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Value of Culture Contents on Historical Landscape of Apgujung Pavilion

압구정의 역사경관의 문화 콘텐츠적 가치

  • 김선화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 이재근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Received : 2014.04.10
  • Accepted : 2014.06.12
  • Published : 2014.06.28

Abstract

The Han river flowing the southern boundary of Hangyang city wall was known for scenic remote villa spot. This research is about a study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value of Apgujung built on hills of the Han river by Han Myeong Hoe in the mid-15th centu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an river has been a cultural poetical place. Second, the pavilion of west river was built as thatched roof at 1454-1456, while that of east river was erected as grand villa at 1469-1473. Third, there are characteristics of periodical landscape and origin was included on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therefore, Apgujuing-dong has been recognized with the story. Han river where Apgujung was built has beautiful water landscape in spite of the landscape of modem downtown. Fourth, there are placeness and Han river of main landscape text streams nearby Apgujung sit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of Apgujung should be changed, but, the landscape value could be progressed with the application as cultural contents while the Han river flows. It could be cultivated on the application of various culture contents and story of Apgujung when the historical landscape of water system be restored in Han river.

한강은 한양도성 성저십리 남쪽 경계를 흐르는 승경지여서 별서지로 유명하였다. 연구는 15c 중엽 한명회가 강 남쪽에 세웠던 압구정에 관한 고찰이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압구정이 세워졌던 한강은 문화적인 풍류지역이었다. 둘째, 서호의 정자는 1454-1456년 조성된 초정, 동호의 압구정은 1469-1473년에 조성된 별서였다. 서호의 정자는 잊혀졌고 동호의 정자는 압구정동 이름에서 기억되고 있다. 셋째, 압구정 역사문화경관에는 시대별 경관의 특성과 유래가 담겨 있어 압구정동은 지명의 스토리와 함께 인식된다. 압구정이 세워졌던 한강은 현대적인 도심의 경관에도 불구하고 수경관이 아름답다. 넷째, 압구정지에는 한강을 조망하는 시각적 경관과 문헌을 통한 역사문화적 경관의 향유가 있고, 경관은 한강이 가장 중요한 경관텍스트이다. 압구정 역사문화경관은 변하지만, 서울의 중심을 흐르는 한강이 있는 한 역사문화적인 경관을 문화콘텐츠로 활용할 때 경관적 가치는 향상될 것이다. 연구를 통해 한강 수계의 역사경관 복원 시 압구정 스토리와 다양한 문화콘텐츠 활용은 함양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서울시사편찬위원회, 한강의 어제와 오늘, 서울시, 2012.
  2. 윤진영, 이종묵, 심경회, 이현군, 배정한, 한동욱, 안창모, 박철수, 한강의 섬, 마티, pp.47-94, p.126, pp.204-227, 2009.
  3. 이국진, "명나라 사신들의 한강 유람과 문학적 형상화", 한국고전연구, 제25집, pp.7-42, 2012.
  4. 이종묵, "16세기 한강에서의 연회와 시회", 한국시가 연구, 제9집, pp.5-28, 2001
  5. 임승빈, 경관 분석론,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pp.198-199, 2010.
  6. 신봉승, 소설 한명회, 갑인출판사, p.164, 1994.
  7. http://db.itkc.or.kr.
  8. 이성무, 조선의 양반, 조선의 사회와 사상, 일조각, 1999.
  9. 안계복, "희양산 경관의 역사적 인식애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29권, 제4호, pp.40-48, 2011.
  10. 이종묵, 조선의 문화공간, 휴머니스트, pp.143-161, 2006.
  11. 서울시사편찬위원회, 서울의 누정, 서울시, 2012.
  12. 노재현, 박태희, 신상섭, 김현욱, "기문(記文)을 중심으로 고찰한 임대정원림의 입지 및 조영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29권, 제4호, pp.14-26, 2011.
  13. 소현수, "차경(借景)을 통해본 소쇄원 원림의 구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29권, 제4호, pp.59-69, 2011.
  14. 이종묵, 조선시대 어제시의 창작양상과 그 의미, 장서각, pp.169-196, 2008.
  15. http://www.munhwa.com
  16. 고동환, 조선시대 서울도시사, 태학사, 2008.
  17. http://gangnam.grandculture.net
  18. http://gis.seoul.go.kr
  19. http://map.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