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eneral Public Understanding on Residential Area and Housing of Seoul, the Capital City of Korea in 1970s through Park, Wan-suh's Novels

박완서 소설을 통해 본 1970년대 대한민국 수도-서울 주거공간의 인식과 체험

  • 박철수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 Received : 2013.11.18
  • Accepted : 2014.03.03
  • Published : 2014.03.25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how the general public understood and acted on housing and residential area of Seoul, Capital City, in 1970s. Many refer 1970s of Seoul as a representative period for the development of dense Korean cities. The researcher reviews novels of Park Wan-suh described city Seoul of 1970s with realism through memories and experiences in order to understand life and housing of the general public.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approach were the methods for the following findings. 1970s was the time for the development of density with lateral and vertical expansion of housing in Seoul of which boundaries were expanded in 1963, and expansion of housing in suburb also followed. As a result, people could seek housing in much expanded areas and the housing market got overheated with rising price. There was a boom for owning apartment housing with considerable urbanization of Korean cities. Large supply of apartment housing especially with development of Gangnam resulted in dominance of apartment housing with convenient and independent life style over existing housing type such as single house. 1970s was also the time of transition for the housing types, preference for apartment homes became strong trend in the housing market and urban traditional Korean houses started to diminish as a choice for housing type, which had been popular. Apartment housing was considered as a sign of departure from premodern lifestyle and achievement of higher level of economic class. It was very 1970s when distinction between luxury and mid-or low-income apartment housing evident based on size and housing features. Understanding on housing in 1970s represented by criticism on luxurious single house of mid-income class, which was a dominant housing type and extravagant life style with wealth made easy from the overheated housing market. Especially, main criticism is on luxurious single house and weekend farm that was possible with opening of Gyungbu Express Way accompanied by new consumer culture.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1. 공동주택연구회, "한국공동주택계획의 역사", 서울, 세진사, 1999
  2. 국립예술원, "예술사 구술총서 005 박완서_못 가 본 길이 아름답다", 수류산방, 서울, 2012
  3. 김광철 기획, "칠십년대 잡지광고", 파주, 프로파간다, 2013
  4. 김재관, 장두식, "문학 속의 서울", 서울, 생각의 나무, 2007
  5. 김현주, "대중소설의 문화론적 접근", 파주, 한국학술정보(주), 2005
  6. 문근종, "한국영화에 드러난 아파트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8
  7. 박완서, "박완서 단편소설 전집", 1-7권, 파주, 문학동네, 2013
  8. 박완서, "박완서 소설선집 결정판", 1-22권, 서울, 세계사, 2012
  9. 박용규, "신문의 사회문화사", "한국의 미디어 사회문화사", 서울, 한국언론재단, 2008
  10. 박철수, "박완서의 문학작품을 통해 본 서울 주거공간의 이분법적 시각",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17권 제2호, 한국주거학회, 2006
  11. 박철수, "아파트_공적 냉소와 사적 정열이 지배하는 사회", 서울, 마티, 2013
  12. 서울시, "서울통계연보", 각 년도
  13. 서울시, <저층주거지 주거실태 조사>, "단독주택의 정비유형 모델개발 연구", 2011.2
  14.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지표로 본 서울변천", 2003
  15.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학연구소, "서울, 20세기_100년의 사진기록", 2000
  16. 손세관, "서울 20세기 주거환경의 변천", "서울 20세기 공간변천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17. 심승희, "문학지리학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문화역사지리 제13권 제1호,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1
  18. 안남일, "기억과 공간의 소설현상학", 서울, (주)나남출판, 2004
  19. 오기노 치히로(荻野千尋), "江南8學群地域의 形成-場所形成에 나타난 韓國的特性",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8
  20. 오창은, "아파트 공간에 대한 문화적 저항과 수락", 어문논총 제33권, 한국어문학연구소, 2005
  21. 이성욱, "쇼쇼쇼_김추자, 선데이서울 게다가 긴급조치", 서울, (주)생각의나무, 2004
  22. 임동근, "서울에서 유목하기", 서울, 문화과학사, 1999
  23. 임서환 외, "공동주택 생산기술 변천과정", 대한주택공사, 1995
  24. 임창복, "한국 도시 단독주택의 유형적 지속성과 변용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8
  25. 전경옥 외, "한국여성문화사2", 숙명여자대학교 출판국, 2005
  26. 전남일 외, "한국주거의 사회사", 파주, 돌베개, 2008
  27. 전상인, "아파트에 미치다_현대한국의 주거사회학", 서울, 이숲, 2009
  28. 조남현, "1970년대 소설의 몇 갈래", "한국현대문학사", 서울, (주)현대문학사, 2005
  29.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서울, 이성과 힘, 2004
  30. 최근희, "서울의 도시개발정책과 공간구조", 서울학연구소, 1996
  31. 최재필, "서울 주거의 사회문화적 특성", "서울 20세기 생활.문화변천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32. 한기(한형구), "구텐베르크 수사들_한기 문학평론집", 서울, 도서출판 역락,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