, convenience, amenity of the interior public spaces. The result suggests that Goshiwon residents want lounge to be more satisfactory than any other public spaces, and it is needed to enact concrete rules of details of public spaces in Goshiwon.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영, 1-2인 가구 증가에 따른 준주택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고시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11
  2. 법제처, http://www.moleg.go.kr/ 건축법, 주택법, 주택법 시행령,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건축물의 분양에 관한 법률
  3. 국토해양부 보도자료, 2010. 04
  4. 국토해양부 보도자료, 2011. 02
  5. 통계청,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
  6. 통계청,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7. 신상영, 서울의 준주택 실태와 정책방향,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0
  8. 김옥연, 문영기, 1인가구 주거실태 분석 - 서울시 1인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환경학회지 제2권 2호, 2009
  9. 김도연, 윤재신, 1인가구를 위한 공유주택 기준 설정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1,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