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Two Measures (power controllability, power desirability) for Identifying Power Relationships Among the School Youth

학교 내 청소년들의 권력관계 양상과 유형 파악을 위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Received : 2014.02.27
  • Accepted : 2014.05.16
  • Published : 2014.05.30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developing and validating two standardized measures, 'power controllability', and 'power desirability', which can be utilized to categorize power relationships among the school youth. In order to identify initial items for the measures researchers conducted individual as well as focus group interviews wi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chool teachers and other school related professionals involved in ensuring both the face validity an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nitial items. For the finally selected items bot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have been executed with the sample of 1,822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Korea. To test the validity of the confirmed factor structure of the measures the new sample of 348 middle school students were employed from the metropolitan area. Both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calculated from the validity test sample. Based on the two developed measures 4 types of power relationship were identified among the students. The four types of power relationship turned out to predict well the roles that students take in the field of school violence.

본 연구는 학교 내 청소년들의 권력관계 유형 파악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척도인 '권력장악가능성'과 '권력장악욕구'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를 목적으로 했다.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었던 문항들을 기초로 추가 문항을 개발하기 위해 초 중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과 초점 집단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개발된 문항의 안면타당도와 내용타당도 확인을 위해 학교교사 및 전문가 집단의 자문을 받았다. 최종 선정된 문항을 갖고 수도권 소재 초 중 고생(N=1,822)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해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확인된 요인구조의 타당화를 위해 별도로 수집된 수도권 중학생 표본(N=333)을 대상으로 타당화 검사를 실시하였다. 타당화 표본을 통해 척도의 구성타당도와 신뢰도를 산출하였으며 '권력장악가능성'과 '권력장악욕구'를 바탕으로 분류된 권력관계 유형과 학교폭력 현장에서 학생들의 실제 역할 사이의 관련성을 확인함으로써 개발된 척도의 예측타당도를 점검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