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선시대 공포의 봉황두 발생 배경 연구

A Study on the Background of the Origin of Bonghwangdu(Phoenix Head Ornaments) on Bracketing Units in Joseon(Choseon) Period

  • 투고 : 2014.02.05
  • 심사 : 2014.05.12
  • 발행 : 2014.05.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origin of bonghwangdu(phoenix-head-ornaments) on bracketing units in Joseon period. For the purpose, early cases of bonghwangdu in dapo type and jusimpo type are analyzed at first. Second, architectural and cultural backgrounds of the ornaments on Joseon bracketing units are researched. And at last, the symbolic meanings of bonghwangs a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bonghwangdu was probably decorated first in Buddhist buildings to simbolyze Garuda. it was originated around early $16^{th}$ century, in jusimpo type bracketing units first, and adopted into dapo type bracketing units during mid and latter $16^{th}$ century.

키워드

참고문헌

  1. 郭黛姮 主編, 中國古代建築史 第三卷, 北京: 中國建築工業出版社, 2003
  2. 국립문화재연구소, 북한문화재해설집II, 1998(문연1)
  3. 국립문화재연구소, 북한의 전통건축-황해남도2, 2007(문연2)
  4. 국립문화재연구소, 북한의 전통건축-황해북도1, 2009(문연3)
  5.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건축 23, 2001(문연8)
  6. 권중서, 불교미술의 해학, 불광출판사, 2010
  7. 김달진 역, 본생경2, 동국역경원, 2003년 6쇄, 1991년 1쇄
  8. 김달진 역, 본생경4, 동국역경원, 2002년 6쇄, 1976년 1쇄
  9. 김도경, 주남철, 송 영조법식 대목작제도 주해(3), 건축사9412, 대한건축사협회, 1994.12
  10. 野崎誠近, 중국미술상징사전, 고려대학교 출판부, 2011
  11. 大漢韓辭典編纂室 편, 敎學 大漢韓辭典, 교학사, 7쇄 2006, 초판 1998
  12. 梁思成, 淸式營造則例, 北京: 淸華大學出版社, 2006
  13. 문화재관리국, 완주 화암사 실측보고서, 1985(문관1)
  14. 문화재관리국, 울진불영사응진전수리보고서, 1984(문관2)
  15.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봉정사 극락전 수리공사보고서, 1992(문연4)
  16.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건축 2, 1975(문연5)
  17.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건축 11, 1989(문연6)
  18.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건축 15, 1993(문연7)
  19. 문화재청, 수덕사 대웅전 실측조사보고서, 2005(문청1)
  20. 문화재청, 숭림사 보광전 수리보고서, 2002(문청2)
  21. 문화재청, 신륵사 조사당 실측조사보고서, 2005(문청3)
  22. 양윤식, 조선중기 다포계 건축의 공포 의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02
  23. 이충구, 임재완, 김병헌, 성당제 역주, 이아주소5, 소명출판, 2004
  24. 영천시, 숭렬당 수리보고서, 2002
  25. 李誡, 營造法式 上, 北京: 中國書店, 2006
  26. 이우종, 고려 시대 공포의 형성과 변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08
  27. 이우종, 다포계 귀포 쇠서 의장의 변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3권 11호(통권229호), 2007.11
  28. 장기인, 한국건축사전-신편 한국건축대계 IV, 보성각, 2005
  29. 竹島卓一, 營造法式の硏究一, 東京: 中央公論美術出版, 再版 昭和49(1974), 初版昭和45(1970)
  30. 한국불교문화종합시스템 불교사전 (http://buddha.dongguk.edu/bs_list.as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