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ersons Enjoying the Landscape of Daegodea in Hamyang and Space Hegemony through Analysis of Poetry and Letters Carved on the Rocks

시문과 바위글씨로 본 함양 대고대(大孤臺)의 경관 향유자와 장소패권(場所覇權)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Lee, Jung-Han (Graduated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이정한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Received : 2014.02.17
  • Accepted : 2014.03.11
  • Published : 2014.03.31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landscape of Daegodae(大孤臺), a prominent rock placed at the side of Namgae Stream in Hamyang, and the person who enjoy the landscap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etters such as names carved on the rocks based on ancient poetry and stone walls, the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and the space of Daegodae and the phase of hegemony to enjoy the landscape and spac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2) There are 5 Seowon(書院: lecture halls) nearby Daegodae identified in the ancient map has 5 auditoriums nearby, and three-dimensional volume and eccentricity of the Daegodae is impressive. Daegodae, named by Noh Jin(1518~1578) in 16th century, was used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viewing, game, recreation, and meeting, by the staff of the lecture halls including Namgae Seowon(南溪書院),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ncient document Go-dae-il-Loc(孤臺日錄) written by Jung Kyung-Woon(鄭慶雲: 1556~?). The structure of Daegodae is that there is Chunggeunchung(淸近亭) on the rock face of the top and Sanangjae(山仰齋) to the west around the memorial stone for Yang Hee(梁喜: 1515~1581). The upper part of the foundation of Daegodae with 11m high and $10m^2$ wide to the east and west was widely used for lecturing and poetry reading. To the north and west of the foundation were the writing of Kim Jeong-Hee(金正喜: 1786~1856) with the words 'Seoksong Chusa(石松 秋史)' carved on the rock and the remains of a dead tree that is presumed to have been called as 'Seoksong'. They are the landscapes that further enhance the history and authenticity of this place. The two kinds of letters carved on the rock 'Daegodae Gaeeunseo(大高臺 介隱書)' and 'Mukheon JungGeunSang(鄭近相: 1893~1934)' were recorded each by Jung Jae-Gi(1811~1879) and his grandson Jung Geun-Sang, which are, as the outcome of exclusive space possession and space hegemony, the signatures indicating that they were the persons who enjoyed this place during the late Joseon and Japanese colonial era. In other words, Daegodae had some implied meaning of preoccupancy of the place as Gujolyangseonsengjangguso since the middle of Joseon, and the place was passed down as a buddhism lecturing and memorial venue called "Dungbukganghoiso Cheonryungjaeseonhyunjangguso" after going through the space hegemony of Jung Jae-Gi and Jung Geun-Sang during the late Joseon and Japanese colonial era each, Nevertheless, a number of letters carved on the rock identified also imply that 'Hadong Jung(河東鄭氏)' and 'Pungcheon Noh(豊川盧氏)' were those who enjoyed the landscape of Daegodae and the center of the space hegemony. The "letters carved on the rock of Daegudae" is another case of cultural landscape and traditional gardening space that serves as the representation of the will of enjoying the landscape in this place and the history of space hegemony.

본 연구는 함양 남계천변에 돌출한 바위 대고대의 경관성과 향유 주체에 주목하였다. 옛 시문과 석벽에 의탁(依託)된 인명 등 바위글씨의 분석과 해석을 통해 이곳의 장소 특성을 밝히고, 대고대에서 벌어졌던 경관 향유와 장소 패권 양상을 조명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지도에서 나타난 대고대는 지근거리에 5개소의 서원이 집중 포치(布置)되고 있으며, 대(臺) 자체의 입체적 볼륨감과 기괴함이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16C 옥계(玉溪) 노진(1518~1578)에 의해 최초로 명명된, 대고대(大孤臺)의 쓰임새를 고대(孤臺) 정경운(鄭慶雲: 1556~?)의 고대일록(孤臺日錄)에 근거해 분석한 결과, 남계서원 등의 임원과 유생의 조망 놀이 휴양 회의 계회 등 다양한 용도의 정치 사회적 소통의 장으로 활용된 것으로 확인된다. 대고대의 공간구성을 살펴보면 구졸암(九拙菴) 양희(梁喜: 1515~1581)의 신도비를 중심으로 상단 암벽에는 청근정(淸近亭)이, 그 서측에는 산앙재(山仰齋)가 위치한다. 동서로 펼쳐진 높이 11m, 넓이 약 $350m^2$의 대고대 반석 상부는 강론과 음영을 위한 장소로 널리 활용되었다. 반석 북서측에 '석송(石松) 추사(秋史)'라고 음각된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 서체의 바위글씨와 그 옆의 일명 '석송'이라 불렸을 것으로 추정되는 고사목의 잔해는 이곳의 역사성과 진정성을 한층 강화시켜 주는 경관요소이다. '대고대(大高臺) 개은서(介隱書)'와 '묵헌(默軒)' '정근상('鄭近相)' 바위글씨는 각각 개은(介隱) 정재기(鄭在箕: 1811~1879)와 그의 증손(曾孫) 정근상(鄭近相: 1893~1934)에 의해 기록된 배타적 공간 향유와 장소패권의 산물이자 조선 말기 이후 일제강점기까지 그들이 이곳 대고대의 향유 주체였음을 알리는 낙관(落款)이다. 요컨대 대고대는 조선 중기 이후 '구졸양선생장구소'로서 장소 선점의 묵시적 의미를 지녀왔으며, 조선말기와 일제강점기에는 정재기와 정근상의 연이은 장소패권 과정을 거치면서도 '동북강회소 천령제선현장구소'라는 범함양(凡咸陽)의 다자(多者) 강회 및 추념공간으로 변형 계승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석벽에 쓰여진 다수의 인명 바위글씨는 '하동정씨(河東鄭氏)'와 '풍천노씨(豊川盧氏)'가 대고대의 경관 향유 및 장소패권의 주체였음을 묵언한다. 대고대에서 새긴 '바위글씨'는 경관향유 의지의 표상이자 장소 주도권 쟁탈을 보여주는 또 다른 형태의 문화경관이자 정원 경영의 사례이다.

Keywords

References

  1. 鄭慶雲, 孤臺日錄 券三.四
  2. 金宗直, 佔畢齋集 卷之八
  3. 表沿沫, 藍溪集 藍溪先生文集 卷之一
  4. 梁喜, 龍城世稿
  5. 朴長遠, 久堂先生集 卷之十五 記
  6. 吳長, 思湖集 思湖先生文集 卷之五
  7. 未詳, 思湖集 思湖先生文集 卷之七 附錄[上] 年譜
  8. 林眞怤, 林谷先生文集 卷之二
  9. 鄭弘緖, 松灘集
  10. 柳下聯, 柳下聯芳集
  11. 新增東國輿地勝覽. 第31券. 咸陽郡 形勝條
  12. 權道溶, 秋帆文苑外集. 제4권. 記大孤臺事實 甲子
  13. 김해경, 최기수(2007). 조선시대 인왕산 바위글씨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2) : 167-181.
  14. 노재현, 김정문, 이현우, 이정한, 김대수(2012b). 바위글씨로 본 부안 관아와 상소산 일대의 장소정체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2) : 142-154.
  15. 노재현, 이정한, 허준, 김정문(2012a). 상두산(象頭山) 바위글씨의 특징과 경관의미.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2) : 1-13.
  16. 동아일보(1929). 慶南의 名勝地인 搜勝臺爭奪戰. 1929년 4월5일자 : 5면.
  17. 정우락(2009). <고대일록>에 나타난 서술의식과 위기의 일상. 한국의 철학. 경북대학교퇴계연구소. 제44호 : 157-188.
  18. 안계복(2005). 풍류의 정원, 樓,.亭.臺.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 150-157.
  19. 유홍준(1993).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산은 강을 넘지 못하고. 창작과 비평사 서울 : p38.
  20. 韓國金石藝術文化硏究會 편저(2009). 韓國金石文拓本展 : 돌에 새겨진 아름다운 향기. 부산박물관 민족문화 부산 : p102.
  21. 함양군사편찬위원회(2012a). 함양군사. 제3권; 총설, 역사 : pp15-19.
  22. 함양군사편찬위원회(2012b). 함양군사. 제3권; 문화, 인물 : pp435-336, 788.
  23. 함양군, 함양문화원(2009). 함양문화총람 : pp5-8.
  24. 함양문화원, 향토문화연구소(2004a). 함양역사인물록 I : 613-689.
  25. 함양문화원, 향토문화연구소(2004b). 함양역사인물록 II : 612-646.
  26. http://db.itkc.or.kr
  27. http://kyujanggak.snu.ac.kr/
  28. http://map.daum.net
  29. http://nmh.gsnu.ac.kr
  30. http://www.oneclick.or.kr
  31. http://people.aks.ac.kr
  32. http://www.cha.go.kr
  33. http://www.doopedia.co.kr
  34. http://www.map.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