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3rd Year High School Characteristics, College English-mediated Subject Courses, Career Decision Type, and Employment Status

대학에서의 전공영어강의 수강 경험, 고등학교 3학년 때의 경험, 고3 때의 특성, 대학에서의 영어전용 전공강좌 수강경험, 진로결정 유형과 고용상태와의 관계 탐색

  • Received : 2014.01.03
  • Accepted : 2014.05.26
  • Published : 2014.06.28

Abstract

Using the 1st and 7th waves of KEEP(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s among 212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during high school, experience of taking English-mediated subject courses(EMSC) during college, career decision types, and employment status. These students' high school experiences and college experiences were used to predict the log-odds of taking and the understanding EMSC.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none of high school characteristics such as career decision, English private education experience, interest in English, and their scholastic aptitude test score in English were associated with taking and understanding EMSC. Among college experience variables, only female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English subject cours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s between the understanding the EMSC and the number of the EMSC taken and also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the EMSC and perceived usefulness of the EMSC.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areer types (continuing with graduate studies vs. working) and taking EMSC,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types and understanding the EMSC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taking EMSC and employment statu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본고는 한국교육고용 패널(KEEP) 1차 및 7차 자료를 이용하여 212명의 고3 때의 특성(수능성취도 포함), 대학 재학 중 영어전용 전공강좌 수강경험, 취업 실태(7차 자료)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대학에서의 전공과목 영어 수업 수강 여부, 영어전용 수업이해도를 예측하는데 사용된 고3 변수인 직업결정여부, 영어사교육경험여부, 영어흥미, 수능영어성취도 중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없었다. 대학에서의 경험(해외여행, 교수멘토링, 수업태도, 영어 공부시간)은 영어전용 전공강좌 선택과 관련이 없었으나, 영어전용 전공과목 수업이해도에 있어서 남학생에 비하여 여학생인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영어강의 수업이해도는 영어강의 수강회수와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수업의 유용성과 수업이해도는 교수의 영어사용빈도와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진로결정유형(취업, 대학원진학/ 유학, 기타)과 영어전용 전공과목 수강여부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수업이해도와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영어전용 수업경험과 고용상태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오계택, 김영생, 청년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인적자원관리 현황분석 및 개선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슈페이퍼2, pp.1-20, 2013.
  2. 유일, 김소라,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대학졸업 예정자들의 구직의도 영향요인 및 인과구조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제13권, 제11호, pp.198-212, 2013.
  3. 김진영, 최형재, "학교에서 직장으로의 이전과정에서 영어의 역할", 노동정책연구, 제10권, 제3호, pp.1-33, 2010.
  4. 서병우, "청년고용 확대를 위한 대학교육에 대한 기업만족도의 이론연구", 취업진로연구, 제1권, 제2호, pp.69-90, 2011.
  5. 홍병선, "대학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대안 모색 : 교육경쟁력 강화를 위한 융합교과목 개발", 교양교육연구, 제3권, 제2호, pp.51-78, 2009.
  6. 박순애, "인재수요에 부응하는 역량중심의 대학교육에 관한 연구", 현대사회와행정, 제20권, 제3 호, pp.171-197, 2010.
  7. 강순희, 서혁, 신상근, 이종원, 이현주, 최진영, "사범대학 영어 강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및 만족도 조사", 교과교육학연구, 제11권, 제2호, pp.637-656, 2007.
  8. 김현철,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국제화(II): 주요 대학들의 국제화 실태와 발전과제", 한국교육논단, 제10권, 제3호, pp.21-39, 2011.
  9. 송영수, "대학 영어전용강좌(EMI)의 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CIPP 평가 모형을 바탕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4권, 제3호, pp.61-84, 2008.
  10. 박성재, 반정호, "대졸 청년층 취업준비노력의 실태와 성과", 한국인구학, 제29권, 제3호, pp.29-50, 2006.
  11. 최형재, 김진영,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 영어 실력의 프리미엄", 노동경제논집, 제32권, 제2호, pp.61-93, 2009.
  12. 오성록, "취업 영어능력 향상을 위한 방과 후 프로그램", 현대영미어문학, 제27권, 제1호, pp.193-209, 2009.
  13. 송윤헌, "대학생의 경력준비행동", 경영경제연구, 제23권, 제1호, pp.113-133, 2000.
  14. 임천순, 유진봉, "대학 졸업생의 채용결정요인 분석: 서비스산업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제22권, 제4호, pp.311-332, 2004.
  15. 최필선, 민인식,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 영어 실력의 프리미엄", 노동경제논집, 제32권, 제2호, pp.61-93, 2013.
  16. 임천순, 양병무, "대학졸업생의 직업세계로의 이행과 취업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3호, pp.1-26, 2006.
  17. 박혜숙, "공과대학에서의 전공 영어강의 효과. 영어교육연구", 제33권, pp.89-119, 2006.
  18. S. Kang and H. Park, "English as the medium of instruction in Korean Engineering education," Korean Journal of Applied Linguistics, Vol.21, No.1, pp.155-174, 2005.
  19. 박혜숙, "강의언어가 강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제37권, 제3호, pp.319-337, 2006.
  20. R. R. Jordan, 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A guide and resource book for teacher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21. S. D. Krashen, Principles and practice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xford: Pergamon, 1982.
  22. S. Gass, "Integrating research areas: A framework for second language studies," Applied Linguistics, Vol.9, pp.198-217, 1988. https://doi.org/10.1093/applin/9.2.198
  23. J. Cummins, "Cognitive/academic language proficiency, linguistic interdependence, the optimal age question and some other matters," Working Papers on Bilingualism, Vol.19, pp.197-205, 1979.
  24. J. Cummins, "The cross-lingual dimensions of language proficiency: Implications for bilingual education and the optimal age issue," TESOL Quarterly, Vol.14, pp.175-187, 1980. https://doi.org/10.2307/3586312
  25. V. P. Collier, "Age and rate of acquisition of second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s," TESOL Quarterly, Vol.21, pp.617-641, 1987. https://doi.org/10.2307/3586986
  26. 조성은, 황성수, "대학교 전공과목 영어강의 현황 파악 및 미래 방향 탐색: 영어능력차이에 따른 인식 및 만족도 조사를 중심으로", 현대문법연구, 제71권, pp.175-194, 2013.
  27. J. A. Crandall (Ed.), ESL through content-area instruction: Mathematics, science, social studie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Regents, 1987.
  28. S. D. Krashen, The Input Hypothesis: Issues and Implications, U.S.A: Laredo Publishing Co. Inc.,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