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of Developing Teacher Training System at the Office of Education and Its Implications

교육청 교원연수체제 개발 사례와 시사점

  • Received : 2013.09.09
  • Accepted : 2013.12.10
  • Published : 2014.03.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scribe how to develop a teacher training system and provide basic datum and implications for offices of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teacher training system for "A" Office of Education was organized into 3 major categories; method, grounds and results. The teacher training syste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A" which included status analysis, need analysis, foreign and a domestic training case analysis of school districts and companies, a literature review, as well as consultation with a group of experts. The model of the teacher training system for "A" Office of Education consisted of a vision, goals, a strategy and a four programs (4S Project) that was created based on this model. This study proposed to build visions of teacher training based on the vision and goals of the Office of Education, to create programs based on vision of teacher training and to develop a strategy that can be implemented.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청의 교원연수체제를 개발하는 사례를 정리함으로써 단위 교육청 교원연수체제를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A교육청의 교원연수체제 개발 사례를 방법, 근거, 결과 중심으로 정리하였고, 이러한 사례를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시의 특성과 요구에 맞는 교원연수체제의 개발을 위해 실태 분석과 요구 분석, 국내외 교원연수 및 기업 사례 분석, 문헌 조사 및 전문가 집단 자문의 방법을 활용하여 교원연수체제의 모형을 설계하였고 이를 근거로 하여 프로그램(안)을 개발하였다. A교육청 교원연수체제의 모형은 비전(인재상)과 목표(세부 인재상), 추진방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기초로 연수프로그램(안)인 4S 프로젝트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개발 사례를 통하여 교육청의 비전과 인재상에 기초한 교원연수의 비전 수립, 교원연수의 비전에 부합하는 프로그램 개발, 실행을 위한 추진전략 제안 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자억, 김광호, 김기수, 정규열, 정택희, 김예원, 교원연수기관 평가 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2. 백병부, 성열관, "교사의 혁신적 태도 및 신념의 내면화 결정 요인 분석: 경기도 교육청의 혁신학교 관련 연수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pp.101-125, 2011.
  3. 진동섭, 허은정, 이재덕, 김효정, 김정현, 신철균, 이동찬, 김시영, "학교컨설턴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S대 중등교육연수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제26권, 제2호, pp.229-257, 2008.
  4. 송호열, "수요자중심의 지리과 교사 자격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지리학연구, 제37권, 제3호, pp.191-211, 2003.
  5. 이연승, 강민정, 조혜진, "R-러닝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유아교육연구, 제32권, 제2호, pp.167-189, 2012.
  6. 김용, "콘텐츠 품질 향상을 위한 교원연수 이러닝 콘텐츠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476-484,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9.476
  7. 이성은, 최진영, 송경오, "교직발달단계에 따른 초.중등 교사의 연수 요구 분석", 열린교육연구, 제18권, 제1호, pp.127-154, 2010.
  8. 전제상, "교원연수체제 개선 요구조사 분석", 한국교육논단, 제9권, 제1호, pp.115-137, 2010.
  9. T. R. Guskey,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ducation: in search if the optimal mix. In: Guskey, T. R.: Huberman, M. (Ed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ducation: New paradigms and practices, New York: Teacher College Press., 1995.
  10. T. B. Corcoran, Helping teachers teach well: transforming professional development, Policy Briefs. Consortium for Policy Research in Education, 1995.
  11. M. Fullan, Implement in the implementation plan. In: Wideen, M.: Andrew, I.(Eds.). Staff development for school improvement. NewYork: Falmer Press., 1987.
  12. C. Smith and M. Gillespie, Research o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er Change: Implications for Adult Basic Education. In J. Comings, B. Garner & C. Smith (Eds.), Review of adult learning and literacy: Connecting research. policy, and practice (Vol.7, pp.205-244).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7.
  13. Eleonora Villegas-Reimers,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 international review of the literature, UNESCO: International Institute for Educational Planning, 2003.
  14. 김진규, "교사 학습공동체 활용 평가연수의 실천전략", 교육평가연구, 제22권, 제4호, pp.939-959, 2009.
  15. 롱비치 교육청(www.lbusd.k12.ca.us)과 하보필드교육청(www.harborfieldscsd.net)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16. P. T. Eaton and R. E. Carbone, "Asking those who know: a collaborative approach to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er Development, Vol.12, No.3, pp.261-270, 2008. https://doi.org/10.1080/13664530802259388
  17. A교육청(2012), A교육비전 2030.
  18. A교육청(2012), 2012 주요 업무 추진계획.
  19. 숙명여자여대학교연구팀, 교사의 생애주기별 직무연수 교육과정 개발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