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of Health Message Design Principles

건강증진 메시지 디자인 원리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Received : 2014.03.25
  • Accepted : 2014.05.08
  • Published : 2014.06.28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how people perceived the importance of health message design principles including gist presentation, usefulness of content, format, and intuitive design and how well a webzine article published by Korea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was designed in terms of the four design principles. This study also explored what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fluenced the perceptions of health message design principles. A total of 294 adul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with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method. Participants perceived that usefulness of content was most important in the text design; gist presentation was most important in the visual design; and format was well designed in both text and visual messages. This study showed that it is crucial to improve the quality of visual health messages particularly in terms of gist presentation and intuitive design. We also found that individuals' interest in health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perceptions of health message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regards to principles and strategies for the effective design of health messages.

이 연구에서는 일반인이 건강증진 메시지 디자인과 관련하여 핵심정보 제시, 내용의 유용성, 형식, 직관성의 중요성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와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발간하는 웹진의 텍스트와 시각자료가 위 네 가지 측면에서 얼마나 효과적으로 디자인되었다고 인식하는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 변인이 무엇인지를 탐색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294명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중요도 및 실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텍스트 디자인에서 내용의 유용성을, 시각자료 디자인에서 핵심정보 제시를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인식하였으며, 텍스트와 시각자료 모두 형식 측면에서의 실행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각자료의 핵심정보 제시와 직관성은 가장 중점적으로 개선해야 할 원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의 건강관심도가 건강증진 메시지 디자인 원리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효과적인 건강증진 메시지 개발을 위한 원리와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은정, 박정원, "학부모를 위한 식품첨가물 Risk Communication 책자 및 동영상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23권, 제2호, pp.295-317, 2010.
  2. 심민선, 조영환, 최효선, 손희정, 주영기, 유명순, "핵심정보 중심의 건강증진 및 보건교육 메시지 구성 원리: Fuzzy Trace Theory의 함의,"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제30권, 제5호, pp.189-199, 2013. https://doi.org/10.14367/kjhep.2013.30.5.189
  3. 조영환, 최효선, 유명순, "핵심정보 중심 건강 메시지 디자인을 위한 웹진 내용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192-20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2.192
  4. 한균태, 마정미, "국내 공중건강 캠페인 메시지의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제47권, pp.7-35, 2000.
  5. E. A. Wilhelms and V. F. Reyna, "Effective ways to communicate risk and benefit," Virtual Mentor, Vol.15, No.1, pp.34-41, 2013. https://doi.org/10.1001/virtualmentor.2013.15.1.stas1-1301
  6. L. Neuhauser and K. Paul, Readability, comprehension, and usability. In B. Fischhoff, N. T. Brewer, and J. S. Downs (Eds.), "Communication risk and benefit: An evidence-based user's guide," Silver Spring, MD: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p.129-148, 2011.
  7. 이기헌, "식품위해 인식실태 및 위험커뮤니케이션 방안 연구", 소비자문제연구, 제34권, pp.104-133, 2008.
  8. 김지혜, 김병희, "인플루엔자 예방을 위한 공익광고 효과 연구: 수용자 특성을 중심으로", 광고PR실학연구, 제3권, 제2호, pp.156-176, 2010.
  9. R. E. Mayer and R. Moreno, "Nine ways to reduce cognitive load in multimedia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Vol.38, pp.43-52, 2003. https://doi.org/10.1207/S15326985EP3801_6
  10. V. F. Reyna and M. B. Adam, "Fuzzy-trace theory, risk communication, and product labeling in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Risk Analysis, Vol.23, pp.325-342, 2003. https://doi.org/10.1111/1539-6924.00332
  11. V. F. Reyna and C. J. Brainerd, "Numeracy, ratio bias, and denominator neglect in judgments of risk and probability,"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18, No.1, pp.145-162, 2008.
  12. 김정현, "대학생 집단의 신종플루에 대한 인식과 지각적 편향: 신종플루 지식에 대한 지각, 관여도, 보도 신뢰도 및 지각된 위험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4권,제3호, pp.77-99, 2010.
  13. 좌보경, 윤문영, 백혜진, "미디어, 지각된 위험특성, 위험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 이슈를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제17권, 제4호, pp.72-109, 2013.
  14. 이현우, 김동성, "공중의 예방접종 관련 지식, 태도, 행동의도에 미치는 매체 및 이용자 특성 영향력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3권, 제3호, pp.326-260, 2011.
  15. 이상준, 윤관호, 김성윤, "교육서비스의 만족도지수 모형개발 및 IPA를 통한 개선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510-52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510
  16. P. S. Houts, C. C. Doak, L. G. Doak, and M. J. Loscalzo, "The role of pictures in improving health communication: A review of research on attention, comprehension, recall, and adherence,"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Vol.61, pp.173-190, 2006. https://doi.org/10.1016/j.pec.2005.05.004
  17. L. M. Lipkus, "Numeric, verbal, and visual formats of conveying health risks: Suggested best practices and future recommendations," Medical Decision Making, Vol.27, No.5, pp.696-713, 2007. https://doi.org/10.1177/0272989X07307271
  18. A. Fagerlin and E. Peters, Quantitative information. In B. Fischhoff, N. T. Brewer, and J. S. Downs(Eds.), "Communication risk and benefit: An evidence-based user's guide," Silver Spring, MD: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p.53-64, 2011.
  19. 김혜정, 조희경, 권혁규, 도현진, 오승원, 임열리, 최재경, 권혁중, 조동영, "지역사회 노인의 대중매체 건강정보에 대한 관심도 및 이용 행태", Korean J Fam Med. Vol.39, pp.426-439, 2009.

Cited by

  1. Gist-based design of graphics to reduce caffeine consumption among adolescents vol.77, pp.7, 2018, https://doi.org/10.1177/0017896918765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