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 김흥식, 김도형, 방민, 전통마을의 친환경건축 계획요소 분류체계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4권 5호, 2008.
- 김흥식, 박진철, 김판원, 전통마을 친환경건축 계획요소 분류체계설정에 따른 순천 낙안읍성 적용실태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8권 2호, 2012
- 김흥식,전통마을 친환경 건축계획요소 분류체계 설정에 따른 창평 삼지내마을 적용실태 분석, 한국생활환경학회지, 18권 6호, 2011
- 김흥식, 김도형, 전통마을의 친환경건축 계획요소 분류체계 설정에 따른 보성 강골마을 적용 실태 분석, 생활환경학회지, 17권 6호, 2010
- 마성일, 건축문화재의 보존 실태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석사), 2004
- 김훤, 전남지역 양익형 전통가옥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 2006
- 이재창, 전통마을의 공간분석을 통한 주거단지 계획안, 광주대학교 (석사), 2010
- 이현병, 김성우, 北向形局의 전통마을에서 주택의 方位的특성에 관한 연구 : 상사, 임하, 하우산, 월곡 마을을 중심으로, 한국건축역사학회, 18권 3호, 2009
Cited by
- Water Treatment Measures to Improve Ecological Value in Traditional Korean Villages: The Case of Oeam Village, Asan City, Korea vol.9, pp.7, 2017, https://doi.org/10.3390/su9071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