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국립환경과학원, 2011, 실험을 통한 수질오염물질의 이송 및 확산 모의검증 기법 개발 및 적용.
- 권나영, 최현구, 유재정, 한건연, 2010, 동적수질해석모형의 개발과 낙동강에의 개발과 낙동강에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43(3), 283-294. https://doi.org/10.3741/JKWRA.2010.43.3.283
- 김기철, 이종석, 2009, 하천에서 추적자를 이용한 오염물질 거동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1), pp. 400-406.
- 문현생, 장주형, 류인구, 김주영, 2012, Web 기반의 실시간 수질오염사고대응예측시스템 개발,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2(2), 145-150. https://doi.org/10.9798/KOSHAM.2012.12.2.145
- 박노석, 김성수, 정선아, 김종오, 김도환, 강문선, 2012, EFDC를 이용한 대청댐내 보존성 오염물질 확산 모델링에 관한 연구, 상하수도학회논문지, 26(5), 705-712.
- 서일원, 백경오, 전태명, 이두헌, 정성희, 2004, 자연하천의 2차원 확산해석을 위한 추적자 실험방법 개발 및 적용,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가능기술 개발 사업단 연구보고서.
- 최현구, 2012, 자료기반 해석과 물리적 모형을 연계한 실시간 하천수질예측 시스템 구축,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 환경부, 2008, 김천 페놀사고 사례조사 보고서.
- Bo Zhang, 2008, A Study of GIS-SD Based Temporal-Spatial Modeling of Water Quality in Water Pollution Accidents, The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Vol. XXXVII, Part B2, Beijing.
- Delong, L. L., 1986, Extension of the unsteady one-dimensional open-channel flow equations for the flow simulation in meandering channels with flood plains. Hydrologic Science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Water-Supply, Paper 2220, December, 101-105.
- Fread, D. L., 1988, The NWS DAMBRK model: theoretical background/user documentation. Office of Hydrology, National Weather Service NWS, Md.
- Mazijk A. Wan, 2002, Modelling the effects of groyne fields on the transport of dissolved matter within the Rhine Alarm-Model, J. of Hydrology 264, 213-229. https://doi.org/10.1016/S0022-1694(02)00077-X
- Mazijk, A.van, Gils, J.A.G. van, and Weitbrecht, V., 2000, Analysre und Evaluierung der 2-D-Module Zur Berechnung des Stofftransportes in der Window-Version des RHEINALARMMODELLS in Theorie und Praxis, Report no. II-16.
- Samuels, William B., 2005, Using the River Spill model for Sourcewater Protection, AWWA Source Water Protection Symposium.
Cited by
- 3차원 수리모델을 이용한 한강 상수원구간 지류영향 분석 및 수질오염사고 시나리오 모의 vol.34, pp.4, 2018, https://doi.org/10.15681/kswe.2018.34.4.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