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숲교육(숲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지식개념 연구

A Study of Forest Education Concept Mapping of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 이연선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 플러스) ;
  • 견주연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 이시은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 플러스) ;
  • 이소영 (창원문성대학 유아교육과)
  • 투고 : 2014.06.13
  • 심사 : 2014.08.16
  • 발행 : 2014.08.31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숲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식 내용과 수준을 분석하여 그들의 현 지식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숲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한 유아교사 39명과 3, 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60명, 총 99명을 대상으로 상위개념의 수, 내용요소에 따른 수, 종속 개념의 수, 특성, 위계, 밀도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 모두 '숲교육'에서 '자연(숲)'의 개념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숲교육'에 대한 상위개념에서 종속개념은 '생명', 위계는 '치유'와 '생명', 특성화 점수는 '숲 체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밀도는 1.00에서 4.80의 범위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숲교육'에 대한 상위개념에서 종속개념은 '자연(숲)', 위계는 생명과 자연(숲), 특성점수는 '자연(숲)'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밀도는 1.00에서 6.78의 범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숲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식과 지식수준의 문제점 진단 및 '숲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숲유치원의 올바른 정착을 위한 사전교육과 재교육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숲교육이 올바르게 실천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d on how early childhood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understood the concept of Forest Education. By applying the analysis of conceptual maps, introduced by Novak and Gowin's (1983, 1984), this study examined the number of upper category and subcategories, characteristics, hierarchy, and density of teachers' knowledge of Forest Education. 39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60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rst, in-service teachers put 'nature(forest)' and 'living creatures' in the highest level of knowledge of Forest Education. On the other hands, pre-service teachers put 'the effect of Forest Education' and 'program' as well as 'nature(forest)' in the highest level of knowledge. In-service teachers seemed to construct their knowledge by understanding Forest Education as curriculum or activities such as math, language, music 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refore they had a tendency to talk more about specific concepts including four seasons, insects, air, or climate change. However, pre-service teachers described 'the interconnectedness between human and nature', 'deep relationship with nature' and 'provision of nature.' This tendency might relate to their prior educational experiences of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regards to the density and hierarchy of knowledge on Forest Education, both groups revealed the relatively low degree of density with average of around 2.00.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both groups of teachers might not have strong hierarchical and organizational knowledge of Forest Education. For the teacher education,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practical knowledge of Forest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more.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제순(2011). 숲의 나라! 생명의 나라! (사)한국숲유치원협회 2011년도 원장연수 : 구두발표 논문.
  2. 곽노의(2010). 숲유치원의 한국적 적용-숲유치원 도입을 위한 국내 유아교육기관의 대응전략. 제2회 숲유치원 국제세미나 : 구두발표 논문.
  3. 김 연(2011). 한국 최초의 숲유치원에서의 자유놀이가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경애(2011). 숲체험활동이 아동의 감성지능과 생명존중 인식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묘선, 이민선(2013). 매일형 숲유치원 교사가 경험하는 현장에서의 어려움과 보람. 생태유아교육연구, 12(1), 75-113.
  6. 김성재(2013). 예비유아교사가 실습과정에서 인식한 숲유치원의 교육적 가치 및 어려움과 해결 방안.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은숙(2013). 숲체험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주관적이 태도분석. 교육의 이론과 실천, 18(2), 107-131.
  8. 김현정(2013).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숲 유치원 인식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남효창(2004). 나는 숲으로 출근한다. 서울 : 청림출판.
  10. 박경희(2005).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박은혜(2011). 숲체험활동이 유아의 사회성과 자연친화력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배은주(2013). 숲유치원 교사와 일반 유아교육 기관 교사의 한경 친화적 교육태도 및 교사교육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사)한국숲유치원협회(2011a). 한국형 숲유치원 시범운영을 위한 교사연수. (사)한국숲유치원협회 2011년 동계세미나 : 구두발표 논문.
  14. (사)한국숲유치원협회(2011b). 한국형 숲유치원의 바람직한 운영방안 모색을 위한 세미나. (사)한국숲유치원협회 하계세미나 : 구두발표 논문.
  15. 산림청(2008). 숲속유치원 프로그램 개발과 효율적 운영방안 연구. 대전 : 산림청.
  16. 산림청(2011). 산림청의 숲유치원 활성화 방안. (사)한국숲유치원협회 국제세미나 : 구두발표 논문.
  17. 산림청(2012). 산림교육 활성화 방안. 숲유치원 국제 세미나 : 구두발표논문.
  18. 산림청(2013). 한국형 숲유치원 정착을 위한 모형 개발 연구와 효과 분석. (사)한국숲유치원협회 국내세미나 : 구두발표논문.
  19. 소명수(2012). 숲 유치원에서 자연물을 이용한 놀이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송주은(2011). 숲유치원에 대한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도 조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신원섭(2005). 치유의 숲. 서울 : 지성사.
  22. 심성경, 이효숙, 변길희, 김은아, 박유미(2008). 유아문학 교육 내용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개념도 분석. 아동학회지, 29(1), 355-371.
  23. 안명숙(2006). 숲과 하천 경험을 통한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오소영(2010). 숲유치원에서의 문학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이경화(2012). 숲 체험을 포함한 생태중심유아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이광미(2012).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이명환(2003). 독일의 숲 유치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3(4), 23-48.
  28. 이명환(2011). 유아교육기관에서 숲체험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생태유아교육연구, 10(1), 175- 200.
  29. 이미라(2010). 숲유치원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방안. 2010년 제2회 숲유치원 국내세미나 : 구두 발표 논문.
  30. 이연선(2007). 유아교실담론에 나타난 유아의 지식구성 및 권력관계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1. 이용수(2013). 숲유치원에 대한 유치원 학부모와 교원의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이인숙(2008).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이주연(2011). 한국의 숲유치원 운영현황 및 교사교육 요구도 조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이현영(2012). 숲유치원 유아들의 사회적 역량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이효숙(2009). 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의 동작 교육 개념의 구성과 특성에 대한 차이. 육아지원연구, 4(2), 141-158.
  36. 임재택(2010). 생태유아교육, 숲과의 만남.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구두 발표 논문.
  37. 임재택(2010). 생태유아교육개론. 서울 : 양서원.
  38. 임재택(2011). 숲과 아이들의 만남. 한국형 유치원 활성화를 위한 원장.교사 연수 : 구두발표 논문.
  39. 임재택, 이소영, 김은주(2012). 숲유치원 운영실태 및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1(2), 57-85.
  40. 임재택, 하정연, 신주연(2012). 숲유치원 운영 매뉴얼. 경기 : 공동체.
  41. 임재택, 하정연, 이소영(2013). 숲에서 유아들이 경험하는 놀이 탐색. 유아교육연구, 33(2), 343-367.
  42. 임재택, 하정연, 이소영, 신주연(2012). 숲활동에서 형성되는 유아들의 관계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119-145.
  43. 장희정(2011). 숲유치원의 이해: 국내외 숲유치원 운영실제. (사)숲유치원협회 2011년도 교사연수 : 구두발표 논문.
  44. 조은제(2011). 숲에서의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정서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5. 토박이사전편찬실(2008). 보리국어사전. 서울 : 보리.
  46. 홍민경, 이경화(2011).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개념도 분석. 아동학회지, 32(3), 241-255.
  47. 황영철(2012). 새로운 미래 숲으로 가자. 제4회 숲유치원 국제세미나 : 구두발표 논문.
  48. 황지애, 김성재(2012). 숲유치원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조사.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99-117.
  49. Beyerbach, B. A. (1988). Developing a technical vocabulary on teacher planing: Preservice teachers' concept map.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4(4), 339-347. https://doi.org/10.1016/0742-051X(88)90032-7
  50. Bickel, K. (2001). Der Waldkingergarten. Leipzig: Nodtenmedia.
  51. Golden, A. (2010). Exploring the forest: Wild places in childhood. Golden Voices of Practitioners, 5(1), 1-11.
  52. Grey, P. (2011). The special value of children's age-mixed paly. American J ournal of Play, 13(1). 500-522.
  53. Katz, L. G. (1988). Developmental stage of preschool teachers. Elementary School Journal, 73, 50-54.
  54. Kenny, E. K. (2014). Forest education in usa for child. 제6회 산림교육 숲유치원 국제세미나 : 구두발표 논문.
  55. Knight, S. (2009). Forest school and outdoor learning in the early years. London : Sage.
  56. Kollner, S., & Leinert, C. (1998). Waldkindergarten. Augsburg: RIWA Verlag.
  57. Markham, K. M., Mintzes, J. J., & Jones, M. G. (1994). The concept map as a research and evaluation tool: Further evidence of validi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1), 91-101. https://doi.org/10.1002/tea.3660310109
  58. Meier, D. R., & Sisk-Hilton, S. (2013). Nature education with young children: Integrating inquiry and practice. NY : Routledge.
  59. Morine-Dershimer, G. (1993). Tracing conceptual change i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9(1), 15-26. https://doi.org/10.1016/0742-051X(93)90012-6
  60. Novak, J. D., &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61. Patterson, C. H. (1989). Humanistic education. 인간주의 교육(장상호 옮김). 서울 : 박영사(원판 1980).
  62. Schede, H. G. (2000). Der Waldkingergarten auf einen Blick, Freiburg : Herder.
  63. Tschan, M. (2012). Naturerfahrung im kindesalter-Inspiration fuers leben waldortpaedagogik im waldkindergarten. 제4회 숲유치원 국제세미나 : 구두발표 논문.

피인용 문헌

  1. A basic research for the after-school forest activities program models: Focusing on requirement and perception of parents vol.27, pp.3, 2014, https://doi.org/10.21024/pnuedi.27.3.201709.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