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 among the Social Activity,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Urban Elderly

도시노인의 사회활동과 자아효능감 및 심리적 복지감 간의 관계

  • 이의걸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노인복지학과) ;
  • 조성숙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노인복지학과)
  • Received : 2014.04.19
  • Accepted : 2014.07.09
  • Published : 2014.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ocial activity,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old aged people living in Seoul area. For the study, 396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o analyzed the effect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ocial activi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moderate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m.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artial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satisfaction for their lives was positively affected by vocation, health, youth and the social activity. Third, a spouse, health, income and social activity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loneliness. Forth, a spouse, children, health, more social activity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depression. Finally, the self-efficacy had a moderate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social activity and loneliness, and depression respectively.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에 거주하는 도시노인의 사회활동, 자아효능감 그리고 심리적 복지감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도시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와 사회활동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영향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도시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심리적 복지감에 부분적 차이가 나타났고 둘째, 직업이 있는 경우, 좋은 건강상태, 낮은 연령, 그리고 사회활동 참여에 대한 높은 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셋째, 배우자가 있는 경우, 좋은 건강상태, 월생활비가 높은 경우, 그리고 사회활동 참여에 대한 높은 인식이 소외감에 부(-)의 영향을 미쳤고 넷째, 배우자가 있는 경우, 자녀와 동거하는 경우, 좋은 건강상태,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시간이 많은 경우, 그리고 사회활동 참여에 대한 높은 인식이 우울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다섯째, 자아효능감은 사회활동 참여와 소외감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2. J. Rowe and R. Kahn, Succ essful aging, The Gerontollogist, Vol.37, pp.433-441, 1997. https://doi.org/10.1093/geront/37.4.433
  3. B. Sarah, Laditka, "Attitudes about aging well among a diverse group of older American :Implications for promoting cognitive health," The Gerontologist, Vol.9, No.S1, pp.S30-s39, 2009.
  4. 주경희, "사회참여 노인의 활동수준과 삶의 질-성별과 연령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2권, 제2호, pp.5-39, 2011.
  5. 이현심, 남희수, "농촌 노인의 일상생활능력과 우울감, 자아존중감 및 사회활동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경기도 여주를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제17권, 제4호, pp.957-984, 2010.
  6. 남기민, 박현주, "노인의 종교활동과 사회활동 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우울과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통권49호, pp.405-428, 2010.
  7. 통계청, 2011, 2011년 사회조사결과(복지.사회참여.문화와 여가.소득과 소비.노동).
  8. E. B. Palmore, Social pattern in normal aging, Durham, N. C : Duke University Press., 1981.
  9. 황종남, 권순만, "중.고령자의 사회활동 참여와 인지기능과의 관계", 한국노년학, Vol.29, No.3, pp.971-986, 2009.
  10. 조추용, "노인의 여가활용과 사회참여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Vol.22, pp.7-34, 2004.
  11. Merril Siverstein and Marti G. Parker, "Leisure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oldest old in Sween," Research on Aging, Vol.24, p.528, 2002. https://doi.org/10.1177/0164027502245003
  12. 박미석, 이유리, "한국노인의 여가활동 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ol.21, No.1, pp.37-48, 2003.
  13. 김진욱, "한국노인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2004년 생활시간조사에 나타난 노인의 일, 가족, 여가생활 분석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Vol.32, pp.149-177, 2006.
  14. 이소정, 정경희, 이윤경, 유삼현, 우리나라 노인의 사회참여 유형 분석 및 정책적 함의, 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07.
  15. 조용하, 여성노인의 사회적 활동과 사회적 관계망에 따른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16. 윤순덕, 한경혜, "농촌 노인의 생산적 활동과 심리적 복지", 한국노년학, 제24권, 제2권, pp.55-77, 2004.
  17. 장인협, 최성재,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18. 김주현, 한경혜, "노년기 자원봉사활동과 자아존중감", 한국노년학, 제21권, 제2호, pp.209-224, 2001.
  19. 김영길, 노인의 종교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과한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20. 유향숙, "종교활동 참여가 노년기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기독교인 중심으로", 한국상담치료학회지, Vol.3, No.1, pp.31-45, 2012.
  21. 이진희, 김욱, "노인교육참여가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Vol.28, No.4, pp.887-905, 2008.
  22. 이종경, 이은주, "노인의 여가스포츠활동 참가가와 스트레스 및 자살생각감소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Vol.34, No.3, pp.17-26, 2010.
  23. 김영미, 한혜원, "노인의 생활무용참가가 건강상태와 사회적 역할활동 및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4, pp.1-16, 2011.
  24. 김미혜, 정진경, "노인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 헌신과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활동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Vol.54, pp.221-243, 2003.
  25. 현정환, "자기효능감(self-efficacy)에 관한 연구 동향과 문제", 한국심리학회지, 제12권, 제1호, pp.81-97, 1993.
  26. A. Bandura,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y, Vol.37, pp.122-147, 1982. https://doi.org/10.1037/0003-066X.37.2.122
  27. 추미애, 박아정,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및 학교적응 간의 관계", 아동교육, 제15권. 제2호, pp.271-288, 2006.
  28. 구본용, "청소년의 자아효능감과 학교적응관계 에서 부모, 교사, 또래관계의 매개 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3호, pp.347-373, 2012.
  29. 황희숙, 주희진, "초등 영재아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연구, 제11권, 제4호, pp.525-545, 2011.
  30. 서병우, "선배직원이 인턴사원의 자아효능감, 조직적응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취업진로 연구, 제2권, 제2호(통권 4호), pp.21-36, 2013.
  31. 김지연, "초등학교장의 감성지능과 교사의 자아 효능감, LMX의 질 그리고 학교조직유효성과의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2, pp.205-227, 2010.
  32. 조강혜, 노형봉, "자아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집단효능감의 매개변수 역할을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제20권, 제4호, pp.175-188, 2013.
  33. R. Veenhoven, "Is happiness relative?,"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24, pp.1-34, 1991. https://doi.org/10.1007/BF00292648
  34. N. F. Marks, "Flying solo in midlife: Gender, marital statu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58, No.4, pp.917-932, 1996. https://doi.org/10.2307/353980
  35. R. J. Havighurst, B. N. Neugarten, and S. S. Tobin, "Disengagement and pattern of aging," In B. L. Neugarten(ed.) Middle age and aging, Chicago :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8.
  36. 백경숙, 권용신, "노년기의 경제활동과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 연구", 노인복지연구, 통권 35호, pp.87-106, 2007.
  37. 조용란, 이인수, "노인교실 예술활동 프로그램의 참여유형과 효과에 관한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제9권, 제1호, pp.23-49, 2013.
  38. 백혜영, "노인 복지관 이용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28집, 제4호, pp.73-92, 2012.
  39. 하경분, 송선희, "노인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보기감과의 관계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7, pp.278-289, 2013.
  40. 정원철, 박선희, "노인의 사회자본이 자존감과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Vol.13, No.12, pp.235-24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235
  41. 김강호, "사회적 자본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효과 : 도농간 비교",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2, No.2, pp.81-97, 2010,
  42. 이정화, 한경혜, "농촌노인의 일과 여가활동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농촌사회, 제13집, 제1호, pp.209-238, 2003.
  43. 고용기, 최석환, 황성우, "중년세대의 여가활동 참여동기가 사회적 지지와 심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제19권, 제4호, pp.383-396, 2010.
  44. 백종욱, 김성오, 김미양, "노인들의 여가활동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임상사회사업연구, Vol.7, No.1, pp.37-58, 2010.
  45. 이영석, 최외선, "여성단체활동자의 역할갈등과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6권, 제1호, pp.201-218, 2011.
  46. R. S. Weiss, "The provisions of social relationship," In Zick Rubin(Ed.), Doing unto others,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 J. 1974,
  47. 김수연, 도시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48. M. J. Mahony, "Psychological predictors of elite and non elite performance in olympic weightlif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Pychology, Vol.20, No.1, pp.1-12, 1988.
  49. 서채원, 노인 생활채육활동참여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50. N. M. Bradbaum,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ldine Pub Co. Chicao, IL. 1969.
  51. 조민자, 노인 여가복지시설 유형에 따른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복지감의 관계,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