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fantasy of Disney animation

<겨울왕국>을 통해 본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환상성

  • 이혜원 (청강문화산업대학교) ;
  • 김민정 (세종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
  • Received : 2014.05.01
  • Accepted : 2014.06.04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Cultural Content industries based on imagination and creativity are attracting attention and the animation high value-added industry is still spotlighted. Among them, Disney Studios make money through using their professional skills. There are the know-how has developed for a long time, and there are timeless strategy. This study is analyzing by fantasy elements for knowing the messages of Disney animation. Fantasy defined as genre of literature by Todorov and Jackson emphasized its social role and significance. Hume expanded the area of fantasy and Tolkein Jahoriski and Boyer classified the fantasy according to the purpose. Through the analyzing Disney animation , Disney's fantasy show the specific expression depending on the target. Disney is based on the three types of fantasy depending on the growth of the journey. The first area is composed of the main character's growth and satisfy the desire and escapism, The second is the word of antagonist who opposed to reality and break the rules of the dominant ideology. The last area is the utopia provided after hero beat the antagonist. Disney characters give the messages by using the fantasy like the transformation or alter ego. That show the subject of the main character's growth and the supporting characters as the expression of the multiple personality of main. These emphasize the hero's growth and give the fun. Also, in the subject of the otherness, the hero always destroy the evil who broke the rules of reality. In this way, the fantasy offered by Disney give the messages of sacrifice and family from true love. Disney has the support of their target audiences continue to be able to convey ideology.

상상력과 창의력을 기반으로 한 문화콘텐츠 산업이 창조경제의 핵심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애니메이션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해 내는 산업으로 변함없이 각광을 받고 있다. 그중 디즈니 스튜디오는 오랜 시간동안 쌓아온 전문 기술과 작품 노하우를 통해 수익을 창출해 나가고 있는데, 여기에는 시대적 상황을 넘어서거나 혹은 변화에 맞춰진 그들만의 전략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다시금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선두 자리에 올린 <겨울왕국>의 전달 메시지와 변형 요소를 환상성 중심으로 분석해보고 디즈니가 가족타깃의 애니메이션으로 성장하기 위해 이용했던 요소들은 무엇인지 찾아보고자 한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환상성 재현을 가능하게 만들고 있다. 하지만 현대 매체가 재현해 내는 환상표현은 실제와 다른 혹은 상상의 세계를 이미지로 보여주는 데 치중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환상성이 근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특징과 역할이 숨겨져 있다. 이런 환상성의 가치는 다양한 이론가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는데, 츠베탕 토도로프는 실제와 실제가 아닌 것 사이의 망설임을 시작으로 환상성을 문학에서 정의 내렸다. 문학 장르에서 그 존재를 인정받은 환상성은 잭슨에 의해 시대적 상황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어떤 의도를 가진 형태로 범위를 넓히며 그 사회적 역할과 의미가 강조되었다. 흄은 잭슨의 전복을 넘어서는 또 다른 목적으로서 환상의 영역을 확장시켰고 톨킨, 조아르스키, 보이어는 이것을 상위환상과 하위환상으로 나누어 묘사 대상과 방법에 따라 구분될 수 있는 환상의 종류를 이야기했다. 이를 정리하면 환상의 공간은 비현실, 탈현실, 초현실, 반현실로 나뉠 수 있고 인물은 주인공과 사회의 관계를 다루는 '나' 의 주제와 욕망의 상징인 타자의 이야기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다. 이렇게 목적에 따라 다르게 제공되는 환상은 애니메이션을 통해 다양한 이미지와 요소들로 전달되는데 디즈니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을 통해 분석된 요소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디즈니는 주인공의 성장여정에 따라 환상 공간을 세 종류로 나누어 제공한다. 그 첫 번째 공간은 주인공의 성장이 이루어지는 현실 도피와 욕망 충족의 탈현실이고 두 번째 공간은 타자의 지배로 이루어진 반이데올로기적 성향의 반현실 공간이며 마지막 공간은 반현실의 전복 후 주인공이 제공하는 유토피아인 초현실 공간이다. 또한 디즈니는 인물 역시 '나'의 주제인 변신과 분신을 통해 주체의 성장을 강화시키고 다중화된 인격의 캐릭터 화를 통해 재미를 선사하며 '너'의 주제인 타자성의 적대자 배열로 전복의 탄력적 요소를 가미해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렇게 디즈니가 제공하는 환상성들은 희생을 통해 가족의 완성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이렇게 디즈니는 자신들의 타깃 관객층의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이데올로기를 꾸준히 전달하면서도 시대적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탄력적 환상성을 애니메이션을 통해 전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민정,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환상성 연구:장편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 김탁환(2004), 고소설과 이야기 문학의 미래, 고소설연구 제 17권, 2004, p25
  3. 노스럽 프라이, "문학의 해석", 김인환 역, 홍성사, 1978
  4. 로즈메리 잭슨, "환상성", 서강여성문학연구회 역, 2001, p70
  5. 마이클 티어노, "스토리텔링의 비밀", 김윤철 역, 아우라, 2008
  6. 박기수, "애니메이션 서사 구조와 전략", 논형, 2004
  7. 박양호, "환상성, 그 잃어버린 꿈을 찾아서", 문학과 창작, 1997, p241
  8. 에릭 스무딘, "할리우드 만화영화", 노광우 역, 열화당, 1998
  9. 오현화, "영상문학의 이해", 한국문화사, 2006 pp110-125 참조
  10. 이상우, "문학비평의 이해", 집문당, 1995
  11. 이상일, "변신 이야기", 밀알, 1994, pp54
  12. 이정숙, 문학의 미래, 환상성을 통한 독자와의 거리 좁히기, 구보학회 제 4권, 2008, pp19-20
  13. 최기숙, "환상-문학의 기본개념3", 연세대학교 출판부, 2010, p13
  14. 캐서린 흄, "환상과 미메시스", 한창엽 역, 푸른나무, 2000, p53
  15. 토도로프, 덧없는 행복-루소론, 환상문학 서설, 이기우 역, 한국문화사, 1996, p124
  16. Michale O'Pray, 'Eisensten and Stokes on Disney: Film animation and omnipoence', Jayne Pilling(ed), A reader in animation studies, Sydney:John Libbey & Company, 1997, pp195-202
  17. Benjamin Walter, Imagination, Marcus Bullock and Michale W. Jennings (Ed.) Walter Benjamin Selected Writing Vol. 1, Cambridge: Havard University Press, 1996, p281

Cited by

  1. A Study on the Structure of an Animation and the Generation of Signification vol.37, 2014, https://doi.org/10.7230/KOSCAS.2014.37.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