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Environmental-Friendly Planning Element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Level of the High-Rise Residential Complex

친환경 계획요소가 초고층 복합주거 거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황중만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개발경영.교통학과) ;
  • 이주형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개발경영.교통학과)
  • Received : 2014.01.29
  • Accepted : 2014.02.21
  • Published : 2014.03.28

Abstract

The statistical analyzing of environmental-friendly planning elements is getting important because it is getting concerned with the change of residential types and environmental friendly housing. However, in terms of the high-rise residential complex, paper about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and research about residential satisfaction to residents are lack. Therefore, this paper is analyzing of impotentness and satisfaction about housing subdivision, inside of building, facility, and maintenance. In addition, residential satisfaction(satisfaction, loyalty, preference) and impact relationship of environmental-friendly planning elements are analyzed by PLS structural equation. To sum up, first, improving of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in housing subdivision is impacted on loyalty if satisfaction was fulfilled. Second, increasing of environmental-friendly planning elements in inside of building is impacted on loyalty if both satisfaction and preference were fulfilled. Third, providing of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in facility and maintenance is analyzed as preference, but satisfaction hypotheses is not valued.

주택유형의 변화와 친환경 주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계획요소의 정량적 검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초고층 복합주거의 경우 친환경계획요소에 대한 정리와 실제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고층 친환경계획요소를 단지, 건물내부, 설비 및 유지관리로 구분하여 실제 거주자를 대상으로 중요도와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거주만족도(만족도, 충성도, 선호도)와 친환경계획요소의 영향 관계를 PLS 구조방정식을 통해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단지 친환경 계획요소의 개선은 만족도를 충족시켜 실제 거주자의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물내부의 친환경 계획요소의 증가는 실제 거주자의 만족도와 선호도를 모두 충족시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설비/유지관리의 친환경 계획요소는 실제 주민의 선호요인으로 도출되었으나 만족도에 대한 가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이교선, 친환경 인증 계획요소가 공동주택 거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 조성익, "아트리움형 초고층 건물의 친환경 계획 요소에 관한 연구", 건축친환경설비학회, 제5권, 제3호, 2011.
  3. 강병환, 공동주택 에너지 절약을 위한 친환경 건축물인증기준의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4. 김자경, "친환경 인증제도를 통한 국내 초고층 주거건축의 친환경성 평가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제8권, 제2호, 2008.
  5. 이송현, 황연숙, "친환경인증아파트의 실외공간에 적용된 친환경 계획요소 사례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89권, 제1호, 2006.
  6. 신명숙, 조명은, "친환경 아파트 단지 거주자들의 친환경 계획요소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제22권, 제8호, 2006.
  7. 유성정, 친환경건축물 인증지표와 거주만족도의 비교분석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8. 박명규, 친환경 공동주택 인증 평가항목 분석 및 중요도 조사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9. 노만상, 공동주택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0. 김자경, 남경숙, "서울시 초고층 주거 건축의 특성 및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제9권, 제2호, 2008.
  11. 박성연, 류종혁, 박영기, "건축계획적 측면의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에 관한 거주후평가", 건축학회, 제23권, 제9호, 2007.
  12. 조형진, 거주후 평가에 의한 초고층 아파트의 유지관리 개선방안, 동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3. 박성준,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가 인근지역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4. 민로사,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인접지역 주민들의 선호도 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5. 정병두, 김철수,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만족도 분석", 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42권, 제7호, 2007.
  16. 이교선, 신동관, 이우종, "친환경 인증 계획요소가 공동주택 거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국토.도시계획학회, 제46권, 제5호, 2011.
  17. 강순주, 이수현,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제42호, 제6호, 2004.
  18. 김명용, 초고층 건축물의 공간적 분포와 입지적 특성분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9. W. W. Chin,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odern methods for business research, Vol.295, No.2, 1998.
  20. A. Rai, R. Patnayakuni, and N. Seth, "Firm Performance Impacts of Digitally Enabled Supply Chain Integration Capabilities," MIS Quarterly, Vol.30, No.2, 2006.
  21. 박은영, "뇌성마비 아동의 일상생활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한국콘텐츠학회지, 제9권, 제10호,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0.206
  22. 유일, 김소라,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대학졸업예정자들의 구직의도 영향요인 및 인과구조 분석",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3권, 제11호,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198
  23. 유재갑, 대학의 온라인과 오프라인 강의 서비스품질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4. C. R. Fornell and D. F. Larcker, "Stur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3, 1981.
  25. 송호창, 테크노파크 기업지원성과 관리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및 성과영향요인 분석,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6. D. Barclay, R. Thompson, and C. Higgins, "The partial least squares(PLS) approach to causal modeling," personal computer adoption and useasan illustration. Technology Studies, Vol.2, No.2, 1981.
  27. R. Patnayakuni, A. Rai, and N. Seth, "Relational Antecedents of Information Flow Integration for Supply Chain Coordination,"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23, No.1, 2006.

Cited by

  1. 환경친화적 유통공간의 소비효용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vol.16, pp.2, 2018, https://doi.org/10.15722/jds.16.2.20180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