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Satisfaction Related to Preschool Children's Care Reaning Environment by Housing Type

미취학 아동 육아환경에 관한 거주유형별 만족도 비교 분석

  • Received : 2013.10.31
  • Accepted : 2014.06.05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e low birth rate problem is emerging as a serious social problem.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satisfaction with child-rearing environment of children. We conducted the analysis for the items internal environment, external environment, child care environment. In comparison to the needs of the child care environments,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is low. Apartment satisfaction is higher than the residence other types. However, it was numerically lower satisfaction of the apartment. It is determined by regulations for large complex. It is necessary to set a regional basis standard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improvement of child-rearing environment. It is expected that the improvement of child care environment and residential child care will give a positive effect to an increase in the birth rate. Research for the infrastructure of child care support of residence must be continued.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References

  1. 김용철, 중요도와 만족도를 이용한 시스템 평가 모형 연구, 산업경영논총 12권, 2005.
  2. 류영순, 아동의 성장, 발달에 따라 변화 가능한 아동실 계획, 석사학위논문, 카톨릭대학교, 1999.
  3. 민병호, 안동일, 제해성, 아파트 단지의 단지계획 특성이 아동의 외부활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7), 1996
  4. 박인석, 강인호, 강부성, 주거만족도에 의한 주거환경의 개선 우선순위 분석방법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9(6), 1993
  5. 박정희, 김미희, 인지도(Cognitive Map)를 활용한 아동의 주거환경 인지 특성 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3(5), 2012
  6. 정경숙, 이연숙, 아동친화적 주거환경을 위한 디자인지침 중요도평가,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1(6), 2010
  7. 정경숙, 아동친화적인 주거커뮤니티를 위한 공간환경 디자인 지침 개발, 박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8. 정경숙, 이연숙, 주거커뮤니티내 아동생활 현황과 아동친화적 디자인지침에 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9(6), 2008
  9. 조은경, 아파트 거주 아동의 생활재 특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001
  10. 최병숙, 박선희, 안득수, 단독주택지의 어린이공원 리모델링을 위한 아동 요구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1(1), 2009
  11. 최병숙, 강인호, 주거의 고층화와 아동의 놀이 및 사회성 발달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7권 9호, 2001
  12. 박인전, 안지연, 안옥희, 아동실의 주거환경 및 이용에 관한 실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5(1), 1993
  13. 민병호, 아동을 위한 주거단지계획, 세진사, 2001
  14. 신동주, 양연임, 유치원의 실외놀이시설 실태 및 교사와 학부모의 실외놀이 인식에 대한 연구, 육아교육학회집, 7(1), 2003
  15. 홍승애, 이재연, 아동 친화적인 도시에 대한 아동.청소년의 의식, 아동학회지, 32(2), 2011
  16. 황연숙, 주택 아동실 환경특성과 아동인성간의 상관성 연구, 박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17. 황연숙, 이연숙, 아동실의 물리적인 환경이 아동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14(5), 2003
  18. 대한주택공사, 어린이 발달을 지원하는 공동주택 개발 연구,2004
  19. 보건복지부, 아동 청소년 백서, 2009
  20.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백서, 2011
  21. 대한민국 정부, 저출산.고령화 사회 기본계획, 2010
  22. 대한민국 정부, 저출산.고령화 사회 기본계획, 2015
  23. Alman, I, and Werner C.M. (1985). Home Encironments, Plenum Press, New York.
  24. Cooper, C (1974). The House as Symbol of Self. In J. Lang, C. Burnette, W. Moloski, & D. Vachon (Eds.), Designing for Human Behavior; Architecture in Vehavioral Sciences. Stroudsbu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