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사회안전망과 지역사회주민의 안전생활만족의 관계: 사회안전망 척도개발과 적용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ecurity Network and Security Life Satisfaction in Community Residents: Scal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ocial Security Network

  • 김찬선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시큐리티융합경영전공)
  • 투고 : 2014.03.31
  • 심사 : 2014.04.12
  • 발행 : 2014.06.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안전망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 이를 적용 하여 지역사회주민의 안전생활만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2013년 서울시 시민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집락무선표집법을 이용해 최종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203명이다. 사회안전망 측정도구는 문헌고찰, 개념적 정의 및 설문지 초안 작성, 전문가 회의, 예비검사 및 본 조사,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등의 과정을 통하여 개발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설문지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 회의를 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범죄예방설계, 거리 CCTV시설, 지역자율방범활동, 지자체안전교육, 경찰치안서비스, 민간경비서비스 등의 6개 요인을 추출 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안전망 척도의 타당도는 매우 높다. 즉, 사회안전망 구성 요인은 범죄예방설계, 거리 CCTV시설, 지역자율방범활동, 지자체안전교육, 경찰치안서비스, 민간경비서비스 등으로 탐색되었으며, 범죄예방설계 요인의 설명력이 가장 높다. 둘째, 사회안전망 척도의 신뢰도는 매우 높다. 즉, 사회안전망은 문항과 영역간, 문항과 전반적 사회안전망간의 상관정도가 매우 높으며, 내적일관성 신뢰도 Cronbach's ${\alpha}$값이 .865 이상이다. 셋째, 사회안전망은 지역사회주민의 안전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즉, 범죄예방설계, 경찰치안서비스가 체계적으로 구축 된다면 시민들의 사회불안감은 감소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lationship of measuring method for the social security network and verify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apply it to investigate the due to security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is based by setting general residents of Seoul in 2013 and using th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to analyze a total amount of 203 examples. The measuring methods for the social security network was developed through document research, conceptual definition and drafting the survey, experts' conference, preliminary inspection and original examination, verification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urvey. An experts' conference took pace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urvey, and 6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ime prevention design, street CCTV facilities, volunteer neighborhood patrol, local government security education, police public peace service, private security service. The conclusion are the following.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ased on the aim of this study using SPSSWIN 18.0, and practice frequency analysis, F test,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validity of the social security network measurement is very high. Thus, the factors constituting the social security network were found to be crime prevention design, street CCTV facilities, volunteer neighborhood patrol, local government security education, police public peace services, and private security services, and the crime prevention design factor was found to be most explanatory. Second, the reliability of the social security network measurement is very high. Thu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questions and the sector, the questions and the social security net was very high, and the internal consistency showed a Cronbach's${\alpha}$ value of over 0.865. Third,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 security network had the biggest effect on people in their forties. Thus, when the crime prevention design, street CCTV facilities, local government security education, police public peace services are systematically established, the social anxiety of citizens was reduc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식, 스포츠과학 연구방법론, 서울: 무지개출판사, 2010.
  2. 김경식, 권민혁, "정책투자우선순위 도출을 위한 사회체육활동 참가제약 척도 개발과 적용",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20권, 제2호, pp.159-173, 2007.
  3. 경찰청, 경찰백서, 서울, 2012.
  4. 박종수, CCTV의 운용에 대한 경찰과 주민의 인식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5. 김영제, CPTED와 지역 범죄통제 거버넌스가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6. 김용하,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안전망 정책과제", 한국응용경제학회지, 제15권, 제2호, pp.31-59, 2013.
  7. 김원기, "뉴 거버넌스적 접근을 통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제39권, pp.29-47, 2013.
  8. 노호래, "범죄예방을 위한 CCTV의 효과적 활용 방안", 한국공안행정학보, 제19권, pp.11-50, 2004.
  9. 김찬선, "기계경비시스템 이용자의 안전욕구충족 척도 개발과 적용",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16권, pp.47-64, 2008.
  10. 김찬선, 기계경비시스템 이용자의 안전욕구충족과 이용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9.
  11. 김찬선, 강호정, "경찰조직의 치안서비스품질이 경찰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지, 제1권, 제2호, pp.37-53, 2012.
  12. 박영만, 김은정, "CCTV를 통한 시민들의 안전 욕구충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1권, 제7호, pp.437-447,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7.437
  13. 이주호, "사회 취약계층을 위한 사회안전망 연구: 한국의 위기관리 정책을 중심으로", 국가위기관리연구, 제4권, 제2호, p.69, 2010.
  14. 이한우, 안전의 원칙, 경기: (주)도서출판 푸른숲, 2007.
  15. 이현주, 김태완, "경제위기시 사회현상 진단과 사회안전망의 과제 점검", 한국사회보장학회 정책 세미나 자료집, pp.23-36, 2009.
  16. 장안식, 개인적 특성과 지역적 특성이 범죄의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2011.
  17. 한덕웅, "한국사회에서 안전에 관한 심리학 연구의 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제9권, pp.35-55, 2003.
  18. 홍성태, 위험사회, 서울: 새물결, 2006.
  19. Maslow, Abraham H., Motivation and Personality, New York: Harper and Row,1954.
  20. S. Cox and T. Cox. Safety, systems, and people. Oxford, UK: Butterworth Heinemann, 1996.
  21. www.naver.com
  22. www.maspa.go.kr
  23. 신재헌, "침입절도에 대한 CPTED전략 적용방안", 한국경찰학회지, 제24권, pp.167-192, 2010.
  24. 임창주,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