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Variables on Mothers' Choices of Types of Infant Care

영아를 둔 어머니의 어린이집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 서소정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
  • 하지영 (우송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4.02.19
  • Accepted : 2014.04.24
  • Published : 2014.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ariables of interest on mothers' choices of infant care. The variables of interest in this study wer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areas: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others and infants, 2) structural and procedual dimensions of infant care facilities, and 3) maternal beliefs on child-rear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others whose infants were currently cared by at infant care facilities(n=185) and those who were on the waiting list to use non-maternal infant care(n=53).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of this study preferred to select a type of center-based subsidized infant care over other types of care(family day care) due to quality of the program. Second, the mothers who were not using infant care and cared for their infants at homes reported that there were limitations in their choices of types of infant care due to accessibility and availability of public subsidized infant care facilities, and their child rearing goals were more likely to emphasize learning achievement and maturity than character education or personality. The mothers were more likely to choose a family home care over center-based public subsidized care when they were employed, had younger infants, had longer period of time on waiting lists, and emphasized structural dimensions of infant care than center-based care users.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s were discussed along with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어린이집 선택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의 대기신청을 통해 최근 6개월 이내 입소한 0~40개월의 영아를 둔 어머니 185명과 현재 대기신청 중이며 자녀가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고 있는 어머니 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어머니들은 어린이집 대기신청 시 국공립어린이집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주된 이유는 보육환경 및 시설의 질적인 우수성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지 않는 어머니는 주변에 자녀를 보낼 만한 어린이집이 충분하지 않으며 질적 수준도 낮은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어머니에 비해 지적 성취와 성숙주의를 강조하는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어머니들의 경우 자녀의 연령이 어릴수록, 취업모인 경우, 대기신청기간이 길수록, 어린이집의 구조적 요인을 중요하게 여길수록 민간 또는 가정어린이집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어린이집을 선택하는 의사결정 과정에 어떠한 변인들이 우선순위로 작용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다양한 보육 욕구를 이해하고, 어린이집의 확충 및 질적 제고를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을 수립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경미(2012). 어머니의 어린이집 선택 고려 요인과 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6(3), 29-51.
  2. 김갑순, 김남연, 이은형(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어린이집에 대한 요구. 한국교육문제연구, 30(3), 165-184.
  3. 김연희, 박응임(2006). 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유형별 선택요인 및 만족도. 대한가정학회, 44(8), 89-99.
  4. 김재환(2002). 영유아 보육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희경(2003). 부모의 어린이집 선택 요인과 보육만족도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 보건복지부(2013). 2013년 보육통계.
  7. 서문희, 임유경, 김명순, 윤선영, 이옥, 정미라, 최영신, 황혜정(2002). 영아보육 활성화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8. 서문희, 임유경, 박애리(2002). 2002년도 전국 보육실태조사 보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9. 서소정(2013). 서울지역 육아지원센터 이용현황과 관련된 기초 연구: 어머니-영아 상호작용 및 영아발달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3(4), 191-217.
  10. 손옥진(2004). 어린이집 선정기준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안재진, 김은지(2010). 미취학아동 가족의 보육.교육서비스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여성연구, 79(2), 5-36.
  12. 안지영(2001).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이미화, 민정원, 엄지원, 윤지연(2013). 영아보육의 실태 및 질 제고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14. 이순형, 이옥경(2000). 한국 보육시설의 영아기 프로그램 운영 평가. 아동학회지, 21(1), 121-140.
  15. 이정원, 이윤진(2008). 유치원과 보육시설 미이용 아동의 육아실태 분석. 육아정책개발센터 연구보고.
  16. 임유경(2008). 영유아 보육시설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관련 변인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7. 지성애(2007). 보육시설 유형에 따른 영유아 발달과 시설의 질에 대한 부모의 관점 비교.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23-43.
  18. 최보가, 문영경(2004). 가정보육시설과 기관보육시설의 질적 특성과 영아의 사회, 정서 발달. 대한가정학회, 42(1), 39-51.
  19. Early, D. M., & Burchinal, M. R. (2001). Early childhood care: Relations with family characteristics and preferred care characteristic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6, 475-497. https://doi.org/10.1016/S0885-2006(01)00120-X
  20. Kim, J., & Fram, M. S. (2009). Profiles of choice: Parents'patterns of priority in child care decision-making.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4(1), 77-91. https://doi.org/10.1016/j.ecresq.2008.10.001
  21. Peyton, V., Jacobs, A., O'Brien, M., & Roy, C. (2001). Reasons for choosing child care: Associations with family factors, quality, and satisfactio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4(1), 191-208.
  22. Phillips, D., Mekos, D. Scarr, S., McCartney, K., & Abbott-Shim, M. (2000). Within and beyond the classroom door: Assessing quality in child care cent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5(4), 475-496. https://doi.org/10.1016/S0885-2006(01)00077-1
  23. Riley, L. A., & Glass, J. L. (2002).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infant care preferences and use among employed mothers. Journal of Marriage & Family, 64(1), 2-15.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2.00002.x
  24. Seo, S. J. (2003). Early child care choices: A theoretical model and research implication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73(6), 637-650. https://doi.org/10.1080/0300443032000088230
  25. Seo, S. J. (2006). A study of infant developmental outcome with a sample of Korean working mothers of infants in poverty: Implications for early intervention program.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3(4), 253-360. https://doi.org/10.1007/s10643-006-0069-z

Cited by

  1. How long is the queuing for public childcare facilities in Korea? An empirical analysis of Korean households' childcare mode choice with the limited availability of public childcare facilities vol.12, pp.3, 2018, https://doi.org/10.1111/aswp.12146
  2. The Effect of Childcare Services of Community on Utilization Ratio of Daycare Centers vol.34, pp.4, 2014, https://doi.org/10.15709/hswr.2014.34.4.123
  3. The Impact of Enrollment Rate on Childcare Center Closure in South Korea vol.35, pp.4, 2014, https://doi.org/10.15709/hswr.2015.35.4.462
  4. 보육시설 이용 어머니의 격리불안 측정 도구 개발 및 평가 vol.17, pp.1,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6.17.1.409