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ormative Elements of the Facial Image of Korean Women and the Effects of Makeup Design

한국여성의 얼굴이미지 유형별 형성요소와 메이크업 디자인의 효과

  • 백경진 (연세대학교 심바이오틱라이프텍연구원) ;
  • 김영인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3.12.07
  • Accepted : 2014.02.11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ose makeup design based on formative elements of facial image according to the facial image type of Korean women in their 20s. For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were performed. Surveys were conducted twice for empirical research. The survey targeted 220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SPSS 12.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and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cluded that the effective structural formative element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facial image. Second,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perceiving naked facial image and modified face shape image, modified skin color image, modified makeup color image of all types of facial image, it was found that the formative elements are different according to facial images, a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each factors.

Keywords

References

  1. 권혜숙 (1999), 얼굴형과 여성의 인상 형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1, 디자인연구, 7, pp. 1229-1250
  2. 김효선, 한재현 (2003), 얼굴 인상과 물리적 특징의 관계 구조 분석, 인지과학, 14(4), pp. 57-59
  3. 박수진, 한재현, 정찬섭 (2001), 얼굴의 물리적 특징 분석 및 얼굴 관련 감성 어휘 분석: 20대 한국인 여성얼굴을 대상으로, 인지과학, 13(3), pp. 1-10.
  4. 송미영, 박옥련, 이영주 (2005), 얼굴의 형태적 특성과 메이크업에 따른 얼굴 이미지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4(1), pp. 143-153
  5. 송서현, 박옥련 (2010), 긴 형 얼굴의 메이크업 형태 변화에 따른 이미지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6(1), pp. 192-193.
  6. Secord, P. F. (1958), Facial features and inferential processes in interpersonal perceptional behavior,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pp. 300-316
  7. Berry, D. S. & McArthur, L. Z (1985), Some components and consequences of a baby fa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8, pp. 312-323 https://doi.org/10.1037/0022-3514.48.2.312
  8. 박기섭, 함기선, 조용진 (1989), 안면인상에 대한 계측학적 연구, 대한성형외과학회지, 16(6), pp. 924-925.
  9. Donna Fuji (1995), 패션코디네이트와 이미지칼라진단, 염경숙 역, 부산: 프래픽사
  10. 이지현, 김영인, 김희진 (2003), 한국여성의 개인색채 이미지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2003(1), pp. 23-26
  11. 김영인, 김희연, 한은주 (2010), 개인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통합적인 패션색채디자인 시스템 개발, 복식, 60(7), pp. 61-73.
  12. Hamid (1972), Some Effects of Dress Cues on Observational Accuracy; A Perceptual Estimate, and Impression Formatio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86, p. 289.
  13. Jouhar, A. J. & Graham, J. A. (1985), Psychological Studies of Cosmetics. in The Psychology of Cosmetic Treatments, New York; Praeger Publisher, pp. 93-99.
  14. 김명리, 이경희 (2011), 뷰티 트랜드에 따른 화장 이미지 유형별 화장색채와 질감 변화 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3(3), pp. 409-417. https://doi.org/10.5805/KSCI.2011.13.3.409
  15. 이상은 (2012), 아이섀도 색채와 질감표현에 따른 메이크업 이미지 지각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6.
  16. 이연희 (2001), 색채화장이 얼굴 이미지 지각에 미치는 영향: 유행 예측색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정수진, 강경자 (2006), 메이크업의 컬러코디네이션에 따른 얼굴 이미지의 시각적 평가, 한국생활과학회지, 15(4), pp. 611-622
  18. 정다정, 장병수 (2009), 다양한 볼연지를 사용한 얼굴 이미지 표현, 대한미용학회지, 5(2), pp. 75-79.
  19. 김영인, 김희연, 한은주 (2010), 개인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통합적인 패션색채디자인 시스템 개발, 복식, 60(7), pp. 63-68.
  20. 김영인 (2004), 국내외 메이크업 브랜드 색조화장품 색채 특성,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18(2), pp. 91-101
  21. 김희선 (2002), 색조제품의 유행색 데이터 관리를 위한 색채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16), pp. 107-110
  22. 한보현 (2003), 성인여성의 화장색에 관한 분석: 메이크업 제품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6-22
  23. 서지연 (2005), 색조 화장품 광고에 나타난 유행 색채 변화에 대한 연구-아이섀도를 중심으로,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6(2), pp. 5-20.
  24. 박은아, 서현숙 (2009), 얼굴의 아름다움 지각요인에 관한 연구: 20대 남녀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4), pp. 617-648.
  25. 이소영 (1988), 동안성 지각과 성격 추론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3-68.
  26. 이소영 (1998), 동안성 지각과 성격 추론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김한경, 박수진, 정찬섭 (2004), 아름다운 얼굴의 감성적 특징, 한국감성과학회지, 7(1), pp. 23-28
  28. 김범준 (2009), 눈동자 크기가 매력지각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 남녀차이, 한국여성심리학회지, 14(2), pp. 199-218.

Cited by

  1. UX Design of Mobile App to Develop of Integrated Fashion Style through Balancing of Personal Image-Making Elements vol.68, pp.2, 2018, https://doi.org/10.7233/jksc.2018.68.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