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국내 능선축을 구축하고, 주변 자연환경의 기초정보를 분석하여 관련 정보의 통합 제공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국내 능선축(대간, 정맥, 지맥 및 기맥)을 공간정보로 구축하고 정립하였다. 둘째, 국내 능선축의 원류 및 분기 등의 현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코드화를 수행하였다. 셋째, 기 구축된 능선축 주변의 자연환경(지형정보, 생태 자연도 및 국토환경성평가지도) 관련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현황을 분석하였다. 넷째, 전술된 3가지 정보를 통합하여 활용하는 방안으로 Web GIS 기반의 능선축 통합정보제공 체계를 제안하고 기본 기능을 도출하였다. 지맥 및 기맥과 같은 능선축의 구축은 기존의 대간 및 정맥의 구축과정보다 세밀히 분석해야 하기 때문에 구축방법을 보다 개선하여 정확도를 높였다. 국내 능선축을 길이에 따라서 5개의 등급으로 구분하였으며, 능선축 자체의 연결된 현황 파악을 위하여 백두대간을 기반으로 분류체계를 코드화 하여 전체 능선축에 적용하였다. 또한 능선축 주변을 거리에 따라서 핵심, 완충, 중점으로 3가지 구분하고 주변의 기초 자연환경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능선 축 관련 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본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정규화 되지 못했던 국내 능선축을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능선축 관련 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Korean mountain ridgelines based on GIS by using spatial information and analyze natural environment around mountain ridgelines built befor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grate Korean ridgelines and natural environment built before and then provide the integrated information related to ridgelines for public. To do so, fist of all, Korean mountain ridgelines including Deagan, Jeongmeak, Gimeak, Jimeak, are built as spatial information. Second, Encoding of mountain ridgelines is conducted to analyze main and divaricate ridgelines systematically as grades of ridgelines. Third,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present condition using natural environment including geographical information, ecological zoning map,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is analyzed. Finally, as a method integrating and using the aforementioned three information, the system providing integrated information based on GIS is proposed, To build the GIS data of Gimeak and Jimeak, they should be analyzed in more detail than Beakdu Deagan and Jeongmeak, so existing methodology to build mountain ridgelines based on GIS is improved.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each mountain ridgeline, they are separated into five grades, and encoding of each mountain ridgeline based on Beakdu Deagan is applied to all mountain ridgelines to figure out the present condition of ridgelines themselve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each mountain ridgeline, it is separated into three areas: core, buffer, median zone. Based on three zones, the way to make use of the information efficiently related to mountain ridgelines is proposed. This study systematizes Korean mountain ridgelines which did not have systematic structures and then analyzes systematic mountain ridgelines.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finds the way to makes use of information related to mountain ridgelines eff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