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기독교 대학에서의 하이브리드 교육을 통한 기독교교육 가능성 탐색

Exploratory Study on Christian Education through Hybrid Education System in Christian Universities

  • 투고 : 2014.03.28
  • 심사 : 2014.05.26
  • 발행 : 2014.06.28

초록

디지털 정보통신의 발달은 여러 미디어 관련 분야들이 융복합의 형태로 발전하면서 사회의 각 분야에 급속한 변화를 이끌어 온라인 교육의 혁명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것이 교육환경에 영향을 미쳐 기존의 교수자 중심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교육으로 바뀌게 했다. 온라인 교육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기본적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는 곳이면 언제 어디서든 수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것은 반복학습 혹은 반복교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 유형(learning style)과 학습 성향 (learning orientation)에 맞는 수업을 받을 수 있게 되어 궁극적으로는 맞춤형 학습(customized learning)이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온라인 교육의 장점 속에서도 여전히 면대면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바, 이 두 가지 방식을 적절히 혼합하여 상호 보완한 하이브리드 교육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앞으로도 온라인 교육은 계속해서 더욱 발전할 것이므로 기독교 대학은 향후 온라인 교육방식의 미래를 예측하면서 이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연구를 통해서 다양하게 활용해야 할 것이다.

The landscape of Christian higher education is changing. Students once spent most of their time in a traditional classroom with a professor, but now they take online and hybrid courses (face to face and online). Some students complete their entire degree in a fully online program. Nearly every type of college in the United States offers online courses. Online learning has clearly moved from a fad to a fixture, and nowhere is that more apparent than at one of the largest universities in the country. As the demand for online course and programs increase, teachers and administrators in Christian universities and colleges face new challenges. Even though some teachers and administrators still believe online education is inferior to traditional face-to-face learning, we fou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ndard measures of learning outcomes between students in the traditional classes and students in the hybrid-online format classes. In this situation, since online education will develop continuously, Christian universities should utilize it variously through complete understanding and research about it predicting the future of online education styl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주연, 원격교육과 면대면 교육 매체의 특성에 따른 효과연구,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2. 김호근, 최성, 21세기 사이버 대학 가이드, 한국경제신문, 2002.
  3. 이의길, 온라인교육에 대한 교수자 인식 및 수업전략,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06.
  4. 이혜정, 내 강의를 업그레이드 해주는 Blended e-Learning 교수전략, 교육과학사, 2009.
  5. R. delMas, J. G. delMas, A. Ooms, and B. Chance, "Assessing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after a first course in statistics,"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Vol.6, No.2, pp.28-58, 2007.
  6. Y. Inoue, 온라인 교육과 평생학습, 미래교육공학 연구회 역, 아카데미프레스, 2010.
  7. M. A. Maddix, "Developing online learning communities," In M. A. Maddix (Ed.), Best practice of online education, pp.31-40, Information Age Publishing, 2012.
  8. 김광수,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미디어적 이해", 기독교교육정보, 제38집, pp.177-206, 2013.
  9. The Sloan Consortium,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2011. http://sloanconsortium.org/publications/survey/going_distance_2011.
  10. Pew Research Center, The digital revolution and higher education. http://www.pewsocialtrends.org/2011/08/28/the-digital-revolution-and-higher-education/
  11. J. J. Selingo, College (Un) bound: the future of higher education and what it means for students, New Harvest, 2013.
  12. 정영식, 박종필, 정원식, 온라인 수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 분석, 교육과학기술부, 2012.
  13. 박종선, 스마트 이러닝, 교문사, 2013.
  14. 백윤철, 김상겸, 이광진, 황준성, 해외 원격대학의 현황, 한국학술정보, 2007.
  15. 김은순, 원격대학의 정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6. W. Horton, 이러닝 설계, 김세리, 하승연, 우영희, 박성희 역, 아카데미프레스, 2009.
  17. Nicesong, 공존지수(NQ)란? http://blog.daum.net/philosong/8786950, 2013.
  18. 김성완, 이러닝 2.0과 교육, 양서원, 2012.
  19. J. Bersin,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 met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John Wiley & Sons, 2003.
  20. B. Ross and K. Gage, Global perspectives on blended learning: Insight from WebCT and our customers in higher education, In C. G. Bonk (Ed.), The Handbook of Blended Learning, pp.155-168, Pfeiffer, 2006.
  21. 박성익, 이상은, 송지은, "블렌디드 러닝에서 효과적 온/오프라인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학 강좌를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Vol.5, No.1, pp.17-45, 2007.
  22. J. Caulfield, How to design and teach a hybrid course. Stylus Publishing, 2011.
  23. 이혜정, 홍영일, 손지영, "Blended e-Learning 환경에서 학생 간 온라인 피드백 유형이 학업성취도, 만족도, 학습자가 인지하는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3집, 제3호, pp.131-157, 2007.
  24. 김준호, 김태석, "대학에서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관리회계교과를 중심으로", 국제회계연구, 제31집, pp.111-127, 2010.
  25. 최병수, 유상미, "대학 강의실 수업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H형 블렌디드 이러닝 적용 효과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제16권, 제3호, pp.49-60.
  26. 김동일, 이혜정, 손지영, "대학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Blended e-Learning 체제 정착 방안 연구: S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제6집, 제4호, pp.97-123, 2005.
  27. 이숙종, 기독교교육개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28. L. O. Richards, A Theology of Christian education, Zondervan, 1972.
  29. 김재광, 온라인 교육, 세상을 바꾸다, 좋은 땅, 2013.
  30. W. G. Bowen, M. M. Chingos, K. A. Lack, and T. I. Nygren, "Interactive Learning Online at Public Universities: Evidence from Randomized Trials," Ithaka S+R, May 2012.
  31. W. G. Bowen, Higher education in the digital 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
  32. 봉원영, "기독교 대학의 정체성 위기 극복을 위한 그리스도인 교수 인성 개발에 대한 연구", 학문과 기독교세계관, 제7집, pp.33-61, 2013.
  33. J. Bozarth, Social media for trainers, Pfeiffer, 2010.
  34. T. P. Mottet, V. P. Richmond, and J. C. McCroskey, Handbook of instructional communication, Pearson Education, 2006.
  35. L. Sweet, 영성과 감성을 하나로 묶는 미래교회, 김영래 역, 좋은 씨앗, 2002.
  36. 박보경, "포스트모던 시대의 새로운 전도전략의 모색", 장신논단, 제29집, pp.211-237, 2007.
  37. 전영미,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종교교육적 활용", 기독교교육정보, 제28집, pp.143-166, 2011.
  38. 전영미, "소셜미디어(SocialMedia)의 기독교교육적 활용", 기독교육정보, 제30집, pp.101-125, 2011.
  39. M. McLuhan and Q. Fiore, The medium is the massage, Gingko Press,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