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교육이 저출산·고령 사회에 대한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opulation education on the recognition of low fertility and aged society

  • 왕석순 (전주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
  • 임양미 (전주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 Wang, SeokSoo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Jeonju University) ;
  • Lim, YangMi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Jeonju University)
  • 투고 : 2014.12.05
  • 심사 : 2014.12.11
  • 발행 : 2014.12.31

초록

본 연구는 인구교육이 대학생의 인구교육 및 저출산 고령 사회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이러한 영향이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대상은 J 대학교에서 인구교육 강좌를 수강한 대학생 71명(남: 36명, 여: 35명)이었으며 조사도구는 인구교육에 대한 인식과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인구교육을 수강하기 이전과 이후에 두 차례 조사가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대응표본 t 검증,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교육은 대학생의 인구교육 및 저출산 고령 사회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이해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인구교육 내용에 대한 이해도, 국내 외 인구정책에 대한 이해수준을 높였다. 둘째, 인구교육이 인구교육 및 저출산 고령 사회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여학생에 한해서 인구교육이 인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이해수준을 높이며 저출산 고령 사회에 대한 심각성에 대한 인식, 국내 외 인구정책에 대한 이해도, 저출산 고령 사회의 문제해결을 위해 일 가정 양립문화 및 보육시설의 확보의 필요성, 소수의 가족형태에 대한 인식 등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를 유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가 현안인 인구교육은 태도의 변화가 더 중요하며, 태도 변화를 위해서는 가치가 형성되는 초등학교 및 중등교육에서 보다 인구교육이 활성화되어야하며, 교육과정 중 친가족적 가치관과 일 가정 양립의 중요성을 다루는 '가정교과'의 중요성과 역할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population education on university male female students' recognition of population education and low fertility and aged society. The subjects were 71 university students(male: 36, female: 35) participating in population education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 test and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population education led to positive changes in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of population education and of low fertility and aged society. Specifically, after taking the population education courses, students' levels of knowledge on population education contents and on foreign domestic policies related to low fertility and aged society increased. Secondly, there were students' sex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population education on recognition of population education and low fertility and aged society. For only female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hanges in realization of the seriousness of low fertility and aged society, in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population education, work-family reconciliation and child-care centers to solve the issues of low fertility and aged societies, in knowledge levels of foreign domestic policies related to low fertility and aged society, and in awareness of family of small members(ex. single familie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the role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were suggested in population educ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