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구유형에 따른 권역별 하구습지의 분포특성과 시계열 변동추이 분석

Spatial Distribution and Temporal Variation of Estuarine Wetlands by Estuary Type

  • 노백호 (계명대학교 환경계획학과) ;
  • 이창희 (명지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Rho, Paikh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Planning, Keimyung University) ;
  • Lee, Chang-He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Myongji University)
  • 투고 : 2014.05.08
  • 심사 : 2014.06.18
  • 발행 : 2014.06.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463개 하구를 대상으로 하구습지의 권역별 분포특성과 시계열 변동추이를 하구순환 관점에서 파악하는 데 있다. 환경관리에 널리 이용되는 유역을 토대로 한강서해권역, 한강동해권역, 금강권역, 영산강권역, 섬진강권역, 낙동강권역, 제주권역을 대상으로 하구습지의 분포실태를 조사하고, 권역별 하구습지의 시계열 변동추이를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토지피복지도를 확보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강서해권역, 금강권역, 영산강권역의 하구습지는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하구둑, 배수갑문 등 인공구조물에 의해 하구순환이 차단된 닫힌하구에서의 습지감소폭이 크고, 하구순환이 유지되는 열린하구에서의 습지훼손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구습지와 관련된 갯벌, 개방수면, 염습지, 암석해안, 모래해안 등 하구내 서식지 다양성은 하구순환이 차단된 닫힌하구에 비해 하구순환이 유지되는 열린하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권역별 하구습지의 분포특성과 시계열 변동추이는 하구환경의 관리방향을 설정하거나 훼손된 하구습지의 복원전략을 마련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patial distribution of estuarine wetlands in Korea, and to assess temporal variation of the wetlands in the last few decades. Widely known in environmental and coastal management, watershed-based regions which composed with Han-river(western and eastern parts), Keum-river, Yeoungsan-river, Seomjin-river, Nakdong-river, and Jeju, are analyzed to evaluate temporal change of estuarine wetlands in the 1980s, 1990s, and 2000s, through the land-cover map. Results show that estuarine wetlands dramatically decreased in Han-river(western part), Keum-river, Yeoungsan-river that estuarine circulation have been interrupted with man-made structures such as dyke and drainage. But, estuarine wetlands surrounded by forests and grasslands has been relatively less damaged. Habitat diversity providing healthy estuary ecosystem is lower in interrupted estuaries than circulated estuaries, which are composed of tidal-flat, open water, salt marsh, rocky coasts and sandy shoreline. This study indicates that spatial distribution and temporal variation of estuarine wetlands are different with estuary type and region, so estuary type with seven regions can be applied to provides a framework for estuary management strategies and to establish estuary restoration plan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