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Impact on the Relationship among Elderly'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노인평생교육 참여동기가 교육만족도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김종식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노인복지학) ;
  • 임왕규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노인복지학)
  • Received : 2014.04.07
  • Accepted : 2014.05.12
  • Published : 2014.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elderly'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ree types of participation motivation(goal-orientation, activity-orientation and learning orientation) and four components of educational satisfaction(educational content, educational environment, instructor quality and educational result) were examined in this study.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composed of 307 elderly people attending in 6 community colleges for the aged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employ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main data analysis method. This study found that participation motivation in lifelong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hat educational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quality of lif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60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인평생교육 참여동기와 교육만족 및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평생교육 참여동기 유형 요인으로는 목표지향형, 활동지향형 및 학습지향형의 세 유형을, 그리고 교육만족도 구성요소로는 교육내용, 교육환경, 강사의 질 및 교육결과의 네 요인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소재의 6개 경로대학에서 60세 이상 노인들 30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방법으로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한 주된 자료분석방법으로는 다중회귀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높을수록 교육만족도가 높으며, 교육만족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결과가 갖는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고,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민일보 인터넷기사(2013.6.14.) 한국, 2095년 세계 최장수국 될 것, http://www.news,Kukinews.com
  2. 허성호, 김종대, "2006년 고령화 패널조사에 나타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다차원적 영향 분석", 한국노년학, 제31권, 제2호, pp.417-418, 2011.
  3. 한정란, 노인교육의 이해, 서울:학지사, 2006.
  4. 최은수, 평생교육론, 서울:학지사, 2010.
  5. 한국교육개발원, 한국성인의 평생학습실태, 2011, 2012.
  6. 김삼덕, 노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이 성공적 노화의 사회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7. 김미영, 노인교육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8. 최미애, 노인대학 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도 시흥시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9. 권오선, 노인대학프로그램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대전광역시 대덕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0. 전명수, 노인평생교육 참여동기 유형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 호서대학교벤처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1. P. Lengrand, An introduction of lifelong education, London: The UNESCO Press, 1975.
  12. R. Dave, Foundation of lifelong education, New York: Pergamon Press,1976.
  13. 기영화, 노인교육의 실제, 서울, 학지사, 2007.
  14. C. O. Houle, The inquiring mind,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61.
  15. H.L. Miller, Participation of adults in education: A force field analysis, Boston: Center the study of liberal education for adults, Boston Univ,1967.
  16. H. Y. McClusky, Education: Background the 1971 White House Conference on Aging, 1971.
  17. A. Astin, What matters in college?: Four critical years revisited, San Franscico: Jossey-Bass Publishers,1993.
  18. A. Campbell, Identification and measurement of levels and standards of living, Journal of Home Economics, Vol.57, No.4, 1996.
  19. 유지수, 치위생학 전공심화과정 학습자의 참여 동기, 교육기관 기대, 교육만족도가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0. A. H. Maslow, Motivation and personality, New York, Harper & Row, 1954.
  21. F. Herzberg, M. Bernard, and B. B. Snyderman, The motivation to work, Wiley, New York, 1959.
  22. D. L. Krikpatrick, Techniques for evaluating training programs, Training Director's Journal, 1959.
  23. L. Harvey, Student satisfaction approach, http://www/use.ac.uk/crq, 2002.
  24. 문희주, 오덕만, 정명화, 최인근, 김정환, 임승규, 전문대학 교육전반에 관한 학생만족도 조사연구, 한국전문대학 교육협의회 연구, 제2005-2호, 2005.
  25. A. A. Nease, Do motives matters?: An examination of reasons for attending training and their influence on training effectiveness, Ph.D.diss, Rice University, 2000.
  26. B. D. Ruben, Quality I higher education, New Brunswick: Transaction Publishers, 1995.
  27. 전명수, 송선희, 노인평생교육 참여동기 유형이 교육만족도와 삶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제12권, 제8권, pp.438-448, 2012.
  28. 권인탁, 대학평생교육프로그램유형에 따른 성인 학습자의 참여동기가 만족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 제11권, 제3호, pp.139-164, 2013.
  29. 김상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길잡이, 서울: 나남출판사, 1997.
  30. 김태현, 김동배, 김미혜, 이영진, 김애순,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18권, 제1호, pp.150-169, 1998.
  31. E. Diener,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95, No.3, pp.542-575, 1984.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32. E. Suh, E. Diener, and F. Fujita, Events and subjective well-being: Only recent events matte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pending revisions, 1995.
  33. D. C. Shin and D. M. Johnson, Avowed happiness as an overall assessment of the Quality, pp.475-492, 1978.
  34. M. P. Lawton, A multidimensional view of quality of life in frail Elders, Inc, 1991.
  35. A. Campbell,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 McGraw-Hill Book Company, New York, 1988.
  36. R. J. Havighurst, B. L. Neugarten, and S.S. Tobin, Disengagement and patterns of aging, In Neugarten, B. L,(Ed). Middle age andaging: A Reader in Social Psychology,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1968.
  37. R. J. Havighurst, Middle age and aging,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8.
  38. T. Scanlon, Value, desire, and quality of life. In M. Nussbaum & A. Sen(Eds.), The Quality of Life, Oxford: Clarendon Press,1993.
  39. C. D. Ryff, "In the Eye of Beholder : Views of Psychology Well-being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 Psychology and Aging, Vol.4, pp.195-210, 1989. https://doi.org/10.1037/0882-7974.4.2.195
  40. M. J. Leitner and S. F. Leitner, "Leisure in later life," Binghamton, N.Y. : Haworth Press, 1985.
  41. K. M. Markid and H. W. Martin, A causal model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Gerontology, Vol.34, pp.86-93, 1979. https://doi.org/10.1093/geronj/34.1.86
  42. 최성재, "노인의 생활만족도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논총, 제49권, pp.233-258, 1986.
  43. J. C. Nunnally,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McGraw-Hill, 1978

Cited by

  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Perception for Improvement of Education on Return to Mountain Village vol.27, pp.12, 2018, https://doi.org/10.5322/JESI.2018.27.12.1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