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Children's Gender and Surrounding's Variables on School Readiness : Based on Educational Level of Parents, Educational Participation of Mother, Teaching Method of Teacher and Literacy Conditions of Home and Class

유아의 성과 주변 환경 변인이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부모의 교육수준, 어머니의 학습관여, 교사의 지도방법 및 가정과 교실의 문해환경을 중심으로

  • 이수현 (경기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
  • 황혜정 (경기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Received : 2014.06.19
  • Accepted : 2014.08.16
  • Published : 2014.08.31

Abstract

This thesis is to figure out the influences of children's gender, educational level of parents, educational participation of the mother, teaching method of teacher and literacy conditions of home and class on preschool children's school readiness.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141 preschool children under 5 years old, 141 parents and 42 class teachers. Test for School Readiness, Measure of Mother's Educational Participation, Measure of Teacher's Teaching Method, and Measures of Literacy Condition of Home and Class are used as a studying tool.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by Thre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of Spearma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of Pearson, and phase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 of children and mother's educational level for the school readiness. Second, except for the home's literacy condition, children's gender, educational level of parents, educational participation of mother, teaching method of teacher and literacy conditions of class show the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hildren's school readiness. Third, the adaptive zone, which is the subordinated zone, is affected by the gender of children, and the knowledge zone is influenced by the mother's educational level most.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for the basic data that can help to promote school readiness for children's parents and teachers.

본 연구는 유아의 성, 부모의 교육수준, 어머니의 학습관여, 교사의 지도방법, 가정과 교실의 문해환경이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취학전 만 5세 유아 141명, 이들의 부모 141명과 담임교사 42명이었다. 연구도구는 학교준비도 검사, 어머니 학습관여 척도, 교사 지도방법 척도, 가정문해환경 척도와 교실문해환경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hree-way ANOVA, Spearman의 상관분석과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과 어머니 교육수준에 따른 학교준비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가정문해환경을 제외한 유아의 성, 부모 교육수준, 어머니 학습관여, 교사 지도방법, 교실문해환경 변인이 유아의 학교준비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학교준비도의 하위영역인 적응영역에는 유아성별, 지식영역에는 어머니 교육수준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와 교사가 유아의 학교준비도 증진을 도울 수 있는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지흔(2003). 남.여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강현옥, 황혜원(2013). 다문화가정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보호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동교육, 22(1), 101-119.
  3. 곽아정(1993). 어머니-유아의 상호작용 및 가정의 문해환경과 유아읽기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권영례, 김암이, 곽혜정, 장미자(1998). Phelps 유아학습준비도검사의 작용을 위한 타당화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3(2), 1-19.
  5. 김길숙(2009). 가정문해환경과 교실문해환경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김길숙, 김명순(2010). 가정문해환경과 교실문해환경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1(2), 119-133.
  7. 김명순, 김길숙, 임양미, 이유진(2008). 만3-5세 유아를 위한 교실 내 언어 및 문해환경 평가척도 (ELLCO)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28(6), 27-45.
  8. 김종덕(2001). 부모의 학습관여 헝태가 자녀의 학업동기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주후, 김경란, 유윤영(2011) 조기교육 실시에 따른 취학전 유아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의 신념 분석. 유아교육학회지, 15(11), 99-116.
  10. 김지원(2011). 결혼이민자가정 어머니의 교육참여가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현옥(1988). 유치원 경험이 초등학교 아동이 적응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현주(2014). 학교준비도에 관련된 유아의 신체적 민첩성, 인지능력, 정서능력 및 사회적 능력감.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남혜련(2000).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학부모 역할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민영순(1995). 가정환경 및 학급사회의 심리적 환경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박연정(2007). 학령 전 아동의 학교준비도 척도개발 및 학교준비도와 관련변인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박현정(2004). 교사-유아상호작용 시작과 참여유아의 기질 및 사회.정서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방소영(2013). 취학 전 유아의 학교 준비도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방소영, 황혜정(2013).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유아기자녀의 부모, 학령기 자녀부모, 유아교사, 초등교사의 인식연구. 아동학회지, 34(2), 139-160.
  19. 배성연(2006). 어린이집 교실문해환경과 유아의 언어능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백미선(2012). 부모의 교육적관여가 자녀의 학습동기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서문희, 양미선(2013). 유아 사교육비 실태 및 결정요인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189-207.
  22. 서성민(2012).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분노표현 방식이 적응-부적응 유아와 교사 관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석지연(2012). 맞벌이 가정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성은숙(2002). 부모의 학습관여와 유아의 인지 및 사회.정서 능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송진숙(2001). 어머니의 인성특성과 유아의 교육적 경험에 따른 유아의 지능. 한국생활과학회지, 10(2), 141-151.
  26. 신원영, 강현아(2008). 빈곤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5(4), 57-87.
  27. 안영복(1985). 적응 및 부적응 행동의 특성과 관계변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안지영, 오미경, 김지신(2012).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학습관여행동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및 낙관성과 또래지지의 조절효과. 아동교육, 21(3), 241-253.
  29. 여연승(2003).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또래수용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오영희(1994). 2세 유아를 위한 가정 방문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1. 이기숙(2011). 유아교육과정. 서울 : 교문사.
  32. 이수경(2004). 학교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이수현, 황혜정(2014).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2), 385-410.
  34. 이옥희(2010).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사회적 능력이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이윤경, 민옥진(2001). 동화내용에 대한 교사와 유아의 토의활동이 유아의 문해발달에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22(1), 163-175.
  36. 이정민(2013). 어머니의 학습관여가 유아의 학습행동과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임정진(2013). 어린이집의 질이 빈곤가정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임희수(2000).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조절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9. 정기자(2002). 취학전 선행학습 경험과 초등학교 1학년 학업성취도 및 학습흥미도와의 관계. 수학과를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정무성, 김선경, 윤대중(1998). 초등학생 행동의 합리성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학교사회사업, 1, 98-119.
  41. 정미영, 문혁준(2007)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관련 변인 연구. 아동학회지, 28(5), 37-54.
  42. 정지선(2009).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성취압력과 자기효능감이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정해영, 정옥분(2011).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 행동이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8(20), 277-297.
  44. 조경진(2014). 가정환경의 지로가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5. 천화영(2010). 가정과 교실의 문해환경과 유아의 읽기 흥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6. 최해수(2001).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초등학생의 부담감 및 반응행동 양식의 관계.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7.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9). 학습부진학생 지도.지원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대안 탐색: 학습부진학생지도.지원 종합계획(안)제안을 중심으로. 연구보고 RRI2009-13.
  48. 한애향, 안선희(2006). 유아교육기관의 문해환경 수준에 따른 유아의 문해능력 차이. 유아교육학논집, 10(4), 274-294.
  49. Bekman, S., Aksu-Koc, A., & Erguvanli-Taylan, E. (2011). Effectiveness of an intervention program for six-year-olds: a summer-school model. Europ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Journal, 19(4), 409-431. https://doi.org/10.1080/1350293X.2011.623508
  50. Birch, S. H., & Ladd, G, W. (1997).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5(1), 61-79. https://doi.org/10.1016/S0022-4405(96)00029-5
  51. Brabham, E. G. (1996). Effects of teachers' reading aloud styles on vocabulary acquisition and comprehension of primary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Florida State University, Florida, USA.
  52. Britto, P. R., Brooks-Gunn, J., & Griffin, T. M. (2006). Maternal reading and teaching patterns: Associations with school readiness in low-income African American families. Reading Research Quarterly, 41(1), 68-89. https://doi.org/10.1598/RRQ.41.1.3
  53. Bryant, D. M., Burchinal, M., Lau, L. B., & Sparling, J. J. (1994). Family and classroom correlates of head start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9, 289-309. https://doi.org/10.1016/0885-2006(94)90011-6
  54. Carol G. (2008).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curriculum and development in early education, 발달에 적합한 실제: 유아교육과정과 발달(임부연, 장영숙, 최미숙, 최윤정, 최일선, 황윤세 옮김). 서울 : 정민사(원판 2006).
  55. Connell, C. M., & Prinz . R. J. (2002). The impact of childcare and parent-child interactions on school readiness and social skills development for low-income African American childre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0, 177-193. https://doi.org/10.1016/S0022-4405(02)00090-0
  56. Crinic, K., & Lamberty, G. (1994). Reconsidering school readiness: Conceptual and applied perspective.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5(2), 99-105.
  57. Egeland, B., Pianta, R., & O'Brien, M. A. (1993). Maternal intrusiveness in infancy and child maladaptation in early school year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5, 359-370.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4466
  58. Eisenberg, N., Fabes, R. A., Bernzweig, J., Karbon, M., Poulin, R., & Hanish, L. (1993). The relations of emotionality and regulation to preschoolers' social skills and sociometric status. Child Development, 64, 1418-1438. https://doi.org/10.2307/1131543
  59. Geoffroy, M., Cote, S. M., Giguere, C., Dionne, G., Zelazo, P., Tremblay, R. E . et al. (2010). Closing the gap in academic readiness and achievement: the role of early childcare Marie-Claude Geoffroy et al. Childcare, socioeconomic background, and academic readiness and achievement. Journal of Child Psychology & Psychiatry, 51(12), 1359-1367. https://doi.org/10.1111/j.1469-7610.2010.02316.x
  60. Grolnick, W. S., Ryan, R. M., & Deci, E. L. (1991). Inner resources for school achievement: Motivational mediators children's perceptions of their parents. J 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3(4), 508-517. https://doi.org/10.1037/0022-0663.83.4.508
  61. Hagedorm, L. S. & Fogel, S. (2002). Making school to college programs work: Academics, goals, and aspiration. In W. C. Tierney, & L. S. Haredom (Eds.), Increasing access to college (pp.169-193).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Albany.
  62. Howes, C., & Smith, E. W. (1995). Relation among child care quality, teacher behavior, children's play activities, emotional security, and cognitive activity in child car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4), 381-404. https://doi.org/10.1016/0885-2006(95)90013-6
  63. James, E. J., James, F., & Francis, W. (2009). Play, development, and early education, 놀이, 발달, 유아교육(이진희, 손원경, 안효진, 유연옥 옮김). 서울 : 아카데미프레스(원판 2005).
  64. Keys, T. D., Farkas, G., Burchinal, M. R., Duncan, G. J., Vandell, D. L., Li, W. et al. (2013). Preschool Center Quality and School Readiness: Quality Effects and Variation by Demographic and Child Characteristics. Child Development, 84(4), 1171-1190. https://doi.org/10.1111/cdev.12048
  65. Lugo-Gio, J., & Tamis-LeMonda, C. S. (2008). Family resources and parenting quality: Links to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across the first 3 years. Child Development, 79, 1065-1085.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8.01176.x
  66. Marjoribank, K. (1979). Intelligence, social environ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 regression surface analysi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47, 346-351. https://doi.org/10.1080/00220973.1979.11011704
  67. Neuman, S. B., & Roskos, K. (1993). Access to print for children of poverty: Differential effects of adult mediation and literacy-enriched play settings on environment and functional print task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0(1), 95-122. https://doi.org/10.3102/00028312030001095
  68. Phillips, D., McCartney, K., & Scarr, S. (1987). Child-care quality and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23(4), 537-543. https://doi.org/10.1037/0012-1649.23.4.537
  69. Phillips, R., Gorton, R., Pinciotti, P., & Sachdev, A. (2010). Promising Findings on Preschoolers' Emergent Literacy and School Readiness In Arts-integrated Early Childhood Settings.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8(2), 111-122. https://doi.org/10.1007/s10643-010-0397-x
  70. Pianta, R. C. (1994). Patterns of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and kindergarten teacher.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2(1), 15-31. https://doi.org/10.1016/0022-4405(94)90026-4
  71. Ramey, C. T., & Ramey, S. L. (1998). Early intervention and early experience. American Psychologist, 53(2), 109-120. https://doi.org/10.1037/0003-066X.53.2.109
  72. Rodriguez, E. T. (2008).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Predictors of trajectories across the first five years and relations to children's school readiness at pre-kindergart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ew York University, NY, USA.
  73. Teale, W., & Sulzby, E. (1986). Emergent literacy: New perspectives. In D. S. Strickland & L. M. Morrow (Eds.), Emerging Literacy: Young children learn to read and write(pp.1-15).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74. Webster-Stratton, C., Reid, M., & Stoolmiller, M. (2008). Preventing conduct problems and improving school readiness: evaluation of the Incredible Years Teacher and Child Training Programs in high-risk school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 Psychiatry, 49(5), 471-488. https://doi.org/10.1111/j.1469-7610.2007.01861.x
  75. Wells, G. (1985). Language development in the preschool years. New York, NY : Cambridge University Press.
  76. Relationships and the process of adjustment to school.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57, 61-80.

Cited by

  1.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및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 부모 온정성과 교육적 가정환경의 매개효과 vol.36, pp.6, 2015, https://doi.org/10.5723/kjcs.2015.36.6.1
  2. Interventions for Increasing Academic School Readines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vol.18, pp.1, 2014, https://doi.org/10.21075/kacsn.2016.18.1.281
  3. 학령 전이기 유아의 학교준비도 예측요인: 만 1세 영아기 애착안정성과 의도적 통제를 중심으로 vol.15, pp.3, 2019,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3.157
  4. Analyzing the Typology of First Graders’ School Adjustment and Identifying the Predictors of Mothers’ Educational Involvement vol.42, pp.2, 2014, https://doi.org/10.5723/kjcs.2021.42.2.219
  5.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vol.17, pp.2,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2.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