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권혜숙 (1999), 얼굴형과 여성의 인상 형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1, 디자인연구, 7, pp. 1229-1250
- 김효선, 한재현 (2003), 얼굴 인상과 물리적 특징의 관계 구조 분석, 인지과학, 14(4), pp. 57-59
- 박수진, 한재현, 정찬섭 (2001), 얼굴의 물리적 특징 분석 및 얼굴 관련 감성 어휘 분석: 20대 한국인 여성얼굴을 대상으로, 인지과학, 13(3), pp. 1-10.
- 송미영, 박옥련, 이영주 (2005), 얼굴의 형태적 특성과 메이크업에 따른 얼굴 이미지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4(1), pp. 143-153
- 송서현, 박옥련 (2010), 긴 형 얼굴의 메이크업 형태 변화에 따른 이미지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6(1), pp. 192-193.
- Secord, P. F. (1958), Facial features and inferential processes in interpersonal perceptional behavior,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pp. 300-316
- Berry, D. S. & McArthur, L. Z (1985), Some components and consequences of a baby fa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8, pp. 312-323 https://doi.org/10.1037/0022-3514.48.2.312
- 박기섭, 함기선, 조용진 (1989), 안면인상에 대한 계측학적 연구, 대한성형외과학회지, 16(6), pp. 924-925.
- Donna Fuji (1995), 패션코디네이트와 이미지칼라진단, 염경숙 역, 부산: 프래픽사
- 이지현, 김영인, 김희진 (2003), 한국여성의 개인색채 이미지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2003(1), pp. 23-26
- 김영인, 김희연, 한은주 (2010), 개인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통합적인 패션색채디자인 시스템 개발, 복식, 60(7), pp. 61-73.
- Hamid (1972), Some Effects of Dress Cues on Observational Accuracy; A Perceptual Estimate, and Impression Formatio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86, p. 289.
- Jouhar, A. J. & Graham, J. A. (1985), Psychological Studies of Cosmetics. in The Psychology of Cosmetic Treatments, New York; Praeger Publisher, pp. 93-99.
- 김명리, 이경희 (2011), 뷰티 트랜드에 따른 화장 이미지 유형별 화장색채와 질감 변화 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3(3), pp. 409-417. https://doi.org/10.5805/KSCI.2011.13.3.409
- 이상은 (2012), 아이섀도 색채와 질감표현에 따른 메이크업 이미지 지각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6.
- 이연희 (2001), 색채화장이 얼굴 이미지 지각에 미치는 영향: 유행 예측색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정수진, 강경자 (2006), 메이크업의 컬러코디네이션에 따른 얼굴 이미지의 시각적 평가, 한국생활과학회지, 15(4), pp. 611-622
- 정다정, 장병수 (2009), 다양한 볼연지를 사용한 얼굴 이미지 표현, 대한미용학회지, 5(2), pp. 75-79.
- 김영인, 김희연, 한은주 (2010), 개인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통합적인 패션색채디자인 시스템 개발, 복식, 60(7), pp. 63-68.
- 김영인 (2004), 국내외 메이크업 브랜드 색조화장품 색채 특성,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18(2), pp. 91-101
- 김희선 (2002), 색조제품의 유행색 데이터 관리를 위한 색채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16), pp. 107-110
- 한보현 (2003), 성인여성의 화장색에 관한 분석: 메이크업 제품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6-22
- 서지연 (2005), 색조 화장품 광고에 나타난 유행 색채 변화에 대한 연구-아이섀도를 중심으로,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6(2), pp. 5-20.
- 박은아, 서현숙 (2009), 얼굴의 아름다움 지각요인에 관한 연구: 20대 남녀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4), pp. 617-648.
- 이소영 (1988), 동안성 지각과 성격 추론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3-68.
- 이소영 (1998), 동안성 지각과 성격 추론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한경, 박수진, 정찬섭 (2004), 아름다운 얼굴의 감성적 특징, 한국감성과학회지, 7(1), pp. 23-28
- 김범준 (2009), 눈동자 크기가 매력지각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 남녀차이, 한국여성심리학회지, 14(2), pp. 199-218.
피인용 문헌
- UX Design of Mobile App to Develop of Integrated Fashion Style through Balancing of Personal Image-Making Elements vol.68, pp.2, 2018, https://doi.org/10.7233/jksc.2018.68.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