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택지개발지구 내 단독주택에 대한 지구단위계획 지침의 효과와 문제점에 관한 연구 - 판교신도시 단독주택의 저층부 건축형태를 중심으로 -

The Outcomes and Limitations of the Design Codes in the Pankyo District Unit Plan - Focused on the Architectural Forms of the Ground Level in a Residential Zone for Single-family Houses -

  • 투고 : 2014.03.06
  • 심사 : 2014.04.30
  • 발행 : 2014.05.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District Unit Plan for a single-family residential area on the form of residential buildings. To do so, it analyzed the limits of the District Unit Plan for controlling the forms of residential buildings by comparing the design codes in the plan with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buildings that have been recently developed in the Pangyo Newtown. It identified the major three issues in the codes: 1) the contextual harmony with the adjacent buildings, 2) the connection between a building and street, and 3) the communication with neighborhood. In spite of such codes encoura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buildings and outdoor space of neighborhood, it found that many buildings have not followed the design codes or guidelines. In particular, the architectural forms on the ground level tend to be closed from the neighborhood and surrounding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refining the design regulations and guidelines applied in a district unit plan for single-family residential area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창호, 박창수, 2009, "주거만족도가 베이비부머의 주거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정보학회지", 11권, 2호, p.114
  2. 건설교통부 2002,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3. 국토해양부훈령 제617호, 택지개발업무처리지침, 2010. 08. 23 개정, p.10.
  4. 김성주, 김윤희, 이상호, 2003, "수도권 신도시 단독주택지의 건축부문 도시설계시행지침의 비교분석 및 적용현황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499-500
  5. 김인영, 여홍구, 2009, "택지개발지구내 점포겸용단독주택의 지구단위계획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22권, 3호, p.p.317-339
  6. 김정신, 이영수 20006, "1990년 이후 한국 단독주택 입면디자인 표현유형에 관한 연구","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3호, p.p.41-44.
  7. 김종구, 2008, "부산광역시 지구단위계획의 운영실태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8권, 5D호, p.p.723-734
  8. 김주현, 문지원, 2010, "도시단독주택지 가로공간 계획을 위한 거주자 만족도 분석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21권, 4호, p.p.129-137
  9. 김지숙, 양세화 2010, "단독주택에 대한 울산시 거주자의 주의식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권, 6호, p.p.40-45
  10.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2009, "도시계획론", 5판, 보성각, 서울.
  11.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2007, "도시설계: 이론편", 2판, 보성각, 서울.
  12. 박기범, 최찬환, 2003, "건축법규 변화에 따른 다가구주택의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권, 4호, p.p.75-82
  13. 박선경, 김묘정, 하재명 2004, "마을형 단독주택지의 물리적 특성과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5권. 1호. p.161
  14. 이선민, 허범팔, 2012, "1980년대 이후 한국 단독주택 공간형태 변화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1권, 5호, p.p.254-263
  15. 이희정, 2002, "도시관리를 위한 서울시 종전 지구단위계획 운영실태 및 재정비방향 연구", "국토계획", 37권 5호, p.p.143-159
  16. 이희정, 2005, "서울시 지구단위계획이 실행여건 및 운영단계별 문제점 개선방향", "국토계획", 40권 6호, p.p.193-208
  17. 임창복, "한국 도시단독주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4권, 16호, p.p.67-74
  18. 임희지, 2007, "제1종 지구단위계획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국토정보다이제스트"313, p.p.16-28
  19. 윤지영, 박영순 1999, "1960년대 이후 한국 주택의 스타일과 이미지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회지", 21호, p.p.20-25
  20. 이선민, 허범팔 2012, "1980년대 이후 한국 단독주택 공간 형태 변화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1권, 5호, p.p. 257-263
  21. 이현병 2001. "도심지 단독주택의 평면유형 및 특성에 관한 조사연구". "부천대학 논문집", 22집. p.14
  22. 정재용, 박훈, 2006, "서울 단독주택지의 주거환경 문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권, 2호, p.p.163-174
  23. 조성익, 박지영 2012,"단독주택지 지구단위계획지침에 대한 거주자 만족도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8권, 5호, p.p.117-119
  24. 홍경구, 2013, "택지개발사업에서의 지구단위계획지침이 거주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4권, 2호, p.p.89-96
  25. http://cafe.naver.com/pankyodandok/554 (2013.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