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ching-Learning Model of Convergence Project Based on Team Teaching in Engineering Education

공학교육에서의 팀티칭기반 융합프로젝트중심 교수학습모형의 개발

  • Park, Kyungsun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Dankook University)
  • 박경선 (단국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 Received : 2014.01.07
  • Accepted : 2014.03.13
  • Published : 2014.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of convergence project based on team teaching. Based on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which explored a university case, the teaching-learning model was developed including three phases such as preparation, planning, and implementation & evaluation. The preparation phase has three steps as follows: to organize team teaching faculty; to develop convergence projects cooperated by industry and university; and to design instructions based on supporting convergence projects. The last step of preparation phase consists of five design activities of: (1) instructions and teaching contents; (2) communication channel among faculty members; (3) feedback system on students' performance; (4) tools to support learners' activity; and (5) evaluation system. The planning phase has two steps to analyze learners and to introduce and modify instruction and themes of convergence projects. The implementation & evaluation phase includes five steps as bellow: (1) to organize project teams and match teams with faculty members; (2) to do team building and assign duties to students of a team; (3) to provide instruction and consulting to teams; (4) to help teams to conduct projects through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5) to design mid-term/final presentation and evaluation. Lastly, the research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for future studies.

Keywords

References

  1. 강안나(2011). 다학제간 융합 기반의 창의공학설계 수업모형 개발. 한국항행학회논문지, 15(6): 1118-1125.
  2. 교육과학기술부(2012). 2단계 공학교육혁신센터 지원사업 기본 계획(안).
  3. 권성호. 강경희(2008). 교양교육에서의 융합적 교육과정으로의 접근: 한양대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2(2): 7-24.
  4. 권수미(2012). 예술중심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 음악교육연구, 14(2): 67-100.
  5. 금지헌(2012). 실과 가정생활 영역을 활용한 융합인재교육프로 그램이 초등학생의 실과에 대한 태도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4(1): 61-71.
  6. 김대현(1998). 초등학교에서 실시하는 프로젝트 학습의 계획과 운영에 관한 평가 연구. 교육과정연구, 16(2): 297-327.
  7. 김덕현(2011). 융합 경영: 세상을 움직일 컨버전스 파워 10. 서울: 글로세움.
  8. 김민정(2012). 이공계 연구중심대학의 통합형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6(3): 357-381.
  9. 김성원 외(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이론적 모형 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388-403.
  10. 김왕동(2012). 창의적 융합인재에 관한 개념 틀 정립: 과학기술 과 예술 융합 관점. 영재와 영재교육, 11(1): 97-119.
  11. 김영미(2007). 원어민과 내국인 영어교사의 효율적 팀티칭을 위한 단계별 협동 전략 기초연구. 영어어문교육, 13(3): 177-201.
  12. 김영석(2007). 우리말 IT: Convergence. 한국전파진흥원.
  13. 김정효(2012). 지식기반사회에서 융합교육을 위한 간학문적 통합교육의 가능성 탐색. 문화예술교육연구, 7(1): 175-200.
  14. 김정희(2012). 융합인재교육(STEAM) 관점에서 미술교과의 공감각(Synesthesia) 교육에 대한 논의. 미술교육연구논총, 32: 125-144.
  15. 김해경. 김정희(2010). 파트너쉽에 기반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의 교육적 의미와 구조에 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24(1): 93-121.
  16. 김혜경(2011). 프로젝트 중심 학습에서 수행역량기반 학습지 원체제 설계모형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남경완. 조철우(2012). 이공계 글쓰기 교육의 팀티칭 사례 연구. 공학교육연구, 15(1): 9-17.
  18. 남진숙(2012). 이공계 글쓰기 '팀티칭 수업(Team teaching)'의 효과적 방법 및 그 실제. 우리어문연구, 43: 33-63.
  19. 노상우. 안동순(2012). 초등학교 융합인재교육(STEAM)의 발전 방향 모색. 교육종합연구, 10(3): 75-96.
  20. 박민정(2007).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통한 대학원 학생들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연구, 25(3): 265-288.
  21. 박상수 외(2009). 영어. IT와 관광. 컨벤션영어의 융합교육과정 개발. 영미어문학, 92: 265-291.
  22. 박상태(2008). 이공계 대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율전 캠퍼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작문연구, 7: 181-208.
  23. 백상수. 오정숙(2010). 특수교육 전공 대학원생의 협력교수에 관한 인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1(3): 583-612.
  24. 백윤수 외(2011). 우리나라 ST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25. 손여울. 이병욱(2011). 팀티칭에 대한 공업계열 전문교과교사와 산학겸임교사 간 인식 비교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6(1): 75-94.
  26. 송인섭 외(2010). 과학영재를 위한 인문사회와 예술의 융합형 영재교육 프로그램개발. 영재와 영재교육, 9(3): 117-138.
  27. 신선경(2012). 학생주도 창의융합 프로젝트 모델 개발.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4(2): 53-59.
  28. 신재한 외(2013). 인형극을 통한 예술중심 STEAM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1): 215-240.
  29. 안재홍. 권난주(2012).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265-293.
  30. 안철수(2010). T자형 인재 뛰어넘는 A자형 인재되라. 월간 혁신리더 2010년 3월호.
  31. 오헌석 외(2012). 융합학문 어떻게 탄생하는가? 교육문제연구, 43: 51-82.
  32. 안혜리. 이웅배. 이민규(2010). 초등학교 미술교육에서 팀티칭사례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28: 143-167.
  33. 유승희(2000). 프로젝트 수업의 이론적 배경. 열린교육연구, 8(2): 91-100.
  34. 윤린. 김인선. 최병욱(2011). 융합교육의 현황 및 향후 방향: 한밭대학교 사례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4(3): 55-60.
  35. 이경진. 김경자(2012). 통합교육과정 접근으로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의미와 실천 가능성 탐색. 초등교육연구, 25(3): 55-81.
  36. 이공래. 황정태(2005). 다분야 기술융합의 혁신시스템 특성분석. 서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7. 이재호(2012). 융합형 영재교육기관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6(1): 123-130.
  38. 이항구(1994). 조직활성화를 위한 팀빌딩 교육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이희용(2011). 지식융합 교육을 위한 교과목 개발. 교양교육연구, 5(2): 11-37.
  40. 임유나(2012). 통합 교육과정에 근거한 융합인재교육(STEAM) 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초등교육연구, 25(4): 53-80.
  41. 임정훈 외(2004). 초중등학교에서 교실수업과 웹기반 학습을 연계한 커뮤니티 기반 프로젝트 학습모형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0(3): 103-135.
  42. 장선영. 이명규(2012). 웹기반 프로젝트중심학습 환경에서 과제 해결능력을 촉진시키는 스캐폴딩 설계모형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8(2): 371-408.
  43. 정인성. 이옥화(2001). 대학의 웹 기반 가상수업 팀티칭 모형 개발 연구. 교육정보방송연구, 7(2): 27-50.
  44. 정웅섭(1972). 교회교육 현장에서의 team teaching: 교회학교 수업개선을 중심으로. 신학연구, 13(4): 205-238.
  45. 최승숙(2004). 학습장애 등 경도장애학생 통합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내 협력교수의 실제: 모형과 전략의 함의.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5(3): 323-352.
  46. 최양희(2010). 인재정책의 방향과 기본과제. 한국인적자원연구센터 포럼 발표자료집.
  47. 최예정(2011). 계열필수과목으로서의 융합형 교양교과목 운영 현황 연구. 교양교육연구, 5(2): 87-115.
  48. 최태호. 박명옥(2011). 융합형 영재교육의 가능성 모색. 영재교육연구, 21(3): 683-702.
  49. 태진미(2011). 창의적 융합인재양성, 왜 예술교육에 집중하는가? 영재교육연구, 21(4): 1011-1032.
  50. 황미옥(2006). 팀티칭에 의한 일본어작문 교수법; 새로운 작문 교수법에 대한 시도. 일본연구, 29: 363-384.
  51. 허영주(2013). 대학 융합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탐색. 교육종합연구, 11(1): 45-79.
  52. 현창희(2008). IT 기반 융합정책방향. 전자통신동향분석, 23(2): 1-13.
  53. 홍병선(2009). 대학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대안 모색: 교육경쟁력 강화를 위한 융합교과목 개발. 교양교육연구, 3(2): 51-78.
  54. 홍성욱(2012). 융합이란 무엇인가: 융합의 과거에서 미래를 성찰한다. 서울: 사이언스북스.
  55. Baillie, C. & Fitzgerald, G.(2000). Motivation and attrition in engineering students. Europea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25(2): 145-155. https://doi.org/10.1080/030437900308544
  56. Bauwens, J. & Hourcade, J. J.(1995). Cooperative Teaching: Rebuilding the Schoolhouse for All Students. PRO-ED.
  57. Bergen, D.(1996). Developing the art and science of team teaching. Childhood Education, 70(4): 242-243.
  58. Buckley, F. J.(2000). Team teaching(what, why, and how).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Inc.
  59. Collins, B. C. et al.(1997). Using team teaching to deliver coursework via distance learning technolog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94754.
  60. Frodeman, R., Klein, J. T., & Mitcham, C.(2010). The Oxford Handbook of Interdisciplinarity. UK: Oxford University. Press.
  61. Helle, L., Tynjala, P., & Olkinuora, E.(2006). Project-based learning in post-secondary education: Theory, practice and rubber sling shot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er Education and Educational Planning, 51(2): 287-314.
  62. Kodama, F.(1991). Emerging patterns of innovation: Sources of Japan's technological edg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63. Krajcik, J. S. et al.(1994). A collaborative model for helping middle grade science teachers learn project-based instruction.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94(5): 483-497. https://doi.org/10.1086/461779
  64. Laffery, J. et al.(1998). A computer-mediated support system for project-based learning.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pment, 46(1): 73-86.
  65. Liu, T.C. et al.(2003). Wireless and mobile technologies to enhance teaching and learning.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19(3): 371-382. https://doi.org/10.1046/j.0266-4909.2003.00038.x
  66. Markham, T., Larmer, J., & Ravitz, J.(2003). Projectbased learning handbook: a guide to standards-focused project based learning for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 (2nd ed.). CA: Buck Institute for Education.
  67. Morgan, A.(1983). Theoretical aspects of project-bas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4(1): 66-78. https://doi.org/10.1111/j.1467-8535.1983.tb00450.x
  68. Nissan, E. & Niroomand, F.(2006). Technological Change and Contribution to Growth and Convergence. Journal of Economic Development, 31(1): 113-134.
  69. Olds, H.(1964). 팀티칭의 분류. 정해수 외 공역. 팀티칭의 이론과 실제. 동화문화사.
  70. Reigeluth, C. M.(1983). Instructional design: What is it and why is it. In C. M. Reigeluth (Ed.),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71. Rosenberg, N.(1963) Technocal change in the machine tool industry, 1840-1910. The Journal of Economic History, 23(4): 414-443. https://doi.org/10.1017/S0022050700109155
  72. Shapline, J. T. & Olds, H. E.(1964). Team Teaching.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73. Strauss, A.(1987). Qualitative analysis for social scientist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74. The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in Vocational Education (1988). Employ the team teaching approach. American Association for Vocational Instructional Material.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02649.
  75. Thomas, J. W.(2000). A review of research on projectbased learning. [on-line] Available: http://www.autodesk.com/foundation/pblpaper.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