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 Received : 2014.03.28
  • Accepted : 2014.05.03
  • Published : 2014.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using social network service(SNS) through smartphones.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study design. The convenience sample consisted of 502 college students in six citi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ne in 2012 using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Descriptive statistics, ${\chi}^2$-test,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24.8% of SNS users were considered as a risk group, while 75.2% were normal user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between risk group and normal user group in the SNS users. However, risk group had higher self-disclosure scores than normal user group. The subjects who had higher scores for virtual life, one of smartphone addiction subdomains, had lower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hose with higher smartphone addiction scores showed lower score of managing interpersonal conflict in subdomain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These findings would contribute in development of preventive interventions for smartphone addiction and improvement program for interpersonal competence in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통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정도와 대인관계능력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전국 6개 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502명이며, 2012년 5월부터 6월 사이에 성인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척도와 대인관계능력 검사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와 ${\chi}^2$-tes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SNS 이용자의 스마트폰 중독정도는 중독군이 24.8%, 일반군이 75.2%였다. SNS 이용자 가운데 스마트폰 중독집단과 일반집단의 대인관계능력은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영역 중 자기노출 능력은 중독집단이 일반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 하위영역 중 가상세계지향성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이 낮았고, 스마트폰 중독정도가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 하위영역 중 대인갈등 다루기 능력이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예방 및 대인관계능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국가정보화백서, 2013.
  2.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2012년 하반기 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 2013.
  3.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요약보고서, 2013.
  4. H. Lee, H. Ahn, S. Choi, and W. Choi," The SAMS: Smartphone Addiction Management System and Verification,"Journal of Medical Systems, Vol.38, No.1, 2014.
  5. 한가희, 남녀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 인지적 및 정서적 공감능력의 조절효과,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6. 최현석, 이현경, 하정철,"스마트폰중독이 정신건강, 학교생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K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제23 권, 제5호, pp. 1005-1015, 2012. https://doi.org/10.7465/jkdi.2012.23.5.1005
  7. 황경혜, 유양숙, 조옥희,"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 365-375, 2012.
  8. 김민정, 스마트 폰에서의 SNS사용이 온라인, 오프라인 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트위터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9. V. J. Dubrovsky, S. Kiesler, and B. N. Sethna, "The Equalization Phenomenon: Status Effects in Computer-Mediated and Face-to-Face Decision-Making Groups," Human-Computer Interaction, Vol.6, No.2, pp. 119-146, 1991. https://doi.org/10.1207/s15327051hci0602_2
  10. J. McClellan,"Netsurfers," The Observer, 1994, February, Retrieved March 3, 2014 from http://www.well.com/-hlr/texts/VCcivil.html.
  11. 이춘희, 내현적 자기애와 진로미결정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2. 박용민, 성인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평화안보. 상담심리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3. 최명구, 신은영,"청소년의 자아구조와 대인관계 문제와의 관계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제17권, 제4호, pp. 1-17, 2003.
  14.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폰중독 진단척도 개발 연구, 가람문화사, 2011.
  15. D. Buhrmester, W. Furman, M. T. Wittenberg, and H. T. Reis," Five Domain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Peer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5, No.6, pp. 991-1008, 1988. https://doi.org/10.1037/0022-3514.55.6.991
  16. 김창대, 김수임,"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연구", 학생연구, 제35권, 제1호, pp. 83-95, 1999.
  17.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7년도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2007.
  18. I. Zafar," Gender differences in mobile phone use : what communication motives does it gratify?," European Journal of Scientific Research, Vol.46, No.4, pp. 510-522, 2010.
  19. J. Lee," A study on dispositional mobile phone use motives, mobile phone addiction, and mobile phone verbal bullying of adolescents: What a focus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Vol.11, pp. 365-401, 2011.
  20. 서보경, "성인 인터넷중독 및 스마트폰 이용 특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 305-31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305
  21. S. E. Snodgrass, "Women's Intuition: The effects of subordiante role on interpersonal sensitiv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9, pp. 146-155, 1985. https://doi.org/10.1037/0022-3514.49.1.146
  22. J. G. Hollandsworth and K. E. Walls, "Sex differences in assertive behavior: An empirical investig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24, pp. 217-222, 1977. https://doi.org/10.1037/0022-0167.24.3.217
  23. D. Buhrmester, W. Furman, M. T. Wittenberg, and H. T. Reis, "Five domain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peer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5, No.6, pp. 991-1008, 1988. https://doi.org/10.1037/0022-3514.55.6.991
  24. 한상연, 마은정, 홍대순, 김은영, 박주현, 이인성, 김진우,"SNS사용을 통한 자기표현이 대인관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분석 연구 : 개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보시스템연구, 제22권, 제1호, pp. 29-64, 2013.
  25. B. M. Casey, Linking Psychological Attributes to Smart Phone Addiction, Face-to-Face Communication, Present Absence and Social Capital, Master Thesis,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2012.
  26. 김병년,"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4호, pp. 208-217, 2013.
  27. N. B. Ellison, C. Lampe, and C. Steinfield, "Social network sites and society: current trends and future possibilities," Interactions, Vol.16, No.1, pp. 6-9, 2009.

Cited by

  1. Influence of User-Motivation on User-Commitment in Social Media: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Pressure vol.15, pp.1,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462
  2.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Perceived through SNS on Teachers' Adult Attachment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vol.15, pp.2,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2.466
  3. To use or not to use? Compulsive behavior and its role in smartphone addiction vol.7, pp.2, 2017, https://doi.org/10.1038/tp.2017.1
  4.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of nursing department students and their communication skills pp.1839-3535, 2018, https://doi.org/10.1080/10376178.2018.1448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