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sign of the Self-diagnosis Algorithm for the Efficient Control of Sudden Cancer Pain

효율적인 돌발성 암 통증 관리를 위한 자가 진단 알고리즘 설계

  • 정은영 (가천대학교 길병원 유헬스케어센터) ;
  • 은성종 (가천대학교 IT대학 컴퓨터미디어융합학과) ;
  • 정병희 (BioResearchComplexICT연구팀) ;
  • 이용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박동균 (가천대학교 길병원 유헬스케어센터)
  • Received : 2014.03.27
  • Accepted : 2014.05.14
  • Published : 2014.05.28

Abstract

Pain is one of the most common and painful symptoms that cancer patients suffer from. Pain seriously affects 30-50% of the patients at the early cancer diagnosis stage or who receive active anticancer treatments, 60-70% of the patients with progressive cancer, and 80-90% of the patients at the late stage of cancer. However, there is no systematic and easy pain control program for the cancer patients. In this study, an algorithm is proposed to provide quick pain relief service upon the occurrence of sudden pain,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the sudden pain that cancer operation survivors experience. In developing the algorithm, questionnaires, evaluation forms and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NCCN) guideline were considered, and a trial service was provided to a group of 20 cancer patients for a month to evaluate the designed algorithm. The results of the trial service were examined by expert medical workers to evaluate the proposed algorithm, and a 90% compatibility decision was derived, which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In the case of incompatibility decision, the management of the pain diary did not have compatible results. Therefore, the further study will additionally address the customized pain diary algorithm.

통증은 암 환자들이 겪는 가장 흔하며 고통스러운 증상중의 하나이며, 암의 진단 초기에 있거나 적극적인 항암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30~50%, 진행성인 경우에는 약 60~70%, 말기의 경우에는 80~90% 정도가 통증으로 고통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암 환자들에게 있어 체계적이고 사용하기 쉬운 통증 관리 프로그램이 없어 이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암 수술 생존자 및 퇴원 환자가 겪는 통증의 관리에 있어 돌발성 통증 발생 시 신속히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서비스를 위한 암 통증 자가 관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즘은 타당한 가이드라인 정립을 위해 조사지와 평가지, 그리고 NCCN(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가이드라인을 참조하였으며, 설계된 알고리즘의 평가를 위해 20명의 암 환자 실험군을 대상으로 한 달간 시범 서비스를 수행하였다. 제안 알고리즘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범 서비스 결과를 전문 의료진을 통해 검토한 결과, 90%의 적합성 판단을 도출하여 제안 알고리즘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의료 전문의 결과 부적합 판단의 경우 통증 일기의 관리에서 적합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했으며 이에 대한 향후 연구로 사용자 맞춤형의 통증 일기 알고리즘을 추가로 연구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운영호, "암 환자 통증 관리 방해요인과 그 해결책", 호스피스, Vol.8, No.11, pp.8-11, 2001.
  2. H. S. Kim and M. J. Suh, "A study onpatients concerns about management of cancer pain and related factors, "Korean J Rehabil Nurs, Vol.3, No.1, pp.43-58, 2000.
  3. S. H. Jung,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management of cancer pain in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2006.
  4. J. M. Jung, Study on the aspects of painin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2000.
  5. Y. J. Kim, Actual condition of pain and pain control and satisfaction of pain controlin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2007.
  6. M. McCaffery, "Paincontrol: Barriers to theuse of available information," Cancer, Vol.70, pp.1438-1449, 1992. https://doi.org/10.1002/1097-0142(19920901)70:3+<1438::AID-CNCR2820701536>3.0.CO;2-W
  7. M. McCaffery and B. R. Ferrell, "Nurses's knowledge about cancer pain: A survey of five countries, " Journal of Pain Symptom Management, Vol.10, No.5, pp.365-369, 1986.
  8. 김희숙, "통합 자가관리 프로그램이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자가관리, 혈당 및 모성 정체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지, Vol.10, No.4, pp.146-146, 2012. https://doi.org/10.4040/jkan.2013.43.1.69
  9. 정경용, 이영호, 류중경, "상황센서 기반의 밴드를 이용한 건강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8, pp.14-22,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8.014
  10. 김귀정, "USN 기반 U-Health모니터링시스템 설계", 한국콘텐츠학회지, Vol.10, No.2, pp.53-56, 2012.
  11. NCCN(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Practice Guidelines.
  12. 암 통증 관리지침 권고안, 보건복지부, 2010.
  13. '암으로 인한 통증은 충분히 조절할 수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2011.

Cited by

  1. The Factors of Pain and Pain Management after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in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vol.17, pp.2, 2017, https://doi.org/10.5388/aon.2017.17.2.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