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 유형화 : 전일제 여성 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A Typology of Female Workers' Work-Life Balance: Focused on Full-Time Female Paid Workers Using the 2009 Korean Time Survey

  • 투고 : 2014.04.01
  • 심사 : 2014.04.25
  • 발행 : 2014.05.31

초록

This study classified the current work-life balance of full-time female paid workers and tested the typology by using the 2009 Korean Time Survey. The categorization 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women belonging to each type were comparatively analyzed. It was found that full-time female paid workers used an average of 435.7 minutes for work, 146.4 minutes for family, 104.5 minutes for leisure, and 17.7 minutes for growth. On the basis of times used in each area of work and life, individuals were classified into family-oriented type, work-leisure parallel type, work-oriented type, work-growth parallel type, and work-family parallel typ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by type. The work-oriented type women experienced feelings of lack of time and fatigue the most compared with women of other types. From examining the influence that the amount of time used in each area of work and life had 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t was shown that the activity time relevant to leisure influenc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most. Lastly, based 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future assignments are discu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현욱.한동유.김지태(2010). 우슈선수의 운동참여정도의 여가몰입 및 삶의 질의 관계. 대한무도학회지, 12(1), 135-145.
  2. 김민정(2013). 여성 경제활동 증가의 긍정적 효과. 현대경제연구원.
  3. 김성천.탁진국(2010). 역할과부하 및 일-가정 갈등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시간 통제감을 매개변인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1), 35-49.
  4. 김신희.양은주(2012). 유자녀 직장여성의 다중역할 경험의 질에 따른 군집별 심리적 및 환경적 특징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7(1), 73-93.
  5. 김정운.박정열(2004). 주40시간 근무제 실행 후 노동자의 생활양식 변화와 학습에 대한 태도변화 연구.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2004년 정책기획과제.
  6. (2008). 일과 삶의 균형(Work- Life Balance) 척도개발을 위한 연구. 여가학 연구, 5(3), 53-69.
  7. 김정운.박정열.손영미.장훈(2005). 일과 삶의 조화(Work-life balance)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효과성. 여가학연구, 2(3), 29-48.
  8. 김정운.손영미.박정열(2007). 일과 삶의 균형정책 도입방안 연구. 중앙인사위원회.
  9. 김주현.문영주(2012). 맞벌이 여성의 성역할 태도가 결혼생활 만족과 일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강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2), 109-126.
  10. 김주희(2012). 맞벌이 부부의 시간배분을 통해 본 일-생활 유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11. 김진욱(2005). 근로기혼여성의 이중노동부담에 관한 실증연구: 가사노동분담에 대한 협조적 적응, 이중노동부담, 적응지체 가설의 검증. 한국사회복지학, 57(3), 51-72.
  12. 김진욱 (2008). 일하는 어머니들의 이중노동부담에 관한 실증연구. 사회복지정책, 35(12), 197-220.
  13. 김혜영(2009). 직장인의 자기계발 동기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효선.차운아(2009). 직장-가정 간 상호작용과 가족친화적 조직지원이 근로자의 조직 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2(4), 515-540.
  15. 남수정.유현정(2006). 취업주부의 시장소득에 따른 생활시간 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15(6), 985-997.
  16. 박기남(2009). 기혼 취업여성의 일.가족 양립을 위한 시간 갈등 연구: 연령계층별, 성역할태도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5(2), 37-71.
  17. 박내회(1989). 조직행동론. 서울 : 박영사.
  18. 박예송.박지혜(2013). 일-생활 균형(Work-Life Balance)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2000년 이 후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HRD연구, 15(1), 1-29.
  19. 박현미.이승협(2009). 일과 생활균형제도의 현황과 과제.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20. 박홍주.이은아(2004). 기혼여성노동자의 일.가족 경험과 직업의식. 한국여성학, 20(2), 141-178.
  21. 성지미(2006). 맞벌이 여성의 시간분배 결정 요인. 노동정책연구, 6(4), 1-30.
  22. 손문금(2005). 여성의 이중부담과 유급노동시간의 주변화: 맞벌이부부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8(1), 277-311.
  23. 손애리(2000). 시간연구의 특성과 생활시간조사 발과정. 조사연구, 1(1), 135-148.
  24. 손영미.박정열.김정운(2011). 중앙공무원의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조직 및 개인변인의 영향력 검증 연구. 여가학연구, 9(1), 101-131.
  25. 송지준(2011).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경기 : 21세기사.
  26. 여유진.김수정.김은지.최준영(2013). 여성 고용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7. 유계숙(2010). 맞벌이부부의 가사분담이 부인의 일-가정 전이와 결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여성연구, 49(1), 41-70.
  28. 유계숙.최성일(2007). 가족친화적 기업정책이 근로자의 일-가족 조화, 성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경로모형 검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2), 1-26.
  29. 윤대혁(2008). 맞벌이부부의 가정-직장 균형과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15(1), 87-109.
  30. 이누미야 요시유키.김정운(2003). 여가생활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가? 여가학연구, 1(1), 41-56.
  31. 이수진(2009). 경력계획과 일-삶의 균형이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승미.구혜령(2013). 자녀양육기 기혼취업 여성의 일-가정 상호작용 유형과 유형별 특성. 한국생활과학회지, 22(4), 575-591.
  33. 이승미.이현아(2011). 맞벌이 임금근로자 남녀의 생활시간구조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9(5), 81-96.
  34. 이용학(1985). 우리나라 취업주부의 소비자행동에 관한 실증적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5. 이유덕.송광선(2009). 가족친화경영, 직무특성, 가족특성, 그리고 일과 삶의 조화. 인적 자원관리연구, 16(4), 213-236.
  36. 이재경.이은아.조주은(2006). 기혼 취업여성의 일.가정생활 변화와 한계: 계층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2(2), 41-79.
  37. 이재경.장미혜(2004). 고용조건이 일과 가족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제와 사회, 64, 172-206.
  38. 이학식.임지훈(2013). SPSS 20.0 매뉴얼. 서울 : 집현재.
  39. 이혜정(2012). 다수준 분석을 통한 일과 삶의 균형에 관한 연구: 세대별 일의 가치와 제도 및 지원분위기의 효과.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0. 임희섭(1996). '삶의 질'에 있어서의 현황과 과제;'삶의 질'의 개념적 논의. 한국행정연구, 5(1), 5-18
  41. 장미나.한경혜(2011). 어린 자녀를 둔 맞벌이부부들의 일상생활경험: 경험표집법(ESM) 으로 살펴본 남녀의 일상시간 구성과 정서경험 비교. 가족과 문화, 23(1), 1-39.
  42. 전서영.박정윤.김양희(2008). 기혼남녀의 일-가족갈등에 따른 가족건강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3), 59-79.
  43. 정영금.김희형(2009). 일-생활균형을 위한 가족지원체계와 정책대안을 위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7(6), 109-120.
  44. 주익현(2012). 한국 맞벌이 부부 가사시간 결정요인 탐색: 아내의 남편에 대한 경제의존도와 남편의 가사참여 여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12(6), 1099-1113.
  45. 차성란(2008). 기혼취업여성의 종사상지위에 따른 시간사용비교 연구: 자영업종사자의 관점에서.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자연과학, 19(1), 123-147.
  46. 차승은(2008). 중년의 일, 가족, 여가시간 배분유형과 유형결정요인: 취업한 기혼 남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6(1), 103-116.
  47. 차승은 (2010). 남녀의 시간압박인식 차이와 관련요인 탐색. 한국인구학, 33(1), 27-49.
  48. 차승은(2011). 취업남녀의 시간부족인식과 시간활용: 1999년과 2009년의 생활시간자료 비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3), 131-151.
  49. 차승은 (2012). 기혼 취업자의 주말여가패턴: 2009 생활시간자료를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9(3), 61-90.
  50. 천은아(2008). 직장 여성의 자기계발과 피부 관리 행동 패턴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천혜정.이지선(2010). 취업여성의 일과 삶의 조화에 관한 연구: 경험과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3), 25-41.
  52. 최윤정(2011). 대졸기혼직장 여성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다중역할 현실성에 따른 집단 분류와 일-가족 갈등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6(2), 219-241.
  53. 통계청(2010). 2009년 생활시간조사 결과: '시태크(時tech)'의 첫발!. 통계청.
  54. 통계청(2011). 경제활동인구조사. 통계청.
  55. 통계청 (2012). 경제활동인구조사. 통계청.
  56. 한경미(1991). 취업주부의 시간사용과 영향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2), 171-190.
  57. 한지숙.유계숙(2007). 기혼근로자의 성역할 태도와 일-가족 지향성이 일-가족 갈등/촉진 및 가족친화제도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5), 143-166.
  58. 허수연(2008). 맞벌이가구 여성과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 24(3), 177-210.
  59. 황혜원.신정이(2009). 자녀를 둔 맞벌이부부의 역할갈등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1), 45-71.
  60. Barnett, R. C.(1994). Home-to-work spillover revisited: A study of full-time employed woman in dual-earner coupl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6, 647-656. https://doi.org/10.2307/352875
  61. Byron, K.(2005). A meta-analytic review of work-family conflict and its antece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7(2), 169-198. https://doi.org/10.1016/j.jvb.2004.08.009
  62. Coleman, D. & Iso-Ahola, S. E.(1993). Leisure and health: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self-determina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5, 111-128.
  63. Emslie, C. & Hunt, K.(2009). Live to work or work to live? A qualitative study of gender and work-life balance among men and women in mid-life. Gender, Work and Organization, 16(1), 151-172.
  64. Ford, M. R., Heinen, B. A. & Langkarmer, K. L.(2007). Work and family satisfaction and conflict: A meta analysis of crossdomain rel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2(1), 57-80. https://doi.org/10.1037/0021-9010.92.1.57
  65. Frone, M. R.(2003). Work-family balance. In J. C. Quick & L. E. Tetrick (Eds.). Handbook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43-162.
  66. Grandey, A. A. & Cronpanzano, R.(1999). The conservation of resources model applied to work-family conflict and strai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4, 350-370. https://doi.org/10.1006/jvbe.1998.1666
  67. Greenhaus, J. H., Collins, K. M. & Shaw, J. D.(2003).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balance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3, 510-531. https://doi.org/10.1016/S0001-8791(02)00042-8
  68. Guest, D. E.(2002). Perspectives on the study of work-life balance. Social Science Information, 41(2), 255-279. https://doi.org/10.1177/0539018402041002005
  69. Gutek, B. A., Searles, S. & Klepa, L.(1991). Rational versus gender role explanations for work family confli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4), 560-568. https://doi.org/10.1037/0021-9010.76.4.560
  70. Harrington, M.(2006). Sport and leisure as context for fathering in Australian families. Leisure Studies, 25(2), 165-183. https://doi.org/10.1080/02614360500503265
  71. Hochschild, A. R.(1997). The time bind: When work becomes home and home becomes work. NY: Metropolitan/Holt.
  72. Hyman, J. & Summers, J.(2004). Lacking balance? Work-life employment practices in the modern economy. Personnel Review, 33(4), 418-429. https://doi.org/10.1108/00483480410539498
  73. Jayanthi, B. & Vanniarajan, T.(2012). Work-life imbalance among executives: A gender focus. Global Management Review, 6(2), 24-35.
  74. Kirchmeyer, C.(2000). Work-life initiatives: Greed or benevolence regarding worker' time. In C. L. Cooper & D.M. Rousseas(Eds.). Trends in Organizational Behavior. West Sussex, UK: Wiley, 7, 79-93.
  75. Kofodimos, J. R.(1993). Balancing Act. San Francisco: Jossey-Bass.
  76. Korabik, K., Lero, D. & Ayman, R.(2003). A multi-level approach to cross-cultural work family research. A micro and macro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Cross-Cultural Management, 3, 289-330. https://doi.org/10.1177/1470595803003003003
  77. Larson, R. W., Gillman, S. A. & Richards, M. H.(1997). Divergent experiences of family leisure: Father/mothers, and young adolescent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9(1), 78-97.
  78. Maslow, A. H.(1954). Motivation and Personality. New York: Harper & Row.
  79. Maslow, A. H.(1968).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John Wiley & Sons, 존재의 심리 학, 정태연, 노현정(역). 서울: 문예출판사.
  80. Maume, D. J.(2006). Gender differences in restricting work efforts because of family responsibilities. Journal of Marrage and Family, 68, 859-869.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6.00300.x
  81. McRae, S.(2003). Constraints and choices in mothers' employment careers: a consideration of Hakim's Preference Theory.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54, 317-338. https://doi.org/10.1080/0007131032000111848
  82. Presser, J. B.(1995). Job, family and gender: Determinants of nonstandard work schedules among employed Americans in 1991. Demography, 32, 577-595. https://doi.org/10.2307/2061676
  83. Prognos A. G.(2005). Work-Life-Balance als Motor fvr wirtschaftliches Wachstum und gesellschaftliche Stabilitvt.
  84. Rogers, C. R.(1962).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Boston: Houghton Mifflin.
  85. Tang, N. & Cousins, C.(2005). Working time, gender and family: An east-west European comparison. Gender, Work and Organization, 12(6), 527-550. https://doi.org/10.1111/j.1468-0432.2005.00287.x
  86. Tausing, M. & Fenwick, R.(2001). Unbinding time: Alternate work-cchedules and work-life balance.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22(2), 101-119. https://doi.org/10.1023/A:1016626028720
  87. Taylor, R.(2001). The future of work life balance. Swindon: ESRC Future of Work Programme Seminar Series.
  88. Veldhoven, M. & Beijer, S. E.(2012). Workload, work-to-family conflict, and health: Gender differences and the influence of private life context. Journal of Social Issues, 68(4), 665-683. https://doi.org/10.1111/j.1540-4560.2012.01770.x
  89. Walsh, J.(2013). Gender, the work-life interface and wellbeing: A study of hospital doctors. Gender, Work and Organization, 20(4), 439-453. https://doi.org/10.1111/j.1468-0432.2012.00593.x
  90. Winslow, S.(2005). Work-family conflict, gender and parenthood, 1977-1997. Journal of Family Issues, 26(6), 727-755. https://doi.org/10.1177/0192513X05277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