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Multidimensional Approach on Poverty of Households with Children : A Typology Using Latent Class Analysis

아동거주가구의 빈곤에 관한 다차원적 접근 : 잠재집단분석을 이용한 유형화

  • Received : 2014.04.28
  • Accepted : 2014.06.02
  • Published : 2014.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eatures of children poverty in Korea. Using the 7th Korean Welfare Panel Study, this study conducts latent class analysis to classify households with children. Results show that households with children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1) housing expenditure overburdened households, 2) multidimensional deprivation households, 3) non-poverty households. The housing expenditure overburdened households have higher rates of housing expenditures than the other two groups. The multidimensional deprivation households experience various types of deprivation such as food insecurity, poor housing, and unstable job security for householders. The results imply that comprehensive approaches are needed to address multiple problems which poor households with children suffer.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차원의 박탈지표를 이용하여 아동빈곤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2012년 7차 한국복지패널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잠재집단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아동빈곤 집단을 유형화하였다. 분석결과, 아동이 있는 가구를 주거비 과부담, 다차원 박탈, 비빈곤 등 세 개의 집단으로 유형화하였다. 주거비 과부담 집단은 다른 영역에서 박탈은 높지 않지만, 주거비 부담이 높은 집단이다. 다차원 박탈 집단은 열악한 주거환경, 식생활 영역 및 고용 등의 다양한 차원에서 박탈을 경험할 확률이 높은 집단이다. 마지막으로 비빈곤 집단은 박탈을 경험할 가능성이 매우 낮은 집단이다. 잠재집단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항로짓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다차원 박탈집단은 다른 두 집단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빈곤 집단과 주거비 과부담 집단 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아동이 거주하는 가구의 복지, 교육, 문화적 자원의 박탈 등 다차원적인 문제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G. Duncan and Brooks-Gunn, Consequences of Growing up Poor, New York: Russel Sage Foundation, 1997.
  2. G. S. Becker, A Treatise on the Family, Cambridge: Harvard Univ. Press, 1981.
  3. G. S. Becker, Human Capital, Chicago: Univ. Chicago Press, 1993.
  4. W. J. Wilson, The Truly Disadvantaged: the Inner city, the Underclass, and Public Policy, Chicago, IL: Univ. Chicago Press, 1987.
  5. 김문길, 김태완, 우선희, 이서현, 2012년 빈곤통계 연보, 서울: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6.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2012.
  7. 김은정, "소득계층별 출산행태 분석과 시사점", 보건복지 Issue & Focus, 제191호, 2013.
  8. 이현주, 정은희, 이병희, 주영선, 빈곤에 대한 대안적 접근: 욕구범주를 고려한 다차원성에 대한 분석, 서울: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9. http://www.britannica.co.kr/
  10. 여유진, 김미곤, 김태완, 양시현, 최현수, 빈곤과 불평등의 동향 및 요인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11. P. Sauders, Towards a credible poverty framework: Form income poverty to deprivation, SPRC(Social Policy Research Centre) Discussion Paper, p.131, 2004.
  12. J. A. Rawls, Theory of Justic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9,(황경식 역, 정의론, 이학사, 2003).
  13. P. Townsend, Poverty in the United Kingdom, London: Allen Lane, 1979.
  14. L. Doyal and A. Gough, A Theory of Human Need, Macmillan, London, 1991.
  15. A. Sen, "Issues in the measurement of poverty," Scandinavian Journal of Economics, Vol.81, No.2, pp.285-307, 1979. https://doi.org/10.2307/3439966
  16. A. Sen, Inequality Re-examined, Oxford: London Press, 1992.
  17. J. Hills, J. Le Grand, and D. Piachaud, Understanding Social Exclus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8. J. Robeyns, "The capability approach: a theoretical survey,"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Vol.6, No.1, pp.93-114, 2005. https://doi.org/10.1080/146498805200034266
  19. 박병현, 최선미, "사회적 배제 및 하층계급의 개념고찰과 이들 개념들의 한국 빈곤정책에의 함의", 한국사회복지학, 제45권, pp.185-219, 2001.
  20. 신명호, 사회적 배제관점에서 본 빈곤층 실태연구,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2003.
  21. 강신욱, 김안나, 박능후, 김은희, 유진영, 사회적 배제의 지표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22. Uniceff, Measuring Child Poverty: New League Tables of Child Poverty in the World's Rich Countries, Innocenti Report Card 10, UNICEF Innocenti Research Centre, Florence, 2012.
  23. 최균, 서병수, 권종희, "차원계수방식에 의한 다차원적 빈곤 측정", 한국사회복지학, 제63권, 제1호, pp.85-111, 2011.
  24. 김위정, 김왕배, "세대간 빈곤이행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 제41권, 제6호, pp.1-36, 2007.
  25. 박문수, 하성규, 주거빈곤가구의 실태와 최저주거기준 달성방안, 대한주택공사, 2000.
  26. 이상은, "한국에서의 빈곤의 세대간 이전", 한국사회복지학, 제60권, 제2호, pp.53-76, 2008.
  27. 이태진, 정홍원, 강신욱, 김진수, 김태완, 남상호, 빈곤정책 선진화를 위한 실태조사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28. 이재열, 사회과학의 고급계량분석: 원리와 실제,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29. L. A. McCutcheon, Latent Class Analysis, Beverly Hills, CA: Sage, 1987.
  30. 강현정, 김윤정, "노년기 사회적 배제의 실태 및 예측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323-334,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9.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