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andscape Ecology and Management Measure of Urban Mountain Forest in Seoul

서울시 도시 숲의 경관생태와 관리방안

  • Received : 2014.01.17
  • Accepted : 2014.06.04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is work aims to establish the landscape ecological countermeasures to improve the sustainability of urban mountain forest and to enrich the biodiversity in twenty mountains of the Seoul Metropolitan City. Landscape ecolog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upon various criteria, such as area and elevation of mountains, flora, naturalized plants, vegetation, forest types, mountain trails, and public facilities. Various measures were suggested for the better maintenances of floristic diversity, introduced plants, vegetation and forest types of urban mountain forests. Sustainable recommendations for land use adminstration were developed for the preparations of a climate change-adapted urban mountain forests, as well as rational managements of ecosystem, walking trails, and public facilities within mountain forest. Rich and diverse natural vegetation as well as high floristic diversity were reported at mountains with higher elevations, larger area size, and rich landscape diversity. Mountains with low elevation, small size with easy public access, however, might require an urgent action to decrease the burdens by anthropogenic disturbances and urban development.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수목원, 2005, 한반도 특산 관속식물. 국립수목원.
  2. 김무열, 2004, 한국의 특산식물, 솔과학.
  3. 김석규, 2011, 도시림의 계절별 토양환경이 곰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환경영향평가, 20(4), 455-464.
  4. 박수현, 2009, 한국의 귀화식물, 일조각.
  5. 백원기, 1994, 한국특산식물의 실체와 분포조사, 한국자연보존협회 연구보고서, ser. 13.
  6. 서울특별시, 2008, 서울시 도시숲(산림) 생태계조사 학술연구, -1단계-, 관악산, 수락산, 천왕산, 인왕산, 초안산, 서울특별시.
  7. 서울특별시, 2009, 서울시 도시숲(산림) 생태계조사 학술연구, -2단계-, 불암산, 대모산, 와룡산, 안산, 봉화산, 서울특별시.
  8. 서울특별시, 2010, 서울시 도시숲(산림) 생태계조사 학술연구, -3단계-, 청계산, 아차산, 봉산, 봉제산, 백련산, 서울특별시.
  9. 서울특별시, 2011, 서울시 도시숲(산림) 생태계조사 학술연구, -4단계-, 용마산, 우면산, 일자산, 국사봉, 천장산, 서울특별시.
  10. 오정학, 조재형, 조현제, 최명섭, 권진오, 2008, 경관생태학적 도시숲 관리를 위한 비오톱 평가지표 및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4), 101-111.
  11. 오정학, 권진오, 유주한, 김경태, 2010, 도시숲 평가를 위한 경관생태학적 모형 개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2), 178-185.
  12. 이동근, 김대현, 김은영, 정지철, 오영출, 주신하, 김경목, 2008, 도시숲 조성 및 관리를 위한 도시숲 건전성 평가지표 선정,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1(5), 104-113.
  13. 이동근, 김은영, 송원경, 박찬, 최혜영, 2009, 도시숲 조성 및 관리를 위한 도시숲 유형화 및 적용방안,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2(5), 101-109.
  14. 이연희, 김기원, 변우혁, 2009, 도시숲으로서 북한산 국립공원의 탐방객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3(1), 53-61.
  15. 이우균, 손요환, 송철철, 정기현, 김윤경, 류성렬, 김현섭, 1999, 지형, 토양 및 임상정보에 기초한 도시림 관리시스템 개발, 환경영향평가, 8(3), 61-76.
  16. 이창복, 1982, 우리나라 특산식물과 분포, J. Natl. Acad. Sci., Vol. 11.
  17. 이창복, 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1권, 2권.
  18. 임양재, 전의식. 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식물학회지, 23(3-4), 69-83.
  19. 조우, 이경재, 1993, 도시림 관리를 통한 식물 종다양성 증진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1(2), 107-119.
  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1, 도시림 관리정책의 개선방향, 연구보고서.
  21. 환경부, 2005a, 한국의 고유종, 환경부.
  22. 환경부, 2005b, 한국의 법정관리 동식물, 환경부.
  23. 沼田眞, 1975, 歸化植物. 環境科學 ライブラリ-13, 大日本圖書.
  24.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ciologie, Springer-Verlag, 3rd ed., Vienna, pp. 865.
  25.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pp. 1482.
  26. http://stat.seoul.go.kr

Cited by

  1. 매개중심성 분석을 활용한 서울시 미집행공원 내 사유지 보전 우선순위 평가 vol.110, pp.1, 2014, https://doi.org/10.14578/jkfs.2021.11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