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Korean TV Talk Shows Trend from a Self-disclosure Perspective

국내 오락 토크쇼 흐름과 소통 형태 및 구조에 대한 연구-자기노출 관점을 바탕으로

  • 오미영 (가천대학교 언론영상광고학과)
  • Received : 2014.05.28
  • Accepted : 2014.06.23
  • Published : 2014.07.28

Abstract

The competitive circumstance among domestic TV stations caused by TV channels of comprehensive programming appearance in 2011 brought the rapid growth of talk show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agnose the talk shows trend from a self-disclosure perspective to consider a social aspect and communication structure in popular TV programs. 26 domestic TV talk shows from 2011 to 2014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understand current state and grasp genres and formats. The results show that self-disclosure talk shows are increasing under the leading of terrestrial TV channels. The talk only type of talk show is superior in numbers compare to the variety type talk show includes such as game and quiz. The popular talk shows were produced inside studio mainly with fun seeking topics. Multi MCs and guests encountered many to many communication structure. The marked changes among self-disclosure talk shows to encourage participation of entertainers' family members and ordinary people are emerging and it is a noteworthy phenomenon.

2011년 종합편성 채널 등장과 함께 본격화된 국내 방송가의 시청률 경쟁은 출연자들의 공개 고백을 이끌어내는 오락 토크쇼 증가 현상으로도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방송가의 이러한 토크쇼 유행 흐름을 진단하여 시대상의 일면을 고찰하는 한편 대중적인 소통 형태와 구조를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을 기점으로 2014년 현재까지 국내에서 방영 중인 오락적인 토크쇼 26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현황을 분석하고 장르 및 포맷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자기노출 위주의 토크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지상파 TV가 이러한 흐름을 주도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장르 관점에서 보자면 버라이어티쇼보다 단순한 토크 위주 프로그램이 우세했다. 포맷 측면에서는 스튜디오에서 주로 다수의 진행자와 다수의 출연자 간 재미를 추구하는 소통 구조 속에서 신변잡기, 사적인 비밀, 가족 이야기에 대한 노출 소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이 가운데 눈에 띄는 추세는 TV 토크쇼에서의 자기노출이 출연자 개인을 넘어 그들 가족과 일반 시청자로 확장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공공 영역에서의 자기노출 및 자기노출 일반화 경향을 확인시키는 주목할 만한 현상으로 파악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태영, 윤태진, 한국 TV 예능 오락프로그램의 변천과 발전, 서울: 한울 아카데미, 2002.
  2. 김응숙, "증언과 고백의 세계: 텔레비전의 서사화와 치료윤리", 언론과학연구, 제4권, 제2호, pp.5-34, 2004.
  3. 나미수, 조준모, "시대 흐름에 따른 TV토크쇼의 특성 변화에 대한 연구: KBS토크쇼를 중심으로", 지방자치연구, 제15권, pp.75-105, 2011.
  4. 류시현, 다매체시대 방송진행자의 전문성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5. 박소라, "경쟁도입이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1989년이후 지상파 방송편성표 분석을 통하여", 한국언론학보, 제47권, 제5호, pp.222-250, 2003.
  6. 배진아, "방송시장의 포맷 거래에 관한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9권, 제2호, pp.6-36, 2008.
  7. 배진아, 박주연, "TV 포맷의 유형화 탐색",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1권, 제1호, pp.121-153, 2010.
  8. 백선기, 정현주, "텔레비전 토크쇼의 의미구조와 이데올로기", 기호학연구, 제4권, 제1호, pp.209-233, 1998.
  9. 윤명식, TV 경제관련 프로그램 레비전 프로그램의 탈 장르적 편성전략에 관한 연구: "힘내세요 사장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언론 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10. 이금희, 텔레비전 프로그램장르에 따른 진행자 선호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11. 이금희, 토크쇼의 상징적 자기완성 기능에 관한 연구: KBS<아침마당> '수요가족탐구'중년여성 출연자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2. 이두원, "TV토크쇼진행자의 언어적 스타일에 대한 연구: 토크쇼 진행언어의 표현적 특성에 관한 고찰", 한국방송학보, 제6권, 제1호, pp.5-39, 1995.
  13. 이영현, 텔레비전 방송진행자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14. 이원표, "토크쇼에서의 말 끼어들기: 담화 기능과 사회적 변인", 담화와 인지, 제6권, 제2호, pp.23-59, 1999.
  15. 이희은, "텔레비전 버라이어티쇼의 사적인 이야기 서술", 언론과 사회, 제19권, 제2호, pp.2-48, 2011.
  16. 전범수, "SNS 자기노출 집단별 동질성 인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170-178,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170
  17. 정윤경, 전경란, "프로그램 포맷의 절합과 변형: 해외 오락 포맷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1호, pp.197-232, 2010.
  18. 주창윤,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 분류기준에 관한 연구", 방송연구, 겨울호, pp.105-136, 2004.
  19. 차찬영, 박주연, "TV오락프로그램의 포맷 구성의 변화: 2000년대 지상파 방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2권, 제3호, pp.526-564, 2012.
  20. 최인자, "한국 TV토크쇼의 서사담화 패턴과 그 문화적 기능", 이중언어학, 제22권, 제2호, pp.365-380, 2003.
  21. 함헌, "텔레비전 토크쇼 프로그램의 서사와 사회문화적 함의",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제27권, pp.17-23, 2008.
  22. I. Altman and D. Taylor, Social Penetration: The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1973..
  23. R. L Archer and W. B. Earle, In P.B. Paulus(Ed.), The interpersonal orientations of disclosure, Basic group process, New York: Springer-Verlag, pp.289-314, 1983.
  24. D. Calbaugh, Talking American: Cultural discosures on DONAHUE, Norwood, N. J.: Ablex, 1988.
  25. J. R. Caruso and M. E. Arthur, A Beginner's Guide to Producing TV, 1998.
  26. G. J. Chelune, "Disclosure flexibility and social-situational perceptions," J.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45, pp.1139-1143, 1977. https://doi.org/10.1037/0022-006X.45.6.1139
  27. P. C. Cozby, "Self-disclosure: a literature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Vol.79, pp.151-160, 1973.
  28. S. Cross and J. Littler, "Celebrity and Schadenfreude: The cultural economy of fame in freefall," Cultrual Studies, Vol.24, No.3, pp.395-417, 2010. https://doi.org/10.1080/09502381003750344
  29. V. J. Derlega and J. Grzelak, In G. J. Chelune(Ed.), Appropriateness of self-disclosure, Self-disclosure, San Francisco: Jossey-Bass, 1979.
  30. R. Gelman and H. Mcginley, "Interpersonal liking and self-disclosure," J. of Conseling Psychology, Vol.25, pp.1549-1551, 1978.
  31. M. E. Grabe and D. G. Drew, "Crime cultivation: Comparisons across media genres and channels," J. of Broadcasting and Electronic Media, Vol.51, No.1, pp.147-171, 2007. https://doi.org/10.1080/08838150701308143
  32. C. F. Halverson and R. E. Shore, "Self-disclosure and interpersonal functioning?," J. of Clinical Psychology, Vol.33, pp.213-217, 1969.
  33. D. Horton and R. R. Wohl, "Mass communication and para-social interaction: Observations on intimacy at a distance," Psychiatry, Vol.19, No.3, pp.215-229, 1956. https://doi.org/10.1080/00332747.1956.11023049
  34. S. M. Jourard, The transparent self, New York: Van Nostrand, 1964.
  35. J. Kim and J-E. R. Lee, "The facebook paths to happiness: Effects of the number of facebook friends and self-prsentation on subjective well-being,"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Vol.14, No.6, pp.359-364, 2011. https://doi.org/10.1089/cyber.2010.0374
  36. B. King, "Stardom, celebrity and the para-confession," Social Semiotics, Vol.18, No.2, pp.115-132, 2008. https://doi.org/10.1080/10350330802002135
  37. S. Livinstone and P. Lunt, Talk on television: audience participation and publiv debate, London: Routledge, 김응숙 역, 텔레비전과 공중, 커뮤니케이션북스, 2000.
  38. M. R. Levy and S. Windahl, "Audience activity and gratifications: A conceptual clarification and exploration," Communication Research, Vol.11, No.1, pp.51-78, 1984. https://doi.org/10.1177/009365084011001003
  39. S. Neale, Genre, London: British Film Institute. 1980.
  40. W. K. Park, Talking back to television: Parasocial interaction and parasocial relationship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mple University, 1999.
  41. J. Peck, "TV Talk show as Therapeutic Discourse: The Ideological Labor of the Televised Talking Cure," Communication Theory, 1995.
  42. J. W. Pennebaker, In L. Berkowitz(Ed.), Confession, inhibition, and disease,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2, New York: Academic Press, 1989.
  43. B. Reeves and C. Nass, The media equation: How people treat computers, television and new media like real people and places, CSLI Publications, 1996.
  44. B. Rose, TV Genres, Greenwood Press: Westport & London. 1985.
  45. G. Scott, Can we talk?: The Power and Influence of Talk Show, Shamus Culhane, 김숙현 역, 토크쇼, 그 힘과 영향, 한국방송개발원, 1998.
  46. W. B. Stiles, In V. J. Derlega, and J. H. Berg(Eds.), I have to talk somebody: A fever model of disclosure, Self-disclosure, New York: Plenum Press.
  47. J. Thornborrow, "Having their say: The function of stories in talk-show discourse," Text, Vol.17, No.2, pp.243-245, 1997.
  48. K. D. Trammell and A. Keshelashvili, "Examining the new influencers: A self-presentation study of A-list blogs,"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82, No.4, pp.968-982, 2005. https://doi.org/10.1177/107769900508200413
  49. G. Turner, G. Greeber (Ed), Genre, format and live television, The television genre book, London: British Film Institute. 2001.
  50. L. R. Vande Berg and L. A. Wenner, Television Criticism: Approaches and applications, Longman: New York & London. 1991.
  51. L. R. Wheeless and J. Grotz,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reported self-disclosur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2, pp.338-346, 1976. https://doi.org/10.1111/j.1468-2958.1976.tb00494.x
  52. H. Wood, Talking with television, Champaign, IL:Illinois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