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대구, 2009, 귀농, 귀촌의 현황과 과제, Paper presented at the 귀농-귀촌에 대응한 농촌지도사업의 역할.
- 김근성, 2012, 농촌마을 활성화를 위한 정주환경 계획에 관한 연구-양포마을 중심으로, 주거환경 10(3): 47-59.
- 김득희, 황경열, 1998, 농촌과 도시 노인의 자아존중감, 생활 만족도, 건강상태간의 관계 연구, 특수 교육연구 제21권: 95-126.
- 김성원, 2009, 귀농 귀촌 종합대책, Paper presented at the 농촌경제 활력화를 위한 지자체의 귀농-귀촌 대응방안 토론회, 전라북도청.
- 김소희, 2009, 지역사회거주 노인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36(1): 117-142.
- 김정섭. 2009, 귀농, 귀촌에 대응한 지방농촌지도기관의 역할, Paper presented at the 귀농-귀촌에 대응한 농촌지도사업의 역할.
- 김창현 외, 2008, 농촌이주 인구의 공간적 분포특성과 국토정책과제, 국토연구원.
- 문승태, 2008, 농촌주민들의 영농 유형 및 규모와 생활 만족도와의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0(4): 145-163.
- 박덕병 외, 2006, 외국 가족농원의 비교 분석을 통한 정책적 시사점, 농촌계획.
- 박순미, 2010, 노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특성 비교-, 노인복지연구 통권 47: 137-160.
- 박윤호, 2004,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계획수립지침개발연구(1),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 박진도외, 2005, 농촌개발정책의 재구성, 한울아카데미.
- 배연정 외, 2013, 농촌마을 정주환경분석을 통한 과소화마을 임계규모 결정지표 개발, 농촌계획 19(1): 109-122.
- 손상락, 2011, 2010 주거실태조사로 본 도시민의 은퇴후 주거선택 의향과 정책제언, 경남발전연구원.
- 송미령, 박주영, 2004, 농촌지역개발사업의 체계화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오승환, 윤동성, 2006, 노인의 삶의 질 특성에 관한 연구 -도시 농촌 어촌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노인 복지연구 2006 여름호 통권 21호: 119-147.
- 이민수 외, 2009, 도시민의 귀촌행태와 전라북도 대응방안, 전북발전연구원.
- 이성근, 정시희, 2008, 국민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혁신논집 3(2): 13-36.
- 이성우, 2006, 우리나라 농촌지역개발사업의 현황과 과제, 농천연구센터 제155회 정기월례세미나주제발표논문.
- 이수행, 김군수, 2011, 경기 신농정 패러다임, 이슈 &진단, 경기개발연구원.
- 이장영, 2009, 도시와 농촌의 여가와 생활 만족도 비교, 사회과학연구 통권 21호:113-132.
- 이정환 외, 1990, 농촌생활환경정비와 면단위 정주권 개발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이창우, 2013, 농어촌 과소화마을 어떻게 할 것인가, 전북발전연구원.
- 정기환 외, 1999, 농촌 인구 과소화지역의 유형별 특성과 대책, 농촌경제연구원.
- 정현숙, 2010, 미혼남성농업인의 생활특성과 농촌생활만족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4): 1-30.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2004년도 전국노인생활 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 황홍도, 1991, 경남낙후농촌지역의 개발전략, 경상 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 황홍도, 이동현, 2007, 낙후농촌정주권개발을 위한 농촌정주생활여건에 관한 연구, 농업생명과학연구 41(4):79-89.
- Chang-Woo, Lee, Nam-Seok, Ji, 2013.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Empty House for Rural Activa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9(3):169-182. https://doi.org/10.7851/ksrp.2013.19.3.169
- Joon-Beom, Cho, 2009. The Study on the Over-de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Village Unit in Rural and Fishery Region: Focused on Jangheung- Gun, Jeannam-Do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1(3): 163-182.
- Ki-Whan, Chung, 1999, The Problems and Classification of Over-Depopulation Areas in Rural Korea.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 Nam-Seok, Ji, Byung-Ho, Lim, 2013, Analysis of the Comparison and the Correlation of Residential Satisfactions by Rental Housing Types,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8(4): 33-51.
- Nam-Seok, Ji, Chang-Woo, Lee, 2013. 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ettlement Condition and Life Satisfaction for Rural Resi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9(4): 55-71. https://doi.org/10.7851/ksrp.2013.19.4.055
- Yoon-Ji, Choi, Jeong-Im, Hwang, 2010. Rural Residents Satisfaction of Living Environment and Social Servic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17(4): 685-216.
- Young Jae, Cho, Eun Jung, Cho, 2012. A Study on the Settlement Environment and Life Satisfaction of Sub-Urban Residential Complex,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8(2): 13-26. https://doi.org/10.7851/ksrp.2012.18.2.013
- http://kostat.go.kr
- http://www.mafra.go.kr
Cited by
- Uneven Distribution of Socio-economic Status and Housing Outcomes in Depopulating Towns of Rural Korea vol.32, pp.2, 2014, https://doi.org/10.6107/jkha.2021.32.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