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1917-1921년 창덕궁 대조전 재건공사에 적용된 조선식 목조 지붕틀과 방화계획

The Usage of Traditional Roof Frame and Fire Prevention Design in the Deajojeon Complex Reconstruction in Changdeokgung during the period from 1917 to 1921

  • 장필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주)삼아성건축사사무소) ;
  • 전봉희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투고 : 2014.02.05
  • 심사 : 2014.04.22
  • 발행 : 2014.05.30

초록

This research aims to find the architectural significances in the Daejojeon of Changdeokgung which was rebuilt during the period from 1917 to 1921 when compared to other new buildings built from 1907, Emperor Soonjong crowned.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and field research, this study finds two architectural issues. First, traditional roof frame had been adopted again to the new palace buildings since the reconstruction of Daejojeon complex. Second, Daejojeon was the sole royal building with the fire prevention design introduced to the traditional wood structure in the palace. So, Daejojeon complex reconstruction became the turning point in maintaining traditional landscape of Changdeokgung as well as an opportunity for traditional architectural experts of Joseon to participate in. As a result, the usage of traditional roof frame and fire prevention design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Daejojeon complex shows that architectural norm of using traditional roof frame for the buildings of the inner palace was valid even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연구재단

참고문헌

  1. 대한매일신보, 동아일보, 매일신보, 황성신문
  2. 순종실록, 순종실록부록, 조선총독부 관보
  3. "경운궁중건도감의궤", 1906, 奎14329
  4. "대조전", 1976, 국가기록원소장(CB0004738)
  5. "사적 제122호 창덕궁 낙선재 정비공사", 1992, 국가기록원소장 (CB0006957)
  6. "중화전영건도감의궤", 1907, 奎14345
  7. "창덕궁대조전일곽실측설계도", 1993, 국가기록원소장(CB0006971)
  8. "창덕궁낙선재일곽실측설계도(현황", 1992, 국가기록원소장(CB0005554),
  9. "창덕궁낙선재후원실측설계", 1993, 국가기록원소장(CB0005577)
  10. "창덕궁의로전", 1990, 국가기록원소장(CB0006950)
  11. 강상훈, "일제강점기 근대시설의 모더니즘 수용-박람회.보통학교.아파트 건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론, 2004
  12. 강성원, "20세기전반기 양식건축구법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론, 2008
  13. 건축설비용어대사전 편찬위원회, "최신판 건축설비용어대사전", 기문당, 1997
  14. 警視廳保安部建築課, "圖解市街地建築物法關係法令類纂", 1920
  15. 곤도 시로스케, "대한제국황실비사", 이언숙 역, 이마고, 2007
  16. 국립고궁박물관, "창덕궁깊이읽기", 글항아리, 2012
  17. 宮內省, "李王家財産調査書", 1937
  18. 기세황, "20세기 초 창덕궁의 변형에 관한 연구-인정전 일곽과 희정당.대조전 일곽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학학교 예술전문사학위논문, 2014
  19. 기세황, 우동선, "1908년 인정전 일곽의 개조와 그 의도", 한국건축역사학회 2013년 춘계학술발표대회, 2013.05
  20. 기세황, 우동선, "1920년 창덕궁 내전 일곽의 재건", 한국건축역사학회 2013년 추계학술발표대회, 2013.11
  21. 기세황, "20세기 초 창덕궁의 변형에 관한 연구-인정전 일곽과 희정당.대조전 일곽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학위논문, 건축과, 2014
  22. 김용숙,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일지사, 1987
  23. 東亞經濟時報社, "(京城仁川)職業名鑑", 1925
  24. 藤岡 洋保 외 2, "東京都立中央図書館木子文庫所收の明治宮設計図書に關する硏究", "日本建築學會計畵系論文報告集", No.431, 1992.01
  25. 文化財管理局 編, "舊皇室關係法令 및 財産目錄集", 문화재관리국, 1992
  26. 문화재연구소,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 궁궐.궁가(宮家) 도면집", 2013.11
  27. 문화재청, "경복궁변천사(上)", 2007
  28. 문화재청, "덕수궁 덕홍전 융안문 및 행각 복원공사 보고서", 2011
  29. 문화재청, "창덕궁 신선원전", 2002
  30. 小野木重勝, "明治洋風宮殿建築", 相模書房, 1983
  31. 山崎鯛介, "明治宮殿の建設経緯に見る表宮殿の設計経緯", 日本建築學會計畵系論文集, 572호, 2003.10
  32. 山崎鯛介, "明治宮殿の造営過程に見る木造和風の表向き建物の系譜とその意匠的特徴", 日本建築學會計畵系論文集, 582호, 2004.08
  33. 山崎鯛介, "明治宮殿の設計内容に見る "奥宮殿" の構成と聖上常御殿の建築的特徴", 日本建築學會計畵系論文集, 586호, 2004.12
  34. 안창모, "덕수궁", 동녘, 2009
  35. 안창모, "(자료)20세기 초 한옥의 역할과 근대적 변용",건축역사연구, 14권, 4호, 2005.12
  36. 우대성, "대한제국의 건축조직과 활동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론, 1997
  37. 이규철, "근대이행기 건축법의 도입 과정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9권, 5호, 2013
  38. 이규철, "대한제국기 한성부 도시공간의 재편", 서울대학교박론, 2010
  39. 이금도, "朝鮮總督府 建築機構의 建築事業과 日本人 請負業者에 關한 硏究", 부산대학교 박론, 2007
  40. 이철원, "왕궁사", 동국문화사, 1954
  41. 日外アソシエ-ツ 編, "日本人名よみかた辭典", 그린비, 1995
  42. 장순용, "창덕궁", 대원사, 1995
  43. 장필구, 전봉희, "고종 장례 기간 신선원전의 조성과 덕수궁.창덕궁 궁역의 변화",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9권 12호, 2013.12
  44. 朝鮮建築會.建築材料陳列欌, "建築資料形錄", 1938
  45. 조선은행조사부, "朝鮮事情", 1920.11
  46. 조선총독부, "始政五年記念朝鮮物産共進會報告書", v.1,1916
  47. 朝鮮總督府始政二十五周年記念表彰者名鑑刊行會 編, "朝鮮總督府始政二十五周年記念表彰者名鑑", 1935
  48. 조은정, "1920년 창덕궁 벽화 조성에 대한 연구", 미술사학보, 33권, 2009
  49. 주상훈, "조선총독부의 근대시설 건립과 건축계획의 특징", 서울대 박론, 2010
  50. 주상훈, "일제강점기 洋式建築構法 사용의 특징과 계획적 변화: 1910년대 조선총독부 관립시설을 중심으로", 건축역사연구, 21권, 5호, 2012
  51. 천혜봉, 윤병태, "藏書閣의 歷史와 資料的 特性",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52. 한국학중앙연구원, "근대건축도면집-해설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