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업무생산성 영향요인의 남녀직원 간 차이에 관한 연구 - 교류 및 복지개념을 적용한 업무시설을 대상으로 -

A Difference Study between Male and Female Employee the Factors Influencing on Worker's Productivity - focused on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and welfare concept in office space -

  • 박청호 (협성대학교) ;
  • 구자훈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 및 조경학과) ;
  • 김경우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투고 : 2014.03.06
  • 심사 : 2014.04.25
  • 발행 : 2014.05.30

초록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factor influencing work productivity on each gender of employees in business facilities improved as a composite of cultural exchanges and welfare convenience. It was conducted to measure an user satisfaction in improved detail space of research area which was drawn as independent variables, individual job performance rate in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as a dependent variables. The study by pls-regression showed that it was important for male employees to have spacial structure with flexible layouts, office equipments environment focusing on work itself, optimized space for collecting work-related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for female employees it was having space where communicate freely and improving office environment more comfortable. However, The cafeteria, which provides meal and communication and day care center policy, which reduces burden of infant care, are appeared as common factors. This research has proved that male and female employees have different demands in space affecting work productivity. And it provide the foundation for new office design strateg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광휘, 시민사회단체와 정부의 협력적 거버넌스의 생산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2. 김두나, 하미경, 업무집중 및 커뮤니케이션 행태를 중심으로 한 오피스 레이아웃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3(6):29-38, 2004.
  3. 김민규, 조직특성을 고려한 업무공간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4. 김세영, 김은경, 임헌만, 이미영, 이경아, 간호생산성 영향요인 구조모형 분석, 대한간호학회지, 43(1):20-29, 2013.
  5. 김유선, 김명소, 한영석, 직장인의 직무소진에 대한 남녀 차이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8(2):317-337, 2013.
  6. 김혜련, 여성공무원의 인사운영 실태와 개선방안 : 중앙부처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7. 곽수일, 화이트칼라의 생산성측정, 기업경영, pp.62-64, 1984.
  8. 문은미, 이경희, 사무환경에 대한 근무자 만족도 조사연구 : 사무유형별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13(12):253-261, 1997.
  9. 민찬홍, 후기 산업사회의 오피스 변화에 관한 연구 : 복합기능형 오피스, 동대논총, 제25권 제1호, p.p. 733-752, 1995.
  10. 박숙자, 행정관리직 여성공무원 일과 삶의 질, 2000년 인사행정연구회 춘계인사세미나 발표 논문집, p.p.1-22, 2000
  11. 박천오, 김상묵, 강제상, 한국 공무원의 성별 직무관련태도 차이에 관한 실증적 조사연구, 한국행정학보, 34(2):269-287, 2000.
  12. 박학목, 서울시 도시공간구조 유형별 도시형 생활주택 가격영향요인분석, 국토계획, 48(3):419-435, 2013.
  13. 서혜선, 양경숙, 김나영, 김희영, 김미경, SPSS 회귀분석, 서울:한나래출판사, 2009
  14. 손주영, 기업체 남녀 관리자의 직무만족 구성요소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 80(1):81-116, 2011.
  15. 신지화, 탁진국, 상사의 언행일치, 리더정당성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상사의 협력적 커뮤니케이션과 부하의 성실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2):385-407, 2011.
  16. 유석연, 업무공간의 발전경향 변형에 따른 건축 설계 연구 : Daum 글로벌 미디어 센터의 설계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계획계, 28(8):3-10, 2012.
  17. 유성은, 하미경,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특성 분석 : 오픈 플랜오피스의 사무가구, 실내환경, 공간계획 특성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27(8):131-138, 2011.
  18. 유성은, 개방형 사무공간에서 업무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업무환경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주거환경학과 박사학위논문, 2012.
  19. 윤진, 남녀차이에 대한 심리학적 한 고찰 : 성역할 사회화과정과 그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15:21-35, 1981.
  20. 이소영, 업무적 및 사회적 그룹일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무공간 디자인 특성 고찰,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22(6):151-158, 2006.
  21. 이동영, 문지현, 사무직 남녀종업원의 직무수행능력과 근무태도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총, 5:1-37, 1999.
  22. 이윤홍, 이주형, PLS회귀분석을 이용한 도시철도 서비스 만족도 영향요인 규명 : 서울시 도시철도 이용자를 중심으로, 교통연구, 19(4):1-16, 2012.
  23. 장상희, 이선옥, 남성희, 성역할 사회화와 남녀사원간의 업무관계 만족도, 여성학연구, 3(1):1-28, 1991.
  24. 정광섭, 메가 프로젝트의 의사결정 영향요인 추정, 감사논집, 19;91-124, 2012.
  25. 최열, 장원호, 2010, 주택재개발사업의 수익성 결정요인 및 예측, 국토계획, 45(5):81-91, 2010
  26. 허명회, SPSS 데이터 검증, 신경망과 PLS회귀, 서울:(주)데이터 솔루션, 2008.
  27. 홍순복, 대인신뢰가 업무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3(1):51-54, 2005.
  28. NHN(주), NHN이 일하는 27층 빌딩 그린팩토리 디자인북, 서울:(주)시드페이퍼, 2010.
  29. 통계청, http://www.kostat.go.kr
  30. Brill, W. & BOSTI(The Buffalo Organization for Social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Associates, Disproving widespread myths about workplace design, Kimball International, Jasper, IN, USA, 2001.
  31. Tett, R. P. & Meyer, J. P.,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 path analysis based on meta-analytic findings, Personnel Psychology, 46(2):259-293, 1993.
  32. Strauss, J. P. & Multi-source Perspectives of Self-esteem, Performance Ratings, and Source Agreement,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0(6):464-482, 2005. https://doi.org/10.1108/02683940510615424
  33. Steve, M. J. & Paul, D. B., Efficacy beliefs as a moderator of the impact of work-related stressors: a multiple stud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4(1):340-361, 1999. https://doi.org/10.1037/0021-9010.84.3.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