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비만 여대생들의 12주간 복합운동 순서 차이가 복부지방구성 및 혈중지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bined Exercise Order for 12 Weeks of Obese College Females on the Composition of Abdominal Fat and Blood Lipid Profiles

  • 신혜선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
  • 서수연 (신한대학교 뷰티헬스사이언스학과) ;
  • 이종민 (강원대학교 스포츠과학과) ;
  • 김정아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 투고 : 2014.03.26
  • 심사 : 2014.05.20
  • 발행 : 2014.05.28

초록

비만 여대생을 대상으로 유산소(걷기운동) 운동, 무산소(저항운동) 운동의 순서를 다르게 적용하여 복부지방 구성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비만 감소와 예방을 목적으로 효과적이고 능률적인 운동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하였다. 저항운동 후 유산소운동 집단 12명, 유산소운동 후 저항운동 집단 12명으로 분류하여 측정변인으로 복부지방검사는 내장지방면적, 피하지방면적, 내장지방면적/피하지방면적 비, 혈중지질 분석은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방단백질, 저밀도지방단백질을 분석하였다. 첫째, 복부 피하지방에서는 상호작용이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후분석 결과, 저항운동 후 유산소운동 집단이 복부 피하지방의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혈중 지질은 중성지방 요인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후분석 결과, 저항운동 후 유산소운동 집단이 중성지방 감소에 효과가 나타났다. 여대생의 비만 감소와 예방을 목적으로 효과적이고 능률적인 운동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서 저항운동 후 유산소 운동이 복부 피하지방 및 중성지방에 효과가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observe the effects of the exercise programs which have different order of walking and resistance exercises on the composition of the abdominal fat and the blood lipid profiles of the obese college women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and more efficient exercise program in order to reduce and prevent obesity. Classification of group, "A" group(resistance exercise after aerobic exercise) is a group of 12 people, "B" group(resistance exercise after aerobic exercise) is a group of 12 people. To determine the abdominal fat, intestine fat area, subcutaneous fat area, ratio of intestine fat area/subcutaneous fat area were analyzed, while for the blood lipid profiles,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igh density lipid protein, and low density lipid protein were analyzed.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in the abdomen subcutaneous fat. In the post analysis, the Resistance first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reduction to confirm that there was difference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exercises. Seco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effects in the factor of triglyceride. In the post analysis, the Resistance first group only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triglyceride to confirm that resistance exercise followed by aerobics would be better for the reduction of the triglyceride.

키워드

참고문헌

  1. 오상우, 강지현, 김정환 김종우, 서영성, 성은주, 오승원, 윤영숙, 이선영, 이연지, 이재혁, 최한석,, 비만바로알기, 보건복지부, 2013.
  2. C. I. Kim, Quality control and analysis support on nutrition survey of KNHANES-V,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0.
  3. 김미옥, 장은재, "연령별 비만에 대한 인식 및 체중조절에 대한 태도", 한국식품영양학회지, 제22권, 제1호, pp.110-22, 2009.
  4. 김도균, 이근미, 정승필, "비만인에서 복부 심층부 피하지방조직의 임상적 의의: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와의 관계", 대한가정의학회지, 제28권, pp.100-105, 2007.
  5. Y. J. Lee, Korean Women's Health Statistics.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4.
  6. S. E. Lee, J. H. Moon, J. H. Ahn, Y. S. Oh, and S. H. Shin, "The Association between plasma adiponectin and the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in adults with abdominal obesity, "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6, No.1, pp.47-53, 2007.
  7. 김미영, 김화선, "컴퓨터단층촬영과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으로 측정된 복부지방의 비만지표로서의 유용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807-813,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807
  8. 한정순, 조춘구, 이은주, "비만관리프로그램이 비만여성의 혈액의 지질과 아디포넥틴에 미치는 영향", 대한비만학회지, 제22권, 제4호, pp.231-236, 2013.
  9. 홍지영, 옥정석, "12주 유.무산소성 복합운동이 비만 여성 노인의 체력 및 신체조성, 근육지수,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비만학회지, 제22권, 제1호, pp.30-38, 2013.
  10. 조정호, 정지혜, 신말연, 이지현, "유산소 운동습관이 여성의 비만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24권, 제2호, pp.211-218, 2006.
  11. M. L. Pollock, J. Broida, H. S. Miller, R. Janeway, and A. C. Linnerud, "Effect of training two day per week at different intensities on middle aged men, "Med. Sci. Sports Exerc, Vol.4, No.15, pp.192-197, 2004.
  12. 윤은재, 김영란, "여대생의 하체 비만관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8호, pp.360-366,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8.360
  13. 대한비만학회, 임상비만학 제 3판, 고려의학, 2008.
  14. L. Baltimore, Williams and Wilkins,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ACSM), 2010.
  15. R. B. Thomas and W. E. Roger, Weight training: Step to Success(4th edition), Human Kinetics, 2011.
  16. W. J. Kraemer, "A series of studies: The physiological basis for strength training in American football: fact over philosophy, "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Vol.11, No.3, pp.131-142, 1993.
  17. J. P. O'Shea, J. Simmons, and B. O'Conner, Weight Training Today, West publishing Co. Sanfracisco, U. S. A, 1989.
  18. 체육과학연구원, 1급생활체육지도자 연수교재, 대한미디어, 2009.
  19. B. Gutin, J. E. Wilkerson, S. M. Horvath, and R. D. Rochelle, "Physiologic response to endurance work as a function of prior exercise, "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Medicine, Vol.2, No.2, pp.87-91, 1981. https://doi.org/10.1055/s-2008-1034588
  20. 박정수, 박동호, 김용진, "유산소 및 저항 운동의 복합운동 실시 순서가 남자 대학생의 RPE, EPOC및 지방산화에 미치는 영향", 운동영양학회지, 제14권, 제3호, pp.127-126, 2010.
  21. 허영희, 김응주, 서홍석, 김선미, 최경묵, 황택근, 조금주, "비만 여성의 16주간 운동프로그램 참여가 복부 지방, 혈청지질, 혈당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 대한비만학회지, 제19권, 제1호, pp.16-23. 2010.
  22. D. Deschenes, P. Couture, P. Dupont, and A. Tchernof "Subdivision of the subcutaneous adipose tissue compartment and lipid-lipoprotein levels in women, " Obesity Research, Vol.11, No.3, pp.469-476, 2003. https://doi.org/10.1038/oby.2003.64
  23. D. E. Kelley, F. L. Thaete, F. Troost, T. Huwe, and B. H. Goodpaster, "Subdivisions of subcutaneous abdominaladipose tissue and insulin resistance, "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Vol.278, No.941, pp.941-948, 2000.
  24. 권종성, 박종성, "비만 여성의 운동 순서 차이에 따른 신체조성 및 혈청지질농도의 변화", 한국여성체육학회지, 제24권, 제2호, pp.207-216, 2003.
  25. R. W. Braith, "Does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reduce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 Journal of Cardiopulmonary Rehabilitation, Vol.23, No.3, pp.201-202, 2003. https://doi.org/10.1097/00008483-200305000-00007
  26. V. Coiro, A. Casti, P. Rubino, G. Manfredi, M. L. Maffei, A. Melani, J. G. Saccani, and P. Chiodera, "Free fatty acids inhibit adrenocorticotropin and cortisol secretion stimulated by physical exercise in normal men, " Clinical endocrinology, Vol.66, No.5, pp.740-743, 2007. https://doi.org/10.1111/j.1365-2265.2007.0279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