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n the saponification to manufacture plant fatty acid hard soap, the drying process is required for its water evaporation and hardness. This study mixed it with essential oil(E.O) with high volatility instead of adding synthetic flavor. And it comparatively observed the duration of flavor changing to the additive ($TiO_2$) and the drying period of the major flavor component (Linalool, Linalyl acetate) in the essential oil (Lavender E.O) contained in the soap during the soap manufacture by using GC-MS. Advanced researches have mostly dealt with the utility of plant hard soap, and those related with the volatility of flavor have been hardly conducted. Regarding the volatility of linalool contained in the soap, the soap mixed with $TiO_2$ showed a higher reduction ratio up to the 12th week; however, at the point of the 20th week, it reduced to a similar level. Although Linalyl acetate did indicate a sligh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ixture of $TiO_2$, the volatility was shown similar up to the point of the 20th week. During the 20 weeks of drying, the residual rate of linalool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Linalyl acetate regardless of the mixture of $TiO_2$. It has been found that the flavor component of lavender essential oil with the duration of two or so days at the room temperature remains for 20 weeks (or 5 months) when it is manufactured through the mixture of plant fatty acid hard soap.
식물성지방산 고형비누는 검화법으로 제조 후 수분증발 및 경도를 위하여 건조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합성향료를 대체하여 휘발성이 높은 에센셜오일을 혼합하여 비누 제조시 비누에 포함된 에센셜오일(라벤더오일)의 주요 향기성분(리나롤, 리나릴 아세테이트)이 건조기간 및 첨가물(이산화티탄)에 따라 변하는 향의 지속기간을 GC-MS를 이용하여 비교 관찰하고자 하였다. 그동안의 연구는 식물성고형비누의 사용성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향의 휘발성과 관련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비누에 포한된 리나롤의 휘발성은 이산화티탄을 혼합한 비누가 12주까지 감소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20주가 되는 시점에서는 유사한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리나릴 아세테이트는 이산화티탄의 혼합여부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기는 했으나 20주경과 시점까지 휘발성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건조 20주 동안 리나릴 아세테이트보다 리나롤의 잔존율이 이산화티탄의 혼합여부와 상관없이 높게 나타났다. 상온에서 2일정도의 지속성을 갖는 라벤더 에센셜오일의 향 성분이 식물성 지방산 고형비누와 혼합하여 제조시 20주(5개월)동안 비누에 잔존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