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Evaluation of Metals in Frequent Using Herbal Medicinal Prescriptions according to the Consuming Area

다용(多用)한약처방중 사용지역별 일부 금속농도의 비교

  • Kim, Kee D. (Dept. of Fine Chemical and Advanced Materials, College of Science and Engineering, Sangji University) ;
  • Seo, Yong Chan (De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ollege of Science and Engineering, Sangji University) ;
  • Lee, Sundong (Dept.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Sangji University)
  • 김기동 (상지대학교 이공과대학 정밀화학신소재학과) ;
  • 서용찬 (상지대학교 이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 이선동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Received : 2014.03.17
  • Accepted : 2014.04.12
  • Published : 2014.04.30

Abstract

The concentration of 5 metals such as As, Cd, Co, Cr and Pb in 5 frequent using herbal medicinal prescriptions in Kore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suming area. The ready prepared 5 prescription samples were obtained from Korean regional hospitals nationwide. All the sample were well powdered and pre-treated to being a solution, and then analyzed by ICP/MS. As was detecte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0.55 mg/kg in Ojeoksan of Gyunggi-do, the lowest was 0.01 mg/kg of Sipjeondaebotang of Seoul C.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Co was found to be in Bojoongikgitang of Seoul B and the lowest was also detected in Bojoongikgitang of Seoul A. Cd concentration, Ojeoksan of Chungcheong-do, Bojoongikgitang of Seoul B and yookmijihwangtang of Chungcheong-do showed the low level of 0.1 mg/kg. In turn, the highest level of Cr was 5.59 mg/kg in Ojeoksan of Gyunggi-do B. The lowest concentration of Cr was 0.04 mg/kg in Sipjeondaebotang of Seoul C and the highest was 0.94 mg/kg in Samooltang of Gangwon-do. Finally, the lowest concentration of Pb was 0.00 mg/kg in Sipjeondaebotang of Chungcheong-do and the highest was 0.134 mg/kg in Ojeoksan of Jeju-do. As a result it seems that the same prescription can not guaranteed the safety from toxic metals since those metal concentrations are dramatically varied according to the area where the each prescribed medicine available.

Keywords

References

  1. 데이코산업연구소. 건강기능식품과 기능성식품소재 시장현황. 데이코산업연구소 2011
  2. Bran Minter. Flant and Marine Derived Pharmaceuticals: Discovery and Development. Decision Resources. 1997
  3. 包明葱, 江克明 편저. 校訂방제학대사전. 도서출판 의성당. 1991
  4. 강순수. 바른방제학. 대성문화사. 1996
  5. 이미경, 박정숙, 임현철, 나환식. 유통한약재의 중금속 함량조사. 한국식품저장육통학회지. 2008;15 (2):253-260
  6. 이승훈, 최호영, 박창호. 한약재내 중금속 함량분석 및 물세척 효과. 한국생물공학회지. 2003;18 (2):90-93
  7. 김동규, 김복순, 한은정, 한창호, 김욱희, 최병현, 황인숙, 채영주, 김민영, 박승국. 서울지역 유통한약재의 약용부위에 따른 유해중금속 분포. 한국분석과학회. 2009;22(6):504-513
  8. 김동규, 김복순, 한창호, 김은주, 최병현, 박승국. 서울지역 유통한약재의 통계적 품질관리. 약학회지. 2009;53(5):274-280
  9. 박문기, 김승영, 황현욱. 한약재의 중금속 평가연구 -경기북부지역 한약재를 중심으로-. 한국환경과학회지. 2004;13(12):1117-1122
  10. 김광중, 양재하, 권영규, 이현정. 경북북부지역 재배한약재와 토양의 중금속 함량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3;17(6):1419-1426
  11. 이향희. 서정미, 오무술, 강인숙, 박종진, 서계원, 하등룡, 김은선. 광주지역 유통한약재의 유해물질 잔류실태조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010;25 (2):83-90
  12. 차윤엽, 허성규, 김동건, 백태현, 서형식, 박희수, 김병우, 권기록, 이승기, 유준상, 손영주, 선승호, 차배천, 서승학. 한약재내 중금속 함량 및 잔류농약 분석.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7;21(1):226-230
  13. 장설, 김태희, 이아름, 이아영, 최고야, 김호경. 유 통한약재의 중금속 잔류실태조사. 한국약용작물학회지. 2012;20(6):434-439
  14. 서창섭, 황대선, 이준경, 하혜경, 천진미, 엄영란, 장설, 신현규. 전탕 전과 후의 중금속, 잔류농약 및 잔류이산화황의 농도변화 -십전대보탕 구성처방을 중심으로-. 대한한의학회지. 2009;30(4):108 -117
  15. 김진숙, 황성원, 김종문, 마진열. 한약재와 탕약(쌍 화탕)중 내분비계 장애물질로서의 개별 중금속의 함량연구(I).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0;6(1): 117-122
  16. 서창섭, 황대선, 이준경, 하혜경, 천진미, 엄영란, 장설, 김종열, 이시우, 신현규. 중금속, 잔류농약 및 잔류이산화황의 전탕 전, 후의 농도변화 -다빈도 태음인 사상처방을 중심으로 -. 사상체질의학회지. 2009;21(1):237-246
  17. 배종섭, 박종필, 김용웅, 박문기. 과립제와 환제 및 현탁액으로 만들어진 생약제제의 중금속 농도. 한국생물공학회지. 2010;26;94-96
  18. KFDA Notification. No.2011-42.2011
  19. 환경부 환경백서. 2010년도 토양측정망 및 토양오 염실태조사. 2011
  20. 이선동, 김명동, 박경식. 한약재의 안전성 확보 및 관리방안-오염경로 및 대책을 중심으로-. 대한예방한의학회지. 1998;2(1):209-229
  21. 이성득, 이영기, 김무상, 박석기, 김연선, 채영주. 유통 환제의 유해 중금속 함량 및 위해도 평가.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012;27(4):375-387
  22. 박해모, 최경호, 정진용, 이선동. 한약재 복용으로 인한 금속 섭취량 추정 및 위해성 평가연구. 한국환경보건학회지. 2006;32(2):186-191
  23. 김성단, 정선옥, 김복순, 윤은선, 장민수, 박영애, 이용철, 채영주, 김민영. 유통 환(丸)제품의 중금속 함량 및 위해성 평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10; 39(7):1039-1048
  24. 정일형, 김종화, 전종섭, 조상훈, 박신희, 조현례, 김영숙. 한약 및 한약제제의 안전성 평가.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010;25(3):232-237
  25. 한국소비자원. 한약 및 한약재 소비자 정보제공 강화방안연구. 2014
  26. 보건복지가족부. 2008년도 한방의료이용실태조사. 2008
  27.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방의료이용 및 한약소비실태조사, 2011
  28. 식품의약안전청. 한국인의 한약재복용실태조사연구. 2005
  29. 한의학연구원. 한약처방의 과학적 근거기반 구축 사업/표준한방처방의약품정보집. 2013
  30. Lee Sundong, Shin HeonTae, Park Hae Mo, Ko Seong Gyu, Kook Yoon Bum, Ryu Jin Yeol, Kim Hyundo, Hu Howard, Park Sung Kyun. Metal Concentrations of Chinese herbal medicine products in the United States. OEPM. 2010;10(24):294-303
  31. 이선동, 박해모, 이장천, 국윤범. 한약재에 포함된 금속의 煎湯전과 후의 농도변화연구-첩약/다린찌꺼기/탕약을 중심으로. 대한한의학회지. 2003;24 (2):59-65
  32. 和田 功저. 이영환, 정문호역. 금속과 사람. 신광출판사, 1993
  33. 曹治权, 주편, 孫作民 孫愛貞 부주편. 微量元素与 中醫葯. 중국중의약출판사. 1993
  34. Morton Lippmann. Environmental toxicants. Wiley-Interscience. 2000
  35. Howard Frumkin. Environmental Health. Jossey- Bass. 2005
  36. 서용찬, 이선동, 유진열, 한약재중의 중금속 함량 측정시 분석정도관리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위생학회지. 1998;24(4):105-112
  37. 허성규, 차윤엽, 김유진, 조웅희, 이한, 백태현, 서형식, 박희수, 김병우, 권기록, 이승기, 유준상, 손영주, 선승호, 강희철, 서용찬. 모한방병원 한약재내 중금속과 이산화황 함량 및 잔류농약 분석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4):948-953
  38. 한상백. 다용한약재의 산지별 중금속농도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대학원. 1998
  39. 윤성욱, 이선동. 십전대보탕을 투여한 흰쥐의 중요 장기 중 금속농도변화에 대한 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0;4(1):51-59
  40. Park Yeong Chul, Kim Myung Dong, Park Sung Kyun, Kim Hyundo, Lee Sundong. Comparison of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hairs of a small sample of Korean patients takin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OPEM. 2010;10(3): 141-149
  41. 이선동, 이정석, 김명동. 한약복용환자의 뇨와 머리카락중 금속간의 상관관계.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2;6(1):129-139
  42. 전성진, 이선동, 박해모, 최종환, 이현우. 구입경로가 다른 두 종류의 윢미지황탕을 투여한 흰쥐의 혈액분석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5;9(1):107 -123
  43. 보건복지부/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