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학 환경 아이덴티티 특성에 대한 만족도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Campus Environmental Evaluation According to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s an Environmental Identity

  • 김지우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하미경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투고 : 2012.01.05
  • 심사 : 2014.04.09
  • 발행 : 2014.04.25

초록

Entering 21 century of a knowledge-based society, the importance education has been growing. In particular, the University plays a significant role providing competitive knowledge to the individual as well as increasing national competitiveness to the countries. In Korea, the Universities have been gone through quantitative growth until there are more supply than demand; However, it is time to pursuit qualitative growth Over the past few years, a number of studies about educational programs were conducted, while the physical environment which accommodate the program were overlook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usage habit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ampus environment and to analyze the usag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ampuses surveyed had different size, different land types and different layou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according to those spatial characteristics. The physical environment was classified into six factors which are outdoor environment, convenient facilities, support facilities, educational facilities, flow planning, and street environment. Among those six, the outdoor environment factor and convenient facility related factor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overall satisfaction. The green area, walkway, and symbol statue were the details of the outdoor environment factor, and the rest and indoor convenient facility were the details of the amenity factor. It was found that 4 campuses, the target of this study, had statistically different satisfaction and importance.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 "대학교 알리미", 2011
  2. 구민아, 대학캠퍼스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조경학과, 1998
  3. 권성진, 대학캠퍼스 마스터플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건축공학화, 1986
  4. 권윤경, 국내 대학의 심볼 마크 디자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7(7), 2007
  5. 김득곤, 대학캠퍼스 내 옥외환경 편의시설물 이용실태 연구, 용인대학교 논문집, Vol 18, 2000
  6. 김신원, 대학 캠퍼스의 아이덴티티 제고에 관한 기초연구, 디자인 연구, 2(1), 1999
  7. 김양석, 대학 캠퍼스 시설 공간의 환경평가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건축공학과, 2010
  8. 김유경, "고대는 세계로, 세계는 고대로", 아주경제, 2009년 6월 7일
  9. 김현석, "대학들, 캠퍼스 푸르게.. 푸르게", 한국경제, 2004월 2 월 1일
  10. 박희진, 김정례, 대학 캠퍼스의 물리적 환경인지 및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논문집, 2(1), 2000
  11. 양병훈, "너도나도 대학 진학, 대졸 실업 넘치고", 한국경제신문, 2011년 7월 22일
  12. 양우현, 대학캠퍼스의 기능구성과 배치계획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 건축학과, 1992
  13. 우성규, "외형 성장이 경쟁력인가, 캠퍼스는 오늘도 공사중", 국민일보, 2006년 10월 23일
  14. 유재설, 대학캠퍼스의 정체성에 있어서 환경요소에 관한 연구, 정보디자인학 연구, Vol 5, 2002
  15. 이근욱, 대학캠퍼스 중앙코아 부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1990
  16. 이영한, 한국고등교육시설에 있어서 공간유형의 변천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 건축학과, 1992
  17. 이용기, 장병집, 방영균, 대학 환경특성이 전반적 서비스품질, 서비스가치와 학생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저널, 4(1), 2002
  18. 이정원, 임지영, 대학교육 서비스품질, 학교브랜드 및 취업과 학생의 만족도, 충성도의 영향관계, 제 63차 한국관광학회 제주 학술심포지엄 발표 논문집, 2008
  19. 이환, "대학홍보도 마케팅 개념 가져와", 한국대학신문, 2000년 9월 3일
  20. 임창빈, 대학 특성화를 통한 대학 경쟁력 제고, 교육부 특집, 공학교육, 14(2), 2007
  21. 조양희, 브랜드 아파트의 차별화를 위한 외관디자인요소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과, 2007
  22. 채민기, "금속으로.풍경화를 짓다", 조선일보, 2011월 9일 9일
  23. 한창훈, 브랜드 네이밍과 브랜드아이덴티티 전략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고황논집, 24, 1999
  24. 황선경, 국내대학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아이덴티티 이미지 현황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5
  25.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Dictionary, The Marketing Accountability Standards Board (MASB)가 Marketing Activities and Metrics Project에서 정의한 개념, 2011
  26. Donald Appleyard, The Environment as a Social symbol: Within a Theory of Environmental Action and perception,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45(2), 1979
  27. Kevin Lynch, Good City Form, Cambridge Massachusetts; MIT Press., 1984
  28. Kevin Lynch, Gary Hack, Site Planning, MIT Press., 1984 (Received 2012.1.5 Revised 2013.12.31 Accepted 2014.4.9)

피인용 문헌

  1. The Investigation of Awareness, Attitude and Purchase Behavior for Fashion Multi-Brand Stores - Focusing on women in their 20s and 40s - vol.27, pp.6, 2018, https://doi.org/10.5934/kjhe.2018.27.6.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