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 in Invention Education on Invention Attitudes

초등학생의 발명교육 경험이 발명태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

  • Received : 2014.02.20
  • Accepted : 2014.03.24
  • Published : 2014.03.30

Abstract

Education about invention in elementary schools has thus far be conducted mostly through special activities and talented activities rather than through normal curricula. However,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2007 amended curricula, invention education was reflected as a normal subject unit in the practical subject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a, thereby laying groundwork for invention education being able to be provided through normal subject classes. Thus, at the time when invention education has been reflected as a normal subject unit, it is meaningful to research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 in invention education on their invention attitudes. This study sought to research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 or non-experience in invention education on their invention attitudes, targeting those in regional talent private schools who did not take invention talent classes, those who received invention education, and those who did not receive invention education at all.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outlined as follows. First, students' experience in invention education proved to be positive in boosting their invention attitude, and continued invention education experience like with students in regional talent invention schools significantly boosted their invention attitudes. Second, considering that students' actual experience in invention educ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invention attitudes, the reflection of invention education in the amended curricula was found to be very desirable in improving elementary students' attitudes about invention. Third, according to gender, male students' invention attitude level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suggesting that male students more worked on computers, electronic (smart) devices and machines in daily life, leading them to further develop invention attitudes.

지금까지 초등학교에서 발명교육은 정규교과를 통하여 이루어지기보다는 특별활동이나 재량활동을 통해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었지만 2009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면서 실과(기술 가정)교육과정에 발명교육이 정규교과 단원으로 반영되어 학교 정규교과 수업을 통한 발명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었다. 따라서 발명교육이 정규교과 단원으로 반영되는 시점에서 발명교육의 경험 여부가 초등학생들의 발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발명교육 경험 여부에 따른 발명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는 것으로 발명영재수업을 받은 지역영재원 학생과 일반 초등학교에서 발명교육을 받은 학생, 발명교육을 전혀 받지 못했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교육의 경험은 학생들의 발명에 대한 태도 수준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발명 지역영재원 학생들과 같이 지속적인 발명교육의 경험은 발명태도 수준을 높이는데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이 실제로 경험하는 발명교육이 발명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점을 감안해 볼 때, 개정교육과정에서 발명교육이 정규교과 단원으로 반영되는 점은 초등학생들의 발명태도 증진에 매우 바람직한 현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성별에 따라서 남학생들의 발명태도 수준이 여학생들의 발명태도 수준 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일상생활에서 컴퓨터나 전자(스마트기기) 및 기계장치를 더욱 가까이하는데 기인한 것으로 남학생들이 발명에 대한 태도에 더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보경(2013). 초등교육과정에 따른 서울지역 초등발명교실 콘텐츠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 김순창(2011). 발명아이디어 교류활동이 학생의 발명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3. 김용익 외(2006). 발명지도교사 직무연수 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9(4), 19-35.
  4. 김용익(2008). 초등 교사를 위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1(2), 201-222.
  5. 김준희, 문성환(2009). 초등학생의 발명 흥미도 신장을 위한 TRIZ기법 적용 실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2(1), 93-114.
  6. 남승권, 최완식(2006). 트리즈 40가지 발명 원리 적용이 학습자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1(2), 203-232.
  7. 문대영 외(2008).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사이버 발명 직무연수 콘텐츠 개발. 실과교육연구, 14(4), 185-208.
  8. 문대영(2010). 초등 예비교사의 발명교육에 대한 관심도: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3(3), 245-262.
  9. 왕유진 외(2010). 국내 초등발명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실과교육연구, 16(3), 97-118.
  10. 우관화, 이춘식(2009). 실과 교과에서 발명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실과교육연구, 15(1), 67-86.
  11. 유미영, 송현순(2009). 발명수업에서 교사와 초등학생의 상호작용 분석. 실과교육연구, 15(2), 203-228.
  12. 이병욱, 이창훈(2008). 발명, 특허 분야 인력 양성에 대한 교사 인식: 발명, 특허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3(1), 134-148.
  13. 이지현, 이용진(2012). 기술, 가정과"발명 기법과 실제" 단원에서 동료 멘토링 수업이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7(1), 65-85.
  14. 이춘식 외(2006). 정규교과를 통한 발명교육 개발 연구. 실과교육연구, 12(3), 89-102.
  15. 임형규(2012). 초등학생의 발명에 대한 태도.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6. 정경숙, 남현욱(2009). 레고를 이용한 공학적 발명 교육이 아동의 두뇌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2(3), 275-293.
  17. 정미경 외(2013). 생활중심 발명체험활동이 아동의 발명태도 및 수업만족에도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6(4), 233-248.
  18. 정진현(2008). 초등의 디자인 중심 발명교육에 대한 탐색.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1(4), 161-180.
  19. 조승호, 정종완(2006). TRIZ(트리즈)를 활용한 발명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1(1), 86-109.
  20. 지현아, 문성환(2009). 초등학교 발명영재 교육 대상자 선발을 위한 창의성 검사도구 개발. 실과교육연구, 15(2), 157-180.
  21. 최유현(2005). 지식재산 교육 모형의 이론 탐색과 실천 전략.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8(3), 77-94.
  22. 최유현(2006). 발명교육프로그램이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 및 발명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2(3), 271-288.
  23. 최유현, 이정수, 이정균(2009). 의미분별법에 의한 초등학교 교사의 발명에 대한 이미지. 실과교육연구, 15(4), 161-182.
  24. 하태성, 문대영(2010). 발명영재교육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 및 요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3(2), 11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