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또래추천을 통한 초등영재교육 대상자 선발 가능성 탐색

Investigation of the Possibility for Identification of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Peer Recommendation

  • 투고 : 2014.06.13
  • 심사 : 2014.08.21
  • 발행 : 2014.08.31

초록

본 연구는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 방법으로서 또래추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영재 선발에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있는 D초등학생 4, 5, 6학년 학생 355명과 J초등학생 4, 5, 6학년 학생 165명과 각 반의 담당 교사 16명이다. 연구를 위해 또래추천 학생과 미추천 학생간의 창의적 인성, 성취동기, 문제해결 성향 및 과제선호검사에서 차이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추천 학생과 미추천 학생들 간의 창의적 인성, 성취동기, 문제해결 성향 및 과제 선호는 또래추천 학생이 미추천 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하위영역별로 비교하여 보았을 때는 창의적 인성의 심미성을 제외하고 모두 또래추천 학생들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학년별 또래추천 학생과 미추천 학생들 간의 창의적 인성, 성취동기, 문제해결 성향, 과제 선호검사에서는 5, 6학년은 모두 또래 추천 학생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4학년 학생은 창의적 인성을 제외하고 또래추천 학생이 모두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 및 또래로부터 모두 추천받은 학생과 교사 추천만 받은 학생의 창의적 인성, 성취동기, 문제해결 성향 및 과제 선호를 비교해 보았을 때, 동료 및 교사 모두에게 추천받은 학생이 교사에게만 추천받은 학생보다 문제해결 성향 및 과제선호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따라서 초등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에서 또래 추천 방법은 교사추천을 보완하는 유용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peer recommendation and to provide a diverse perspectives identifying for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355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either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from 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165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either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from J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nd 16 teachers who were home-room teachers for students surveyed. This research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creative personality, achievement motivation, problem solving patterns, and task preference inventory between students recommended by peer and students not recommended by pee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ly, the students recommended by peer showed the significantly higher creative personality, achievement motivation, problem solving patterns, and task preference than the student not recommended by peer. Secondl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tudents recommended by peer and students not recommended by peer for each grade,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the test than other graders. Fourth grade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every sections in the test, except for the section of creative personality. Therefore, the peer recommandation method can be applied to fifth, and sixth graders. Thirdly, the student recommended by both teacher and pee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roblem solving patterns, and task preference scores than the student recommended only by teacher. Therefore, peer recommendation method can be an useful data for complementing teacher recommendation and it can identif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민석, 박병태 (2011). 영재관찰추천 과정에서 담임교사의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따른 영재판별의 차이. 영재교육연구, 21(2), 427-447.
  2. 교육부 (2013). "영재교육 최적화를 통한 창조적 인재육성"을 위한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3-2017). 교육부 창의인재정책관.
  3. 김삼종 (2001). 동료평가 적용 여부에 따른 요약하기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석사학위논문.부산대학교
  4. 김은영 (2010). 초등 수학영재의 성취동기와 자기효능감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5. 류지영 (2010). 관찰 . 추천을 통한 영재판별에 대한 영재담당교사들의 인식과 태도. 한국교원교육연구, 27(2), 159-178.
  6. 류지영, 정현철 (2010). 영재학급 대상자 선발을 위한 관찰. 추천 영재판별모형 개발 연구. 영재교육연구, 20(1), 257-287.
  7. 문정숙 (2012). 초등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리더십 및 창의적 인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8.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 (2003).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9. 서울시교육청 (2010). 관찰 . 추천 영재교육대상자 선발 매뉴얼. 서울 : 서울특별시 교육청.
  10. 윤여홍 (2000). 영재의 심리적 특성과 정서발달을 위한 상담.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9(1),79-101.
  11. 이광형, 정현철, 류지영, 김지선 (2010). 영재성 판별교사 전문연수 양성과정 개발 보고서.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12.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 (2009). 최신영재교육학원론. 서울: 학지사.
  13. 이인호, 한기순 (2009).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에서 교사 추천의 효용성 분석. 영재교육연구, 19(2), 381-404.
  14. 이재호, 류지영, 진석언 (2011). 미래사회 영재 판별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논문지, 15(2), 207-316.
  15. 장동엽 (2011). 영재성에 따른 창의적 학문적 자기능력 인식 및 창의적 문제 해결력과 학업성취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16. 전연진 (2011). 초등 영재 판별 방법으로서 동료추천의 효용성 탐색.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17. 조석희, 한석실 (2004). 영재교육대상자 판별도구 개발 -1단계 선발용.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8. 최왕균 (2011). 수 퍼즐 문제 만들기 과제에서 나타나는 초등수학 영재들의 수학적 사고특성 분석 / 문제설정과 일반화 사고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19. 하주현, 유경재, 한윤영 (2011). KEDI 창의적 인성검사 3종 개발 보고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 Banbury, M. M., & Wellington, B. (1989). Designing and using peer nomination forms. Gifted Child Quarterly, 33, 161-164. https://doi.org/10.1177/001698628903300407
  21. Borland, J. H. (1978). Teacher identification of the gifted: A new look.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 22-32. In J. H. Borland(Ed.), Rethinking Gifted Education. NY : Teachers College Press.
  22. Borland, J. H. (2003). Death of Gifted. In J. H. Borland(Ed.), Rethinking Gifted Education. NY : Teachers College Press.
  23. Borland, J. H., & Wright (1994). Identifying young, potentially gifted, economically disadvantageous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38, 164-171. https://doi.org/10.1177/001698629403800402
  24. Cleary, T. A., Humperys, L. G., Kendrick, S. A. & Weaman, A. (1975). Educational uses of tests with disadvantageous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38, 65-69.
  25. Coleman, L. (1994). Portfolio assessmnet: A key to identifying hidden talents and empowering teachers of young children. American Psychologist, 30, 15-41.
  26. Cox, J., Daniel, N., & Boston, B. A. (1985). Educating able learners: Programs and promising practices. Austin, TX: University of Texas Press.
  27. Cramer, R. H. (1991). The education of gifted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A Delphi study. Gifted Child Quarterly, 35, 84-91. https://doi.org/10.1177/001698629103500207
  28. Davis, G. A., & Rimm, S. B. (2004).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5th). Boston: Allyn & Bacon.
  29. Davison,, J. E., & Sternberg, R. J. (1984). The role of insight in intellectual giftedness. Gifted Child Quarterly, 28, 58-64. https://doi.org/10.1177/001698628402800203
  30. Freeman, M. A. (1995). Peer assessment by groups of group work. Assessment and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20(3), 297-06. 전연진(2011) 재인용.
  31. Pfeiffer, S. I. (2002). Identifying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Recuurring issues and promising solutions. Journal of Applied school Psychology, 19, 31-50.
  32. Renzulli, J. S. (1986). The three ring conception of giftedness: A developmental model for creative productivity. In R. J. Sternberg, & J. E. Davison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MA: Cambridge university.
  33. Rogers, K. (1986). Do the gifted think and learn differently: a review of recent research and its implications for instruction.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0, 17-39.
  34. Sanborn, M. P. (1977). A statewide program in the discovery and guidance of gifted studnets. In J. C. Stanley (ED.) Educational program and intellectual prodigies. Baltimore Maryland.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이인호, 한기순(2009) 재인용.
  35. Siegle, D., & Powell, T. (2004). Exploring teacher biases when nominating students for gifted programs. Gifted Child Quarterly, 48, 21-29. https://doi.org/10.1177/00169862040480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