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테마형 주택단지 장소성인식이 거주의사에 미치는 영향분석 - 파주시 헤이리 예술마을의 방문객을 중심으로 -

Effect Analysis of Placeness Cognition on Intention to Live in Thematic Housing Complex - Focused on Visitors in Heyri Art Valley -

  • 송문섭 (광운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 박태원 (광운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투고 : 2013.12.05
  • 심사 : 2014.08.01
  • 발행 : 2014.08.30

초록

Recently, in the real estate market, supply has been continuously exceeding demand, and it has been forecasted that the sale of real estate will no longer give rise to capital gains. In the circumstances where supply exceeds demand and housing inventories continue to increase, the future real estate market would have to place more emphasis on the value of use rather than the sales value, and on satisfying the desires of customers.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at the visitors of Heyri Art Village experience differentiated characters or placeness, and such experiences are expressed as intent to live in or to select Heyri as their residential area, and identified the potentials or demands for new housing market. This study also gave rise to meaningful conclusion in that in developing future residential areas, there would be needs for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residential area or formation of place that reflect the demands and sensitivity of the future place consumers.

키워드

참고문헌

  1. Relph, Edward, 1976(김덕현.김현주.심승희 역),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2. Tim Cresswell, 2004(심승희 역), <짧은 지리학개론 시리즈 : 장소>, 시그마프레스, 2012
  3. Tuan Yi-Fu, 1977(구동희.심승희 역), <공간과 장소>, 대윤, 2007
  4. Philip Kotler, Kevin Lane Keller, 2009(윤훈현 역), <마케팅 관리론 13판>, 피어슨에듀케이션코리아, 2009
  5. 강현식, 허현태, 민병호, "근린주구 장소형성 및 그 의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4권 1호, 2004. p.p.267-270
  6. 김언호, <헤이리, 꿈꾸는 풍경>, 한길사, 2008 pp.138-140
  7. 김현식, 안건혁, 온영태, 이영아,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주거단지계획지침 연구>, 국토개발연구원, 1997
  8. 김종규, 김준성, <헤이리건축설계지침>, 헤이리아트벨리, 2001
  9. 박태원, 송문섭, "헤이리예술마을의 장소성인식 요인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제13권 제6호, 2012
  10. 백선혜, <장소성과 장소마케팅>, 한국학술정보(주). 2005
  11. 서지은, "여가행태를 고려한 주거단지의 외부공간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지 주거환경 8권 1호(통권13호), p.p. 49-60
  12. 손세관, "도시거주지역에서의 장소형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5권, 3호(통권23호), 1989. p.p.29-38.
  13. 송문섭, "장소성인식이 주거선택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광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4. 우경국, <헤이리건축>, 기문당, 2008
  15. 유학규, 정성원, "공간구조 분석을 통한 건축설계지침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창립60주년기념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5권 제1호, (건축설계.역사의장 및 건축론.도시 및 단지계획) 2005.10, page(s): 425-428
  16. 이경은, "헤이리 예술마을의 장소성 창출기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7. 이규목, "환경지각과 장소성에 관하여", <대한건축학회지>, 24권 94호 1980 p.p.54-57
  18. 이상, "헤이리 커뮤니티 아이덴티티의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9. 이석환, 황기원,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2권, 5호(통권91호), 1997. p.p.169-184.
  20. 임은영, "유토피아적 공간 형성의 관점에서 본 헤이리 문화예술마을의 형성과 변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1. 최막중, 김미옥, "장소성의 형성요인과 경제적 가치에 관한 실증분석 : 대학로와 로데오거리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6권, 2호, 2001.4. p.p.153-162.
  22. 최병두,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장소성의 상실과 복원", 한국도시연구소 <도시연구>, 8호, 2002
  23. 최병두, <로컬의 문화지형>,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편, 혜안, 2010.6.
  24. 최열, 임하경, "장소애착 결정요인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0권, 2호, 2005.4. p.p.53-64.
  25. 헤이리, <헤이리 MICROPOLIS>, . 헤이리, 2007
  26. 헤이리 예술마을 홈페이지, http://www.heyri.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