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Friend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o Work at Korean Medicine Hospital

한방병원 근무자들의 프렌드십과 조직효과성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 Jung, Bo-Gyeon (Department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
  • Shin, Heon-Tae (Department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 Received : 2014.03.17
  • Accepted : 2014.04.30
  • Published : 2014.04.30

Abstract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friendship perceived by hospital staffs in korean medicine hospitals in Gwangju and relationship between friend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ethod : The subject were 134 hospital staffs in 5 different hospitals in Gwangju.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contained 44 questions about workplace friendship (15 question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16 questions),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8 questions) and others (5 questions). Results : Young woman in their 20s and 30s were major participants (69person, 52.7%), nursing and administrative department(72person, 55%) were dominant division, the person those who have less than 1 year current workplace career(69person, 52.7%) were major group in this study. Participants responded about barriers of friendship at workplace were lack of opportunities for formal or informal meeting and lack of hospital's interest and supporting about human relations among employees at workplace. Both friendship level with superior and friendship level with subordinate were lower than friendship level with colleague. (p=.000) Participants who have higher workplace friendship level, were also higher level a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ower level at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Especially friendship level with superior had biggest relationship with variable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nclusion : Participants showed close relationship with friendship degre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 suggest that the CEOs of korean medicine hospital would make their effort to improve friendship level of workers for the rise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Keywords

References

  1. 김번웅. 전남지역 의료기관의 경영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2011:1-2
  2. 탁기천. 의료기관의 종합적 품질경영(TQM)에 관한 연구. 병원경영학회지. 2003;8(4):26-56
  3. 손화익. 병원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정책학과 석사학위논문. 2001: 1-2
  4. 유영숙. 직장내 프렌드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1-2,31-33
  5. 강진구, 김현기. 프렌드십 경영. 토네이도미디어그룹. 2009:40-41,280-287
  6. 김정년. 프렌드십이 객실승무원의 직무만족과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항공 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2013:4-5.
  7. 박영희. 조직문화유형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석사학위논문. 2000:28
  8. 김현철. 리더쉽과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박사학위논문. 2008:8
  9. 황재문, 서영준 등. 병원직원의 프렌드십과 조직효 과성 관계 연구. 보건행정학회지, 2012;22(4):654 -675.
  10. 엄미선. 조직내 프렌드십이 조직효과성과 고객지향 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2012: 59-62.
  11. Berman EM, West JP, & Richter MN Jr. Workplace relations: Friendship patterns and consequences(According to manager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2002;62(2):217-230. https://doi.org/10.1111/0033-3352.00172
  12. Cole, J. Supervising a staffer who is also a friend. Supervisory Management, 1993;38(7): 3-4.
  13. 홍영우. 상사의 모욕적 행동이 대인갈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산업, 창업경영대학원 정보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2011:26-27
  14. 최선영. 기업내 상사의 코칭행동과 조직 구성원의 이직의도 관계에서 상사신뢰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기업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2012: 65-68
  15. 강태엽. 개인-상사간 적합성이 갈등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인사조직전공 석사학위논문. 2012:57-60
  16. 박수길. 상사의 리더쉽 유형이 부하직원의 직무스 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 대학원 인재개발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2010: 60-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