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lying Rasch Analysis for Validation of School Function Assessment

학교기능평가(School Function Assessment)도구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한 라쉬분석의 적용

  • Received : 2014.02.12
  • Accepted : 2014.02.28
  • Published : 2014.03.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alidation of the School Function Assessment(SFA) for Korean Version using Rasch analysis. The subjects were recruited 98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eoul, Kyoung-Ki, Chung-cheung.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Rasch analysis to investigate unidimensionality and rating scale model. The 4 items out of SFA Part II were found to be misfts. The 18 items out of physical tasks, the 14 items out of cognitive/behavioral tasks in Part III were found to be misfit. All rating scale in SFA was appropriat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validity and criterion cut-off score for many students with disabilities.

본 연구에서는 라쉬분석을 통하여 한글판 학교기능평가(School Function Assessment)도구의 구성타당도, 척도 적합성을 검증함으로써 이 평가도구의 국내 사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서울 및 경기, 충청 지역의 만 7세~12세(초등학교 1학년~6학년)인 98명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의 보호자 및 담임 특수교사 또는 작업치료사와 직접 면담 또는 전화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라쉬분석을 통하여 단일차원모형(unidimensionality)에 대한 적합통계치(fit statistics)를 제시하였다. 또한, 라쉬분석의 평정척도모형(rating scale model)을 이용하여 평정척도의 적합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라쉬분석 결과 각 25개 하위척도 내 총 328개 항목 중 단일모형 적합통계치가 부적합한 항목은 Part II 과제지원 영역에서 총 4개였고, Part III 신체적 과제 영역에서 부적합 항목은 18개, 인지/행동적 과제 영역에서 부적합 항목은 14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한글판 학교기능평가 도구의 모든 평가 하위영역의 5점 평정척도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글판 학교기능평가 도구의 구성타당도와 평정척도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5점 평정척도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부적합 항목이 발견되어 앞으로 국내 타당도 확립과 준거제시를 위한 연구가 추후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2nd ed),"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62, No.6, pp.625-683, 2008. https://doi.org/10.5014/ajot.62.6.625
  2. J. Case-Smith,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5th ed), Mosby, 2005.
  3.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Children and youth vers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4. J. Case-Smith and J. C. O'Brien,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6th ed), Mosby, 2010.
  5. S. E. Doble, J. E. Bonnell, and J. Magill-Evans, "Evaluation of social skills: A survey of current practice,"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59, pp.141-150, 1991.
  6. W. J. Coster, T. Deeney, J. Hltiwanger, and S. M. Heley, School Function Assessment, User's manual, Therapy Skill Builders, 1998.
  7. 신민주, 한글판 School Function Assessment(SFA)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8. J. L. Hwang, S. M. Nochajski, R. T. Linn, and Y. W. Wu, "The development of the School Function Assessment - Chinese version for Cross-cultural use in Taiwan,"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Vol.11, No.1, pp.26-39, 2004. https://doi.org/10.1002/oti.195
  9. B. D. Wright and G. N. Master, Rating scale analysis, Mesa Press, 1982.
  10. J. M. Linacre, "Optimizing rating scale category effectiveness," Journal of Applied Measurement, Vol.3, No.1, pp.85-106, 2002.
  11. 김명희, 발달장애학생의 감각처리능력과 학교에서의 기능적인 과제수행능력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2. J. L. Hwang and P. L. Davies, "Rasch Analysis of the School Function assessment Provides Additional Evidence for the Internal Validity of the Activity Performance Scale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63, No.3, pp.369-373, 2009. https://doi.org/10.5014/ajot.63.3.369

Cited by

  1. Qualitative Analysis of Using Self-Assessment for EFL Students vol.16, pp.4,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4.6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