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ina's Post '80s and '90s Generation and Selective Reception of Foreign Popular Culture: The Case of Beijing

중국 80-90후(后)와 외국 대중문화의 선택적 수용: 베이징 사례

  • Ahn, Jungah (Schoo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Tsinghua University)
  • Received : 2014.05.12
  • Accepted : 2014.06.05
  • Published : 2014.06.28

Abstract

Young Chinese audience can select and watch TV dramas, movies and entertainment programs from many different nations, such as Korea, America, Japan, England, Thailand, India, and so on, through multiple channels, such as online video sites - iQiyi, Youku, LeTV, PPTV, and many others - which were induced by changes in media environment. Various genres of Korean popular culture have recently become popular in China, but this phenomenon differs from the early Korean Wave. During the earlier period (from 1997 to the early 2000s) of the Korean Wave, soap operas were popular among middle-aged women, but now various other genres, such as K-pop, entertainment programs, etc., are also popular in Chin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young Chinese audiences use foreign pop culture, including their preferred genres, reasons for preferring these genr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red pop culture and national image in Korean, American, and Japanese pop cultur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preferred genres and the reasons for preferring these genres, and also a close correlation between preferred pop culture and national image were found. These findings will be fundamental for supporting the continual development of the Korean Wave in China.

중국 수용자들은 아이치이, 유쿠, 러스왕, PPTV 등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같은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여러 채널을 통해 한국, 미국, 일본, 영국, 태국, 인도 등 다양한 국가의 드라마, 영화, 오락 프로그램 등을 선택, 시청할 수가 있다. 최근 다양한 장르의 한국 대중문화가 중국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중년 여성을 중심으로 한 드라마가 인기였던 초기 한류 시기(1997-200년대 초)와는 달리, 현재는 드라마뿐만 아니라 K-pop, 오락 프로그램 등 다양한 장르로 퍼져나갔고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를 통해 한국 대중문화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중국 80-90호우(后)의 외국 대중문화 수용태도를 파악하고자 한국, 미국, 일본 대중문화의 선호 장르와 이유, 선호 대중문화 및 국가 이미지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가별 선호 장르와 이유에서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선호 대중문화와 국가 이미지와의 밀접한 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중국에서의 한류의 지속가능한 발전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media.people.com.cn.yi.mk.gd/n/2014/0429/c120837-24955727.html
  2. http://news.xinhuanet.com/overseas/2014-05/01/c_126452771.htm
  3. 임패(林貝), 중국 신세대 한류열풍에 대한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4. 박유경, "중국의 시청자 분화 및 채널 전문화 경향에 따른 편성 전략: CCTV를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Vol.14, pp.273-303, 2002.
  5. 심두보, "다양한 외래문화를 선택적으로 수용할뿐-동남아시아의 한류 현상 분석", 신문과 방송, 한국언론진흥재단, pp.20-24, 2012.
  6. 路鹏, "80后与90后青年特征比较分析", 北京: 教育德育, No.1, pp.14-17, 2010.
  7. 정지형, "중국 소비자 패턴의 변화와 시사점", 제주발전포럼, 제41호, pp.29-37, 2012.
  8. 이동훈, "중국 세대의 라이프스타일과 산짜이(山寨)문화", 커뮤니케이션학연구, 제35권, pp.124-136, 2012.
  9. 담호월(譚皓月), 중국 신세대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의 연구: 80후 세대와 90후 세대의 비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0. 류흔흔(劉欣欣), 중국의 신세대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한류 선호도의 차이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1. 余逸群, "80后青年群体特征的解讀", 山東省青年管理干部學院學报, 第3期, pp.17-20, 2009.
  12. 張有平, 超广平, "80后媒介形象研究初探-由大 批判到盛贊的逆轉", 山東省青年管理干部學院學報, 第6期, pp.27-31, 2008.
  13. 沈芯蕊, 周亞萍, "多元文化背景下90后价值觀取 向研究", 科教導刊, 第5期, pp.117-118, 2012.
  14. 박동숙, "수용자 해독의 힘: 문화연구의 관점", pp.83-104
  15. 김정기, 박동숙, 매스미디어와 수용자,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Cited by

  1. A Comparative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eacher by Child Care Center's Types vol.13, pp.1,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1.25
  2. Content Analysis of the Articles of the Overseas Local Newspapers on the Culture Contents of Korea, China, and Japan -Focusing on Malaysia, Singapore, Mongolia, Uzbekistan, and Spain- vol.40, pp.6, 2016, https://doi.org/10.5850/JKSCT.2016.40.6.1100
  3. The rise and fall of Korean drama export to China: The history of state regulation of Korean dramas in China pp.1748-0493, 2019, https://doi.org/10.1177/1748048518802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