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Bulguksa Dabot'ap expressed in the symbolism of Ŭisang's ilsŭng pŏpkyedo and Muyoungt'ap

불국사 다보탑에 표현된 일승법계도와 무영탑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3.12.05
  • Accepted : 2014.06.17
  • Published : 2014.07.30

Abstract

Bulguksa Dabot'ap was not built symbolize of the Many-treasured Buddha's anytime prove but built symbolizes of the Sakyamuni Buddha's anytime sermons and his preaching four place in the sky of the Avatamska Sutra that represent muyoungt'ap is meant to Sakyamuni Buddha's Mah$\bar{a}$vairocana Dharmak$\bar{a}$ya preached equality to the light illuminates without shadows. And, the pagoda's overall appearance of the visualization and manufacture of stone blocks by the grid was also master $\bar{U}$isang(625-702)'s ils$\breve{u}$ng-p$\breve{o}$pkyedo(Diagram of the Avatamsaka One Vehicle Dharmadh$\bar{a}$tu). Looking at each floor of the symbolism, the first floor is symbolize the ils$\breve{u}$ng p$\breve{o}$pkye of Hwa$\breve{o}$m doctrine and second-fourth each floors represents three world of the Buddhists law. Other, the each floors of the symbolizes Bodhisattva(self-discipline) vehicle and each floor plans of the symbolizes Dharmacakra shape. So, the pagoda is to be based on the symbolize of master $\bar{U}$isang's ils$\breve{u}$ng-p$\breve{o}$pkyedo and his Hwa$\breve{o}$m philosophy or Hwa$\breve{o}$m doctrine. This pogada is the symbol of largely due to $\bar{U}$isang's efforts, Hwa$\breve{o}$m philosophy came to dominate the mid-eighth century Silla Buddhist scholasticism.

Keywords

References

  1. 강봉진(문화재청), 다보탑(한국의 고건축 제7호), 1985
  2. 경전연구모임 역, 유마경, 승만경, 불교시대사, 1991.
  3. 경전연구모임 역, 관무량수경, 불교시대사, 1991.
  4. 국립문화재연구소, 경북의 석탑, 금강인쇄소, 2007
  5. 관야정, 조선의 건축과 예술, 암파서점, 1942
  6. 권황수, 의상대사의 일승법계도에 따른 불국사 다보탑의 층 구성 해석.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34 n.1(2014-04)
  7. 권황수, 불국사 건축에 표현된 의상대사의 일승사상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34 n.1(2014-04)
  8. 권황수, 불국사의 서 다보와 동 무영 양탑 경조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34 n.1(2014-04)
  9. 균여, 장순용 역, 십구장원통기 상권, 하권, 동국역경원, 2010
  10. 균여 저, 일승법계도원통기, 한국불교전서 4
  11. 균여, 최연식 역, 일승법계도원통기, 동국대학교출판부, 2010
  12. 김호성 역, 법계도기총수록 외, 한글대장경 238, 한국찬술 4, 동국역경원 2009.12.24
  13. 김달진 편역(원효 저), 금강삼매경론, 열음사, 1986
  14. 김무조, 신라불교 신라스님, 신지서원, 1997
  15. 김상현외 2, 불국사, 대원사, 1992.6
  16. 김현해, 법화경 요품 강의, 민족사, 1996
  17. 남천우, 석불사-토함산의 중각석굴-, 일조각, 1991.4
  18. 능엄경 2, 오진탁 옮김, 시공사, 2000.5
  19. 대안스님, 다시보는 화엄경, 혜성출판사, 2004.10
  20. 대한건축학회, 동양건축사도집, 1993
  21. 미전미대치(신영훈 역), 한국상대건축의 연구, 동산문화사, 1969
  22. 배진달, 불국사 석탑에 구현된 연화장세계-석가탑.다보탑의 명칭과 관련하여, 사각문화의 전통과 해석 : 김리나 교수 정년퇴임기념 미술사논문집, 예경, 서울, 2007
  23. 불교통신교육원역(일연 저), 삼국유사(하), 이화문화사, 1986
  24. 불타발타라 역, 김지견 옮김, 화엄경, 민족사, 2000.4
  25. 설잠 저, 선지 역주, 대화엄일승법계도주, 문현, 2010
  26. 신현숙, 불국사의 가람배치와 불국토관, 불교사상, 제28호, 1986.
  27. 오미영(혜민), 의상 화엄일승법계도의 법계관 연구, 2004, 동국대 석사논문
  28. 염중섭, 석가탑과 다보탑의 명칭적인 타당성 검토, 건축역사연구제19권 4호 통권 71호, 2010년 8월
  29. 의상 찬, 김지견 역, 일승법계도합시일인, 초롱, 1997.
  30. 의상 찬, 화엄일승법계도, 한국불교전서 2
  31. 신춘열 역, 업설지장경, 광륵사, 1995, p.18
  32. 일본건축학회, 일본건축사도집, 1999
  33. 입강태길 외 2, 약사사 동탑, 암파서점, 1974.12
  34. 작자미상, 법계도기총수록, 한국불교전서 6
  35. 해주스님, 화엄의 세계, 민족사, 1998
  36. 허정스님 엮음, 가려엮은 아함경, 지혜의 나무, 2004
  37. 활안 편저, 의상대사이야기, 불교정신문화원, 2005
  38. 동국대 개교80주년기념사업회, 1986, 무구정광대다라니경영인 및 해설
  39. 杉山信三, 朝鮮の石塔,.1942, p.104(1979 보련각 재간본 참조)
  40. 濱島正士著, 日本佛塔集成, 中央公論美術出版(東京),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