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iability of Eye Screening Physical Examination in School and Liv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with Amblyopia

유소년 약시환자의 생활환경 특성과 학교신체검사 안검진의 신뢰성

  • 오원근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안과) ;
  • 김성철 (가천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Received : 2014.03.25
  • Accepted : 2014.05.08
  • Published : 2014.06.28

Abstract

Considering that few studies had paid attention to the living characteristics and social environment surrounding amblyopes, the present study surveyed the parents of children aged 3 to 12 and diagnosed-with amblyopia to analyse the time when the children were first diagnosed-with amblyopia,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living environment and the socio-environmental factorsand to delve into correla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104 parents of patients in 4 hospital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from September 2 to November 23: 2013. As for the time when the children were first diagnosed with amblyopia: the age of 4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28.8%). The older the parents were: the later the children were diagnosed with amblyopia (p<.01). The higher the education of parents, the earlier the diagnosis of amblyopia(p<.05). The present findings-will be conducive to decreasing the number of patients who have no choice but to live-with low vision for life by missing some timely visual acuity tests and ophthalmological examination and particularly to developing a social safety net that can realize national medical welfare for the low-income families and the socially disadvantaged class.With the help of information technology.

유소년 약시환자의 생활환경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2013년 9월 2일부터 11월 23일까지 약시진단을 받은 만 3세에서 12세의 안과 내원환자의 보호자 1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약시 진단시기는 만 4세(28.8%)때 가장 많이 진단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호자 연령이 높을수록 약시 진단시기가 늦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1),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약시 진단시기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p<.05). 위의 결과에 따라 유소년약시의 최초 진단시기와 생활환경 특성이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사회 환경적 요인과 생활환경 특성이 관련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지역의 소외계층이나 직업, 연령, 학력의 지형적인 분포에 따라 적극적인 계몽과 사회제도적 개선으로 국민 안건강 향상에 디딤돌이 되었으면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학선, 지역사회 노인 안 (眼)보건사업 관리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정보과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 박현수, 굴절성 약시에서 안경교정법에 의한 시력증진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3. Jonathan M. Holmes, "Effect of Age on Response to Amblyopia Treatment in Children," Arch Ophthalmol, Vol.129, No.11, pp.1451-1457, 2011. https://doi.org/10.1001/archophthalmol.2011.179
  4. 김민섭, 구본술, 김신자, "전국 만 3세-6세의 취학전 아동에 대한 안과검진", 대한안과학회지, 제44권, 제4호, pp.971-981, 2003.
  5. 김성재, 박연정, 유지명, "8세 이상의 굴절부등약시 환아에서 종일 가림치료와 부분 가림치료의 효과", 대한안과학회지, 제51권, 제1호, pp.70-75, 2010. https://doi.org/10.3341/jkos.2010.51.1.70
  6. F. Kishimoto, C. Fujii, Y. Shira, K. Hasebe, I. Hamasaki, and H. Ohtsuki, "Outcome of conventional treatment for adult amblyopia,"Jpn J. of Ophthalmol, Vol.58, No.1, pp.26-32, 2014. https://doi.org/10.1007/s10384-013-0279-z
  7. 오동은, 임기환, "약시의 종류와 정도 및 치료시작 시기에 따른 가림치료 효과", 대한안과학회지 제44권, 제12호, pp.2850-2856, 2003.
  8. 김은경, 최미영, 김연희, "약시치료에 성공한 굴절부등약시, 사시약시, 혼합약시의 임상분석", 대한안과학회지, 제49권, 제2호, pp.303-308, 2008.
  9. E. E. Birch, "Amblyopia and binocular vision," Prog Retin Eye Res., Vol.33, pp.67-84, 2013. https://doi.org/10.1016/j.preteyeres.2012.11.001
  10. 최종연, 보육시설의 영유아 건강검진사업에 대한 보호자의 인식과 만족도 조사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1. 이성아, 박수현, "아동발달지연과 가족환경과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1호, pp.275-284, 2010.
  12. 김혜란, 최초 굴절검사 적정시기에 대한 고찰,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3. Eileen E. Birch and Sherry L. Fawcett, "Risk Factors for Accommodative Esotropia among Hypermetropic Children. Ophthalmol," Vis. Sci. Vol.46, No.2, pp.526-529,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